핑갈맥 고프레이드

Fingal mac Gofraid
Refer to caption
영국 도서관 코튼 줄리어스 A 7세(연대기)의 폴리오 32v에서 발췌한 작품: "핑거"[1]

핑갈맥 고프라드와 그의 아버지 고프라드 시트리우크는 11세기 후반의 섬 왕국의 통치자였다.[note 1]비록 한 소식통은 고프레이드 맥 시트리우크의 아버지가 시트리우크라고 이름지었다고 말하지만, 이것이 어떤 종류의 오류일 수 있다고 의심할 만한 이유가 있다.고프레이드 맥 시티룩이 어느 가족에 속했는지도 불확실하다.노섬브리아 왕과 더블린 암라이프 쿠아란으로부터 후손인 그런 가족 중 한 명은 레인스터 왕 디아마리트마일 나 음보(Diarmait Mac Maile na MBo)와 협력한 것으로 보인다.또 다른 가족인 에흐마르카흐 라그나일, 더블린 왕과 이슬레스는 암라이프 쿠아란의 명백한 후손들을 반대했으며, 디아마리트와 적대 관계에 있는 우이브리아인은 같은 종족이었다.

고프레이드 맥 시트리우크가 암라이프 쿠아란의 후손이었다면 1060년대 에흐마르카흐의 명백한 추방을 감독한 뒤 디아마리트(Diarmait)에 의해 섬 안에 설치되었다는 의미일 수 있다.이 가족의 멤버십은 또한 고프레이드 맥 시티룩과 핑갈이 섬에서 그들의 직접적인 후계자인 고프레이드 크로반과 함께 즐긴 것으로 보이는 명백한 우호적인 관계를 설명할 수도 있다.그것은 또한 1073년 에흐마르카흐의 가능한 우이 브라이인과 친족들에 의해 행해진 만에 대한 공격을 설명할 수 있다.한편 고프레이드 맥 시트리우치가 에흐마르카흐의 친족이었다면, 디아마리트 사후 우이 브라이인 오버로드함 기간 중 더블린에서 군림한 것으로 알려진 당대 통치자인 고프레이드 우아 라그나일 왕과 동일할 가능성도 있다.이 신분증은 고프레이드 ua 라그나일이 더블린과 섬 모두에서 에흐마르카흐를 즉시 계승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고프레이드 맥 시티룩은 1070년경에 죽었다고 한 소스에 언급되어 있는데, 그 후 핑갈이 그의 뒤를 이었다.핑갈은 나중에 아일랜드 연줄이 있는 남자들에 의한 만 공격을 막아낸 것으로 보인다.1070년대 어느 시점에 이 왕국은 고프레이드 크로반에게 정복당했지만, 이 사건의 상황은 불확실하다.후자가 핑갈을 쓰러뜨렸을 가능성은 있지만, 이것은 결코 확실하지 않다.사실, 그 왕좌는 고프레이드 크로반이 왕권을 얻기 위해 캠페인을 벌였을 때 공석이었을 것이다.어찌됐든, 핑갈의 후손들이 그의 죽음에 따라 코뿔소 왕국을 지배했다고 의심할 만한 이유가 있다.

불확실한 모태 및 정체성

Refer to caption
영국 도서관 코튼 줄리어스 A 7세(맨의 연대기)의 폴리오 32v에서 발췌한 작품: "고드레덤 필륨 시트리크"[1]한계 참고 사항: "Fingal"[11]을 참조하십시오.

고프레이드 맥 시티룩은 특히 '고드레덤 필륨 시트리크'와 '고드레두스 필리우스 시트리크'로 두 번 언급된다.[12]이러한 구절들은 아버지의 이름이 시트리크였음을 보여주는 듯하지만, '시트리크'의 첫 번째 사례가 엇갈리고, 두 구절 옆에 해당하는 한계 음이 '핑거'라고 읽는다.[11]따라서 이러한 구절들은 고프레이드 맥 시트리우크가 시트리우크라는 사람의 아들이거나 아니면 핑갈이라는 사람의 아들이라는 증거일 수도 있다.[13]한계음이란 개인의 이름이 아닌 장소명을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예를 들어, 이 지폐는 더블린의 농업이 풍부한 북부 후미지인 [14]파인 갈을 지칭할 수 있다.[15]따라서 이 메모들은 고프레이드 맥 시티룩이 맨스맨이 아닌 원주민 더블라이너였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14][note 2]고프레이드 맥 시트리우크의 아버지가 실제로 시트리우크라고 이름 붙여졌다면, 동시대 후보들도 여럿 있다.[19]

