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랑기 (sword)

Firangi (sword)
피랑기
Peshwa Baji Rao I riding horse.jpg
마라타 페슈화 바지라오, 피랑기 칼을 휘두르며.
유형
원산지인도
서비스 이력
사용자무할족, 라즈푸츠족, 마라타족, 시크족
생산이력
생산됨c. 1500 현재
사양
블레이드 길이89~96cm(35~38인치)

블레이드 타입양날 또는 단날, 직선 블라인드, 뾰족한 팁.

피랑기 (/fərɪŋɡiiː/; 서유럽어[a "Frank"])[1] (Marathi:फिंग)))는 서유럽, 특히 솔링겐에서 제조되어 포르투갈인이 수입하거나, 유럽식 칼날을 모방하여 현지에서 만든 날을 사용한 인도의 검형이다.[2]

물리적 특성

전형적인 피랑기 검

피랑기 칼은 특징적으로 89-96 센티미터(35~38인치)의 긴 칼날과 넓은 말(두 개의 가장자리) 또는 더 일반적으로 백워드(단 하나의 가장자리)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칼날은 종종 한 개, 두 개 또는 세 개의 풀러(그루브)를 통합하고 창끝 모양의 점을 가지고 있었다. 칼은 자르기도 하고 찌르기도 한다. 좁은 레이피어 블레이드를 가진 예들은 비록 적은 숫자지만 살아남았다. 그 자루는 때때로 "인도 바구니 힐트"라고 불리는 종류의 것으로, 칼 자루와 같은 또 다른 인도의 직선 칼이었다. 자루는 손을 상당히 보호해 주었고, 포멜에서 돌출된 두드러진 스파이크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 결과 두 손으로 검을 잡을 수 있었다.[2] 다른 현대의 인도 검들과 마찬가지로 피랑이의 자루는 보통 철로 되어 있었고 칼날의 탱은 매우 강한 수지를 사용하여 킬트에 부착되었다. 또한, 칼날에서 칼날까지의 연결은 킬트로부터 칼날의 양쪽 면으로 돌출되어 있었고, 칼날까지의 연결은 구멍을 통해 함께 리벳으로 고정되었다. 칼날 이런 종류의 검의 가장 훌륭한 예들은 자루와 칼날 모두에 광범위한 금색 "코프티가리" 장식을 가질 수 있다.

사용하다

무굴 황제 샤 자한이 무력의 상징으로 백합과 피랑기 칼을 들고 서 있다.

피랑기는 길이가 길기 때문에 주로 기병용 무기로 간주된다. 초기 사례들은 탈전과 비슷한 단순한 교차 방어용 힐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그림들은 칼의 개발을 위한 16세기의 날짜를 제시한다. 이 칼은 특히 기병으로 유명했던 마라타족과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피랑기는 무굴인들과 시크교도와 라즈푸츠를 포함한 그들의 지배하에 있는 사람들에 의해 널리 이용되었다. 무갈 강자들이 피랑기를 들고 있거나 주인의 피랑기를 들고 있는 모습을 보면 그 칼이 무훈과 권력의 상징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3] 호드슨의 말(영국이 키운 불규칙한 기병부대)의 인도 장교들의 사진을 보면 피랑기가 1857-58년 인디언 반란 당시에도 여전히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4]

참고 항목

메모들

  1. ^ Because the Frankish kingdom (Francia, the name origin of "France") dominated Western Europe for centuries, terms derived from "Frank" were used by many in Eastern Europe, the Middle East, and beyond as a synonym for Roman Christians (e.g., al-Faranj in Arabic, farangi in Persian and Urdu, Frenk in Turkish, Feringhi in Hindi, and Frangos in Greek). 태국어 ฝร่ง파랑도 참조하라.thai-language.com, 2008년 thai-language.com
  2. ^ a b 스톤과 라로카, 229페이지
  3. ^ 에반젤리스타와 가우글러, 247페이지
  4. ^ 데이빗, 병으로 29세 영국인과 인디언 호드슨의 말 3월 1858년을 보여줘 한 인디언 장교가 피랑기로 무장하고 있다.

참조

  • 데이비드, S. (2002) 인도의 반란은 1857년 바이킹이다. ISBN0-670-91137-2
  • 에반젤리스타, N.와 가우글러, W.M.(1995) 검의 백과사전. 그린우드 출판 그룹, ISBN 0-313-27896-2
  • 스톤, G.C.와 라로카, D.J. (1999) 모든 나라와 모든 시대에 무기와 갑옷의 제작, 장식, 사용의 용어집이다. Courier Dover Publishes. ISBN 0-486-407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