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우메 문제
Fiume questionIn the aftermath of the First World War, the Fiume Question ("La Questione di Fiume" in Italian, "Riječko Pitanje" in Croatian), part of the larger Adriatic Question or Adriatic Problem concerned the fate of the territory that was part of the Corpus Separatum of Fiume, the Royal Free City and one of the only two free ports of the Austro-Hungarian empire. 문제의 근원은 민족주의, 이탈리아의 적개심, 유고슬라비아주의가 성장하던 시기에 코퍼스 분리독립의 민족적 혼합인구에 놓여 있었으며, 결국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의 국가가 탄생하게 되었다. 이 문제는 1919년 파리강화회의에서 합의의 주요 장벽이었으나 1920년 11월 12일 이탈리아와 유고슬라비아의 라팔로 조약에 의해 부분적으로 해결되었다.
배경
피우메(또는 크로아티아어로 Rijeka)는 수세기 동안 슬라브어 말하기 노동자 계층과 이탈리아 상업 계층의 본거지였다. 이 정착지는 1719년 오스트리아 황제 찰스 6세에 의해 자유항(트리에스테 항과 함께)으로 선언되고, 이후 1779년 오스트리아 황후 마리아 테레사에 의해 코퍼스 분리탈과 헝가리의 유일한 국제항구로 헝가리 왕국에 합병되기 전까지 매우 초라한 차원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특히 19세기 후반과 제1차 세계대전을 아우르는 시기에 급속한 경제 및 산업 성장을 가져왔다.이 시기에 피우메도 도시의 민족 구성에서 변화를 보았다. 그 기간 동안 도시를 통치했던 헝가리 왕국은 도시의 헝가리 요소를 선호했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모든 나라에서 이민을 장려했다. 이 도시는 제국의 주요 민족과 문화의 대부분을 아우르는 용광로가 되어 신세계로의 이민을 위한 주요 출발항이기도 했다. 혼합된 민족 구성은 제1차 세계 대전과 합스부르크 제국의 소멸 이후 몇 년 동안 피우메 문제의 문을 열 것이다.
1911년 마지막 오스트리아-헝가리 인구조사에서 코퍼스 분리툼은 4만9608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으며 다음과 같은 언어 공동체로 구성되었다.[1]
총 인구: 49,608명:
- 이탈리아어: 23,283명(46.9%)
- 크로아티아어: 15,731명(31.7%)
- 슬로베니아인: 3,937명 (7.9%)
- 헝가리인: 3,619명(7.3%)
- 독일어: 2,476명(5.0%)
- 영어: 202명(0.4%)
- 체코어: 183명(0.3%)
- 세르비아어: 70명(0.14%)
- 프랑스어: 40명(0.08%)
- 폴란드어: 36 (0.07%)
- 루마니아어: 29명(0.06%)
파리 평화회의와 이탈로-유고슬라프 분쟁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합스부르크가 지배한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붕괴(1918년 10월)는 경쟁국인 크로아토-세르비아와 이탈리아 정부를 수립했다; 이탈리아와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설립자들 모두 그들의 "비례"에 근거하여 주권을 주장했다.t" ("대체되지 않은") 민족 인구. 세르비아 크로아츠 왕국과 슬로베니아에 의한 짧은 군사 점령 이후 자그레브와 베오그라드에 의한 전 코퍼스 분리탈의 일방적 합병에 이어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미군의 국제 병력이 이 도시에 입성(1918년 11월)했다. 그것의 미래는 1919년 파리강화회의에서 논의되었다. 이탈리아는 이탈리아인이 도시 내에서 단일 국적을 가장 많이 구성했다는 점(평화회의 당시 전체 인구의 65%)을 근거로 내세웠다. 크로아츠는 나머지 부분 중 상당 부분을 차지했으며, 인근 도시인 수샤크를 포함한 주변 지역의 다수를 차지하기도 했다.[2] 피우메에서 헝가리 의회까지 마지막 대표였던 안드레아 오스이낙은 피우메 대표로 회의에 참석했고, 근본적으로 이탈리아의 주장을 지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도시에는 독립 국가를 표방하는 강하고 매우 활동적인 자치 정당이 있었는데, 파리 회의에도 대의원이 있었고 루게로 고타르디가 대표로 있었다.
참고 항목
참조
- ^ A.J.P. 테일러: 합스부르크 왕정, 1809–1918, 시카고 대학 출판부, 페이퍼백, 1976, ISBN0-226-79145-9, 269페이지
- ^ 익명, 1919년 Reka-Fume : l'histoire, la langue et la statistique, Beograd.
추가 읽기
- 릴, 도미니크 키르치너 피우메 위기: 합스부르크 제국의 후폭풍(2020년) 온라인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