워터포드의 왕 시트리우크 맥 아이메어(Sitriuc mac Imair)가 후보 중 한 명이지만, 이 남자에게 고프레이드라는 아들이 있었다는 증거는 없다.[13]또 다른 후보로는 더블린의 왕 시트리우크암라이브가 있다.[20]이 남성은 고프레이드라는 이름의 아들을 낳았다고 알려져 있지만, 후자는 1036년에 살해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그러나 이 시트리크는 암라이브라는 이름의 두 아들을 낳았는데, 한 아들은 1013년에, 다른 한 명은 1036년에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1]사실 부모들이 같은 이름을 가진 여러 아이를 갖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었고,[14] 시트리우크 맥 암라이브는 암라이프 2명뿐만 아니라 고프레이드 2명의 아버지였을 가능성도 있다.[19]또 다른 후보로는 시트리우크 맥 암라이브의 동생 글룬 아이린 암라이브의 후손으로 더블린의 왕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있다.구체적으로 17세기 서기관 더브할타흐 오그피르브히시가 보존한 족보에 따르면 글룬 아이언은 시트리우크라는 이름을 달리 알 수 없는 아들을 낳았는데, 그는 고프레이드 맥 시트리우크의 아버지일 가능성이 있는 사람이었다.[22][note 3]

Refer to caption
영국 도서관 코튼 줄리어스 A 7세(맨의 연대기)의 폴리오 32v에서 발췌한 작품: "고드레두스 필리우스 시트리크 렉스 만니æ"[1]

또 다른 가능성은 고프레이드 맥 시티룩이 동시대의 더블린의 왕인 고프레이드 우아 라그나일과 동일하다는 것이다.[25]아일랜드 연호에는 후자의 이름이 다양하게 기록되어 있는데, 이니스팔렌 연호에서는 그를 "고프레이드 맥 메크 라그나일"[26]이라고 부르고,[27] 울스터 연호에서는 "고프레이 맥"이라고 부른다. "Amhaiming uel mc Raghnaill".[28]고프레이드 우아 라그나일 관련 증거는 그의 아버지가 차례로 라그놀이라는 사람의 아들로 이름이 지어졌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지만,[29] 후자의 안날 엔트리는 말 그대로 그가 "아므라이브의 아들이거나 라그널의 아들"이라고 말하고 있어 그의 모태에 대한 혼란의 징후가 있을 수 있다.[30]어쨌든, 안네테리들은 고프레이드 우아 라그나일이 에흐마르카흐래그나일, 더블린의 왕과 섬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고 암시한다.[30]그러므로 고프레이드 우아 라그나일(Gofraid ua Ragnaill)은 암라이브나 시트리우크(Sitriuc)라는 이름의 에흐마르카흐(Echmarcach)의 형제의 아들이었을 수도 있고,[31] 그렇지 않았다면 에흐마르카흐(Echmarcach)의 아들일 수도 있었을 것이다.[30]

배경

Map of Britain and Ireland
Gofraid mac Sitriuc 및 Finggal의 생애와 시간에 관련된 위치.

11세기 중엽, 레인스터디아마리트 마일음보(Diarmait Mac Maile na mBo)는 에흐마르카흐의 비용으로 더블린과 섬으로 그의 권위를 확장했다.구체적으로는 1152년 디아마리트(Diarmait)가 더블린을 정복하여 왕권을 장악했고, 이에 따라 에흐마르카흐는 "바다 너머로" 피신할 수밖에 없었다.[32]약 10년 후, 에흐마르카흐는 디아마릿의 아들 무르차드에 의해 섬이 습격당했고, 그는 조공을 받고 어떤 '맥 래그나일'을 물리쳤기 때문에, 에흐마르카흐 자신이 분명 에흐마르카흐였을지도 모르는 만에서 완전히 쫓겨난 것으로 보인다.[33]에흐마르카흐는 결국 로마에서 1064년[34] 또는 1065년에 죽었다.[35]그의 사망에 대해 현대 11세기 만성적인 마리아누스 스코투스는 그를 라틴어로 "rex Innarrenn"이라고 묘사했는데,[36] 이것은 "섬의 왕"[37] 또는 "코뿔소의 왕"[38]을 의미할 수 있는 제목이다.후자를 대표한다면, 한때 팽창했던 에흐마르카흐의 바다 왕국이 점차 갈로웨이만의 영토로 잠식되었다는 증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39][note 4]

에흐마르카흐가 더블린에서 추방된 후 20년 동안, 디아마리트(Diarmait)는 해안 왕국의 지배권을 누렸고, 높은 등급의 군대와 귀중한 군함대의 통제를 누렸다.[41]그러나 1072년 예상치 못한 죽음으로 토이르델바흐 우아 브라이인이 레인스터를 침공하여 더블린의 인수로 이 군사적 성공을 추적하였다.[42]고프레이드 우아 라그나일이 언제 더블린의 왕위를 차지했는지는 불확실하다.한편으론 디아르마이트가 쓰러지기 전에 에흐마르카흐의 뒤를 이을 수도 있었다.[30]한편 토이르델바흐는 우이브라이인의 인수에 이어 그 지역을 그에게 넘겨주었거나,[43] 적어도 고프레이드 우아 라그나일 자신의 지배하에 있는 설립에 동의했을지도 모른다.[44]

가족 불확실성의 영향

고프레이드 맥 시트리우크의 모태지를 둘러싼 불확실성은 그가 여러 가족의 일원이 될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그러한 가문 중 하나인 시트리우크 맥 암라이브와 글룬 아이언 왕들 중 하나는 노섬브리아와 더블린의 왕인 암라이브 쿠아란으로부터 유래되었다.[45]또 다른 가족은 에흐마르카흐 맥 래그나일이었는데, 그는 부모로서의 신분이 불확실한 사람이었다.[46]에흐마르카흐의 가족이 우이 브라이인과 동맹을 맺는 동안,[47] 에흐마르카흐와 돈차드 브라이인의 적대자였던 디아마리트(Diarmait)는 암라이브 쿠아란의 후손들과 협력한 것으로 보인다.[48]그 결과, 고프레이드 맥 시트리우크의 가족식별과 관련하여 중요한 함의가 있다.

암라이프 쿠아란의 후손으로서

1066년, 노르웨이의 하라드르 시구르샤르손은 불운한 영국 침략에 착수했다.불행하게도 노르웨이 사람들에게는 그 후의 스탬포드 브리지 전투에서 그들의 병력이 영국군에 의해 완전히 파괴되었다.[49]맨의 크로니클이 먼저 고프레이드 맥 시트리우크와 그의 최종 후계자인 고프레이드 크로반에게 주목한 것은 이 패배의 여파였다.구체적으로, 이 출처는 스탬포드에서의 살육에서 후자가 비행한 후 고프레이드 맥 시트리우크가 명예롭게 그를 영접하고, 그에게 성역을 허락했다고 진술하고 있다.[50]고프레이드 맥 시트리우크가 정말로 암라이프 쿠아란의 후손이었다면, 고프레이드 크로반 역시 암라이프 쿠아란의 후손일 수 있었기 때문에 그의 친밀감 속에 그의 관대함이 행해졌을지도 모른다.[51]사실, 고프라드 맥 시트리우크의 암라이프 쿠아란에서 명백히 내려온 것도 그가 섬 왕위에 오르는 것을 둘러싼 상황을 설명해줄 것이다.[14]예를 들어, 디아마릿의 아들이 만에서 에흐마르카흐를 극복한 것으로 보이는 것은 불과 5년 전이다.[52]디아마릿이 에흐마르카흐 가문의 일원이 섬에서 계속 군림할 수 있도록 했을 것이라는 우연한 사실은 디아마릿이 암라이프 쿠아란의 후손인 이 경우 고프라드 맥 시트리우크를 섬에서 그의 의뢰인으로 설치했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암시한다.[14]디아마릿은 1052년 더블린에서 에흐마르카흐를 추방하고, 자신의 자리에 아이마르아레트를 설치하기 수십 년 전 더블린에서 정확히 그렇게 했을지도 모른다.[53]후자는 암라이프 쿠아란의 후손일 뿐만 아니라 [14]고프레이드 크로반의 아버지나 [54]삼촌,[55] 혹은 형제의 후손이었던 것 같다.[56]

Refer to caption
옥스퍼드 보들리언 라이브러리 롤린슨 B 489의 폴리오 43v에 등장하는 시그트리그그그르 올래프손의 이름.[57]

만 연대기에 따르면, 고프레이드 맥 시트리우크는 1070년경에 사망했고,[58] 9년 동안이나 통치했을지도 모르는 아들 핑갈의 뒤를 이었다.[59]토이르델바흐가 더블린을 압류한 지 1년 뒤인 1073년 핑갈은 아일랜드에 근거지를 둔 만 침공을 명백히 거부하였다.[60]이 침입은 로치 세[61] 연호울스터 연보에 의해 기록되는데, 이 중 후자는 이 원정대가 특정 시그트리그그르 올래프손과 아일랜드의 하이킹 브라이언 보루마의 두 손자에 의해 주도되었다고 기술하고 있다.[62]이 세 명의 살상 습격자의 정확한 신원은 원정대 자체의 상황처럼 불확실하다.[63]그러나 이번 침입은 전년에 디아마리트 사망을 계기로 더블린의 우이 브리랭 인수와 밀접하게 연관됐을 가능성이 크다.[64]시그트리그렉이 에흐마르카흐의 가족, 어쩌면 고프레이드 우아 라그나일 자신의 형이었을지도 모른다고 의심할 만한 이유가 있다.[65]이 가족에는 돈차드의 아내인 카흐트 인제인 라그나일도 포함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더욱 크다.[66]확실히 에흐마르카흐의 딸 모르는 토이르델바흐의 아들 타드크와 결혼했다.[47]If the Uí Briain were indeed bound to a kindred comprising Gofraid mac Sitriuc, Sigtryggr, Cacht, and Echmarcach, it is possible that—following the Dublin ascendancy of the Uí Briain—Sigtryggr and his Uí Briain allies attempted to take what they regarded as his family's patrimony in the Isles.[67]

에흐마르카흐의 친족으로서

고프레이드 맥 시트리우크가 대신 고프레이드 우아 라그나일(Gofraid ua Ragnaill)과 동일하고, 따라서 에흐마르카흐(Echmarcach) 가문의 겉보기 구성원이라면 고프레이드 우아 라그나일이 더블린과 섬에서 에흐마르카흐를 계승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68]이러한 신분증은 1073년 만의 불운한 침략에 희생된 시그트리그그르가 에흐마르카흐의 가족이라기보다는 암라이프 쿠아란의 후손이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69][note 5]어떤 경우에도, 수많은 아일랜드 실록은 Mann에 대한 공격의 2년 후, Gofraid ua Ragnaill의 통치와 생활은 end,[70]에 Inisfallen 녹음 실록과 함께 Toirdelbach 더블린에서 완전히 Gofraid ua Ragnaill, 그리고 자신이"바다 저편에"," 위대한 함대"Irel에 올 조립되고 죽은 진술하고 왔다 보고하고 있다.그리고..[71] 만일 고프레이드 맥 시트리우크와 고프레이드 우아 라그나일이 정말로 동일하다면, 이 안날 엔트리는 토이르델바흐가 고프레이드 우아 라그나이를 만에서 강제로 몰아내지 못하고 더블린에서 쫓아냈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만약 맞다면, 이 안날 엔트리 역시 고프레이드 우아 라그나일이 더블린에서 쫓겨난 후 만으로 후퇴하여 죽기 전에 그곳에 이스르멘 함대를 집결시키려 했다는 증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72]

핑갈과 고프레이드 크로반

단순화된 가계도는 두 남자가 모두 암라이브 쿠아란의 후손일 경우 고프라드 맥 시트리우크와 고프라드 크로반 사이에 공유된 조상의 가능한 선을 보여준다.Gofraid Mac Sitriuc의 가능한 아버지는 터키옥색이고, 반면에 Gofraid Croban의 아버지는 분홍색이다.
암라이프 쿠아란(980/981)
더블린 노섬브리아의 왕
시트리우크맥암라이브(1042년 사망)
더블린의 왕
아랄트(9999)글룬 아이언 (989년 사망)
더블린의 왕
아이마르 (1054년 사망)
더블린의 왕
시트리우크 맥 글룬 아이언
Refer to caption
옥스퍼드 보들리언 라이브러리 롤린슨 B 503(이니스팔렌 연보)의 폴리오 30r에서 발췌.관련 텍스트는 다음과 같다: "Macc Congail, ri na Rend, do marbad".[73]이 텍스트는 고프레이드 크로반 통치 기간 동안 핑갈이 갈로웨이에서 권력을 쥐고 있던 후손들을 가졌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

1075년,[74] 즉 1079년경, 만 연대기는 고프레이드 크로반이 세 차례의 해인침략에 이어 만을 정복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히고 있다.[75][76]이 정복을 둘러싼 상황은 불명확하다.[77]한편으로는 1073년의 침공으로 약해졌을지도 모르는 [78]핑갈을 전복시켰을 가능성도 있다.[79]한편, 고프레이드 크로반과 핑갈의 아버지 사이의 상냥한 관계는 핑갈이 살아 있는 한 그의 왕권이 안전하다는 것과, 고프레이드 크로반이 지배권을 장악하려고 시도한 것은 그가 죽은 후에라는 것을 암시할 수 있었다.[59]이 연대기는 아버지를 계승하는 맥락에서 핑갈을 한 번만 언급할 뿐 다른 출처에는 기록되지 않는다.[80]

고프레이드 맥 시트리우크와 고프레이드 우아 라그나일이 정말로 같은 개인이라면 1075년 후자의 사망 기록이 고프레이드 크로반의 쿠데타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77]구체적으로는 후자는 이 무렵에 섬나라의 왕권을 얻었고, 연대기는 이러한 분쟁 중에 핑갈이나 왕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만스족을 직접 격투하는 맥락에서 그의 선거운동을 전개한다.[81]그러므로 고프레이드 크로반은 왕권이 공석인 동안 그의 행동을 취했을지도 모른다.[77][note 6]

역사 기록에서 핑갈이 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후손들이 갈로웨이 일부 지역에서 통치했다는 증거가 있을지도 모른다.[82]구체적으로는 1094년 이니스팔렌 연보에는 '맥크 콩가일'이라는 특정 코뿔소 왕의 죽음을 기록하고 있다.[83]한편으로 이것은 핑갈의 이름이 실제로 콘갈이라는 증거가 될 수 있었다.[84]한편, "맥크 콩가일"은 단순히 핑갈과 콩갈이라는 이름 사이의 출처의 혼란을 나타낼 수도 있다.사실 에흐마르카흐가 "rex Innaren"으로 군림했다는 기록은 에흐마르카흐가 이전에 이 특정 지역을 통치했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어쨌든 맥크 콩가일이 고프레이드 크로반의 권한으로부터 독립하였는지, 아니면 의존하였는지는 알 수 없다.[59][note 7]

메모들

  1. ^ 2000년대 이후, 학자들은 이 남성들에게 영어 2차 자료로 다양한 이름을 붙였다.예를 들어, 핑갈은 다음과 같은 개인 이름을 부여받았다.핑갈,[2] 핑갈.[3]Gofraid mac Sitriuc도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개인 이름을 붙였다.고드레드,[4] 고프레이드,[5] 구드뢰르.[6]게다가, 이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후원적인 이름을 얻었다.핑갈 고드레손,[7] 핑갈고프라드,[8] 핑갈고프라드,[3] 고드레드 시그트리그손,[9] 고드레드 시트리손,[7] 고프라드시트레아카, 고프라드시트리우크.[3][10]
  2. ^ 파인 갈의 노르스 게일릭 영토는 핑갈 에 그 이름을 남겼다.Fine Gall이라는 이름은 "외국인들에게 친숙한"[16] 또는 "외국인 거주지역"[17]을 의미한다.현대의 개인 이름 핑갈은 게일릭 피온골에서 유래되었다.이 이름은 fionn("흰색")과 gall("스트레인저") 원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래 노르웨이의 정착민들과 비슷한 이름인 Dubhhhghall("어두운"과 "위험한"을 의미하는 요소에서 유래한 이름이었다.[18]참고 항목:더블가일, 핀가일.
  3. ^ 이 시트리우크 맥 글룬 아이언은 1036년 시트리우크 맥 암라이브의 살해된 아들 고프라드를 죽인 익명의 남자와 동일할지도 모른다.[23]또 다른 가능성은 그 살인범이 이름이 비슷한 또 다른 남자인 자른네 울라엡손의 아들이라는 것이다.[24]
  4. ^ 코뿔소의 평범했던 왕국갈로웨이의 코뿔소뿐만 아니라 마차르족도 포함했을 것이다.이 왕국은 북부 해협에서 위그타운 만까지 뻗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위그타운셔의 현대적인 경계와 유사한 지역을 포함했을 가능성이 높다.[40]
  5. ^ 이 신분증이 맞다면 시그트리그르는 아마이브의 아들이었을 것이고, 시트리우크 맥 암라이브의 아들이었을 것이다.[69]
  6. ^ 이 세 번의 만남에서, 고프레이드 크로반이 "쿰 포퓰로 테레"("땅의 사람들과")와 "쿰 마넨시버스"("맨스"와"맨스" ("맨스맨")[81]와 싸웠다고 연대기는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7. ^ 맥코 콩가일은 마지막으로 기록된 코인의 왕이다.12세기 초까지 이 지역은 갈로웨이의 영주 퍼거스 가문이 지배하는 갈로비디아 영토의 일부를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85]

인용구

  1. ^ a b c 뭉크; 고스 (1874) 페이지 50; 코튼 MS 줄리어스 A 7세 (n.d.
  2. ^ 더피(2006);Beuermann(2002);오람(2000년), 캔든(1988년).
  3. ^ a b c 포르테; 오람; 페더슨(2005)
  4. ^ 풀러(2009);더피(2006);포르테; 오람; 페더센(2005);Beuermann(2002);오람(2000년), 캔든(1988년).
  5. ^ 더피(2006);포르테; 오람; 페더센(2005);울프(2004);오람(2000년)
  6. ^ 더피(2006년).
  7. ^ a b 무디; 마틴; 번(2005)
  8. ^ 오람(2000년)
  9. ^ 풀러(2009년).
  10. ^ 울프(2004);오람(2000년)
  11. ^ a b 더피 (2006) 페이지 51~52; 포르테; 오람; 페더슨 (2005) 페이지 232 n. 40; 허드슨, BT (2005) 페이지 171; 코튼 MS 줄리어스 A VII (n.d.)
  12. ^ 더피 (2006) 페이지 51–52; 허드슨, BT (2005) 페이지 171; 뭉크; 고스 (1874) 페이지 50–51.
  13. ^ a b 더피(2006) 페이지 52.
  14. ^ a b c d e f 허드슨, BT(2005) 페이지 171.
  15. ^ 더피 (2017), 다운햄 (2014) 페이지 19, 다운햄 (2013) 페이지 158, 다운햄 (2005);허드슨, BT (2005) 페이지 171; 발란테 (1998–1999) 페이지 246, 246 n. 16; 홀름 (2000) 페이지 254–255.
  16. ^ 울프(2018) 페이지 126, 다운햄(2014) 페이지 19, 다운햄(2013) 페이지 158, 다운햄(2005).
  17. ^ 다운햄(2013) 페이지 158; 더피(2009) 페이지 291.
  18. ^ 행크스; 하드캐슬; 호지스(2006) 페이지 402, 403.
  19. ^ a b 더피(2006) 페이지 52; 허드슨, BT(2005) 페이지 171.
  20. ^ 더피(2006) 페이지 52; 포르테; 오람; 페더슨(2005) 페이지 231; 허드슨, BT(2005) 페이지 83 페이지 3, 171; 오람(2000) 페이지 18.
  21. ^ 더피(2006) 페이지 52; 허드슨, BT(2005) 페이지 83 페이지 그림 3, 171.
  22. ^ 허드슨, BT (2005) 페이지 83 그림 3, 171–172; 버그 (1905) 페이지 4, 11.
  23. ^ 허드슨, BT(2005) 페이지 83 그림 3, 121, 171–172; 에칭햄(2001) 페이지 158n. 35; 허드슨, B(1994a) 페이지 329.
  24. ^ 에칭햄(2001) 페이지 158n. 35.
  25. ^ 더피 (2006) 페이지 57, 무디스; 마틴; 번 (2005) 페이지 468n. 3. Beuermann (2002) 페이지 433; Candon (1988) 페이지 402.
  26. ^ 이니스팔렌 연보(2010) § 1072.6, 이니스팔렌 연보(2008) § 1072.6, 더피(2006) 페이지 57, 더피(1992) 페이지 102.
  27. ^ 이니스팔렌 연보(2010) § 1075.2; 이니스팔렌 연보(2008) § 1075.2; 더피(2006) 페이지 57; 더피(1992) 페이지 102n 44.
  28. ^ 얼스터 연보(2012) § 1075.1; 얼스터 연보 (2008) § 1075.1; 더피 (2006) 페이지 57; 더피 (1992) 페이지 102n 44.
  29. ^ 허드슨, BT(2005) 페이지 130 그림 4.
  30. ^ a b c d 더피(2006) 페이지 57.
  31. ^ 더피(2006) 페이지 57; 허드슨, BT(2005) 페이지 130 그림.4; 더피(1992) 페이지 102.
  32. ^ 허드슨, BT(2004);더피(1992) 페이지 94.
  33. ^ 허드슨, BT(2005) 페이지 129, 허드슨, BT(2004);더피(1992) 페이지 100.
  34. ^ 다운햄(2007) 페이지 193 그림 12; 더피(2006) 페이지 57.
  35. ^ Clancy (2008) 페이지 28; Duffy (2006) 페이지 53, 57; Hudson, BT (2005) 페이지 129, 130 그림 4.
  36. ^ Flanagan (2010) p. 231 n. 196; Clancy (2008) p. 28; Downham (2007) p. 171; Duffy (2006) p. 56–57; Forte; Oram; Pedersen (2005) p. 229; Hudson, BT (2005) pp. 129, 138; Etchingham (2001) p. 160; Oram (2000) p. 17; Duffy (1992) pp. 98–99; Anderson (1922a) pp. 590–592 n. 2; Waitz (1844) p. 559.
  37. ^ Flanagan(2010) 페이지 231 n. 196; Duffy(2006) 페이지 56~57.
  38. ^ McGuigan (2015) p. 107; Flanagan (2010) p. 231 n. 196; Clancy (2008) p. 28; Downham (2007) p. 171; Duffy (2006) pp. 56–57; Forte; Oram; Pedersen (2005) p. 229; Hudson, BT (2005) pp. 129, 138; Etchingham (2001) p. 160; Oram (2000) p. 17; Duffy (1992) pp. 98–99.
  39. ^ 울프(2007) 페이지 245; 허드슨, BT(2005) 페이지 143; 더피(1992) 페이지 100.
  40. ^ Clancy (2008) 페이지 28, 32; Woolf (2007) 페이지 245; Hudson, BT (2005) 페이지 138.
  41. ^ 더피(1993b) 페이지 13.
  42. ^ 고사리(2004);더피(1992) 페이지 101.
  43. ^ 포르테; 오람; 페더슨(2005) 페이지 232; 오람(2000) 페이지 18.
  44. ^ 더피(1992) 페이지 102.
  45. ^ 허드슨, BT(2005) 페이지 83 그림 3.
  46. ^ 울프(2007) 페이지 246.
  47. ^ a b 포르테; 오람; 페더센(2005) 페이지 232; 더피(1992) 페이지 105, 105 n. 59.
  48. ^ 더피(1992) 페이지 96-97.
  49. ^ Forte; Oram; Pedersen (2005) 페이지 210–211; Anderson (1922b) 페이지 13–15 n. 3.
  50. ^ 풀러(2009);번 (2008) 페이지 864; 허드슨, BT (2005) 페이지 171; 울프 (2004) 페이지 100; 앤더슨 (1922b) 페이지 18n. 1, 43–44 n. 6. 뭉크; 고스 (1874) 페이지 50–51.
  51. ^ 허드슨, BT(2005) 페이지 170–171; 울프(2004) 페이지 100.
  52. ^ 더피(2006) 페이지 55-56; 허드슨, B(2005a);허드슨, BT(2005) 페이지 171; 허드슨, BT(2004);더피(1992) 페이지 100.
  53. ^ 더피(1992) 페이지 97.
  54. ^ 맥도널드 (2019) 페이지 22, 27n. 4, 맥도널드 (2007b) 페이지 62, 62n. 18, 더피 (2006) 페이지 53, 60, 허드슨, B (2006) 페이지 170, 허드슨, BT (2005) 페이지 54, 83. 3, 171, 더피 (2004);울프(2004) 페이지 100; 더피(1992) 페이지 106.
  55. ^ 맥도널드 (2019) 페이지 22, 27n. 4; 맥도널드 (2007b) 페이지 62n. 18; 더피 (2004);더피(1992) 페이지 106.
  56. ^ 울프(2004) 페이지 100.
  57. ^ 얼스터 연보(2012) § 1073.5; 얼스터 연보 (2008) § 1073.5; 보들레 도서관 MS. 롤. B. 489 (n.d.)
  58. ^ 맥도널드 (2007) 페이지 61–62; 더피 (2006) 페이지 51; 허드슨, BT (2005) 페이지 172; 울프 (2004) 페이지 100; 번 (1982), 앤더슨 (1922b) 페이지 22; 뭉크; 고스 (1874) 페이지 50–51.
  59. ^ a b c 허드슨, BT(2005) 페이지 172.
  60. ^ 더피 (2006) 페이지 57–58; 포르테; 오람; 페더슨 (2005) 페이지 232; 허드슨, BT (2005) 페이지 172; 울프 (2004) 페이지 100–100; 오람 (2000) 페이지 19.
  61. ^ Loch Cé(2008) § 1073.3; Loch Cé (2005) § 1073.3; 더피 (1993a) 페이지 33; 캔든 (1988) 페이지 403.
  62. ^ 다운햄 (2017) 페이지 100; 얼스터 (2012) § 1073.5; 얼스터 (2008) § 1073.5; 더피 (2006) 페이지 57–58; 포르테; 오르암; 페더슨 (2005) 페이지 232; 허드슨, B (2005);Ni Mhaonaigh(1995) 페이지 375; Duffy(1993a) 페이지 33; Candon(1988) 페이지 403.
  63. ^ 더피(1993a) 페이지 33, 더피(1992) 페이지 102.
  64. ^ 더피 (2006) 페이지 57, 캔돈 (2006) 페이지 116, 포르테; 오람; 페더슨 (2005) 페이지 232, 니 마호나이 (1995) 페이지 375, 더피 (1993a) 페이지 33, 더피 (1992) 페이지 102; 캔돈 (1988) 페이지 403.
  65. ^ 포르테; 오람; 페더센(2005) 페이지 232; 허드슨, B(2005b);허드슨, BT(2005) 130페이지 그림 4, 172; 오람(2000) 18~19페이지.
  66. ^ Forte; Oram; Pedersen (2005) 페이지 232; Hudson, BT (2005) 페이지 130 그림.4; 오람(2000) 페이지 18~19.
  67. ^ Forte; Oram; Pedersen (2005) 페이지 232; Hudson, BT (2005) 페이지 172.
  68. ^ 더피(2006) 페이지 57; 캔든(1988) 페이지 402.
  69. ^ a b 더피(2006) 페이지 53, 57–58.
  70. ^ Chronicon Scotorum(2012) § 1075;얼스터 연보(2012) § 1075.1; 이니스팔렌 연보(2010) § 1075.2; Chronicon Scotorum(2010) § 1075;Tigernach (2010) § 1075.2; 더피 (2009) 페이지 295–296; 이니스팔렌 (2008) § 1075.2; Annals of Loch Cé (2008) § 1075.1; The Annals of Ulster (2008) § 1075.1; Duffy (2006) p. 58; Annals of Loch Cé (2005) § 1075.1; Annals of Tigernach (2005) § 1075.2; Hudson, BT (2005) p. 167; Hudson, B (1994b) p. 152, 152 n. 41; Duffy (1992) p. 102; Candon (1988) p. 399; Richter (1985) p. 336.
  71. ^ Annals of Inisfallen (2010) § 1075.2; Duffy (2009) pp. 295–296; Duffy (2006) p. 58; Hudson, BT (2005) p. 167; Hudson, B (1994b) p. 152, 152 n. 41; Duffy (1992) p. 102; Candon (1988) p. 399; Richter (1985) p. 336.
  72. ^ 더피(2006) 페이지 58.
  73. ^ McGuigan (2015) 페이지 108; 이니스팔렌 (2008) § 1094.5; Bodleian Library MS. Rawl. B. 503(n.d.)
  74. ^ Flanagan (2008) 페이지 907; Forte; Oram; Pedersen (2005) 페이지 232; Oram (2000) 페이지 19.
  75. ^ 맥도날드(2019) 페이지 11, 48, 플래너건(2008) 페이지 907, 더피(2006) 페이지 61–62, 허드슨, BT(2005) 페이지 172; 울프(2004) 페이지 100–101.
  76. ^ McDonald (2019) pp. 46, 48; McDonald (2007) p. 61; Duffy (2006) pp. 61–62; Forte; Oram; Pedersen (2005) p. 232; Hudson, BT (2005) p. 172; McDonald (1997) pp. 33–34; Anderson (1922b) pp. 43–45; Munch; Goss (1874) pp. 50–53.
  77. ^ a b c 더피(2006) 페이지 62.
  78. ^ 포르테; 오람; 페더슨 (2005) 페이지 232; 허드슨, BT (2005) 페이지 172; 울프 (2004) 페이지 100–101.
  79. ^ 포르테; 오람; 페더슨(2005) 페이지 232; 오람(2000) 페이지 19.
  80. ^ 더피 (2006) 페이지 51, 58; 앤더슨 (1922b) 페이지 22; 뭉크; 고스 (1874) 페이지 50-53.
  81. ^ a b 더피 (2006) 페이지 62; 앤더슨 (1922b) 페이지 43–45; 뭉크; 고스 (1874) 페이지 50–53.
  82. ^ 허드슨, BT (2005) 페이지 172; (1982)
  83. ^ McGuigan (2015) p. 108; Annals of Inisfallen (2010) § 1094.5; Annals of Inisfallen (2008) § 1094.5; Hudson, BT (2005) p. 172; Moody; Martin; Byrne (2005) p. 468 n. 4; Beuermann (2002) p. 433; Duffy (1992) p. 99 n. 32; Candon (1988) p. 402; Byrne (1982).
  84. ^ Moody; Martin; Byrne(2005) 페이지 468n. 4.
  85. ^ 맥기건(2015) 페이지 108.

참조

일차 출처

  • Anderson, AO, ed. (1922a). Early Sources of Scottish History, A.D. 500 to 1286. Vol. 1. London: Oliver and Boyd. OL 14712679M.
  • Anderson, AO, ed. (1922b). Early Sources of Scottish History, A.D. 500 to 1286. Vol. 2. London: Oliver and Boyd.
  • "Annals of Inisfallen". Corpus of Electronic Texts (23 October 2008 ed.). University College Cork. 2008. Retrieved 13 December 2014.
  • "Annals of Inisfallen". Corpus of Electronic Texts (16 February 2010 ed.). University College Cork. 2010. Retrieved 13 December 2014.
  • "Annals of Loch Cé". Corpus of Electronic Texts (13 April 2005 ed.). University College Cork. 2005. Retrieved 25 November 2016.
  • "Annals of Loch Cé". Corpus of Electronic Texts (5 September 2008 ed.). University College Cork. 2008. Retrieved 25 November 2016.
  • "Annals of Tigernach". Corpus of Electronic Texts (13 April 2005 ed.). University College Cork. 2005. Retrieved 24 November 2016.
  • "Bodleian Library MS. Rawl. B. 489". Early Manuscripts at Oxford University. Oxford Digital Library. n.d. Retrieved 24 November 2016.
  • "Bodleian Library MS. Rawl. B. 503". Early Manuscripts at Oxford University. Oxford Digital Library. n.d. Retrieved 24 December 2014.
  • Bugge, A, ed. (1905). On the Fomorians and the Norsemen. Oslo: J. Chr. Gundersens Bogtrykkeri. OL 7129118M.
  • "Cotton MS Julius A VII". British Library. n.d. Retrieved 13 December 2014.
  • "Chronicon Scotorum". Corpus of Electronic Texts (24 March 2010 ed.). University College Cork. 2010. Retrieved 20 October 2016.
  • "Chronicon Scotorum". Corpus of Electronic Texts (14 May 2012 ed.). University College Cork. 2012. Retrieved 20 October 2016.
  • Munch, PA; Goss, A, eds. (1874). Chronica Regvm Manniæ et Insvlarvm: The Chronicle of Man and the Sudreys. Vol. 1. Douglas, IM: Manx Society.
  • "The Annals of Tigernach". Corpus of Electronic Texts (2 November 2010 ed.). University College Cork. 2010. Retrieved 24 November 2016.
  • "The Annals of Ulster". Corpus of Electronic Texts (29 August 2008 ed.). University College Cork. 2008. Retrieved 6 December 2014.
  • "The Annals of Ulster". Corpus of Electronic Texts (15 August 2012 ed.). University College Cork. 2012. Retrieved 6 December 2014.
  • Waitz, G (1844). "Mariani Scotti Chronicon". In Pertz, GH (ed.). Monvmenta Germaniae Historica. Scriptores. Hanover: Hahn. pp. 481–568.

이차 출처

핑갈맥 고프레이드
섭정 직함
선행자
고프레이드 맥 시트리우크
섬의 왕
×1075/1079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