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이페이퍼 효과
Flypaper effect플라이페이퍼 효과는 수령 지자체에 대한 정부 보조금이 지방소득의 등가 증가보다 지방 공공지출의 수준을 더 높이도록 제안하는 공공재정 분야 개념이다.[1] 한 지역사회에 1달러의 외생적 보조금이 상당액의 시민소득보다 훨씬 더 큰 공공지출로 이어질 때, 돈이 날아다니는 파리처럼 부딪히는 곳에 붙는다.[2] 정부에 대한 보조금은 정부 수중에 머물 것이고 개인에 대한 수입은 이 개인들에 머물 것이다.
창간
이 개념은 아서 오쿤이 1979년 발표한 '정부간 보조금(Intergovernment Grants)의 자극효과'라는 동료 에드워드 그람리치의 연구에 대해 은유적으로 처음 서술한 것이다. 그람리히는 쿠란트, 루빈펠트와 함께 비매칭 보조금이 지역사회 내 민간인에게 돌아가는 수입보다 보조금 1달러당 훨씬 더 많은 지역 소비를 자극하는 현상에 대한 설명을 구했다. 이 논문의 파지 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부레자와 정치인들은 정부가 소득분배 단체를 받을 때 그들이 세금을 올리는 것보다 세금 감면을 피하는 것이 더 쉽다고 생각한다."[3]
이 경우 연방정부에서 지방정부에 보조금을 지급하면 해당 지방정부의 지출이 동등한 지방소득 증가액보다 더 크게 증가할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다.[3] 지방 공공자원은 보조금의 형태로 중앙정부로부터 재정 이전과 개인의 소득에서 모두 나온다. 헨더슨과 그람리히는 개인의 소득 제약을 받는 효용성을 최대화함으로써 개인의 수요 방정식을 규정했는데, 이는 개인 소득의 합과 정부의 제약 없는 재정 이전에서 개인의 몫으로 명시된다. 이 규격은 개인소득과 개인의 재정 이전 몫이 지출에 동일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플라이페이퍼 효과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것은 합리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변칙적인 것으로 묘사될 수 있다. 즉, 정부 보조금과 이에 상응하는 지방 수입 증대가 동일한 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4]
설명
파지 효과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공무원의 역할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공무원들이 예산을 최대화하는 모델로 예산을 극대화하는 경향이 있다는 주장이 처음 니스카넨에 의해 제기되었다. 공무원들은 예산 극대화를 위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공무원들은 지역사회가 받는 진정한 수준의 보조금에 대해 시민들에게 알릴 동기가 없다. 공무원들이 이 정보를 숨긴다면, 그들은 시민들로 하여금 그렇지 않았다면 그랬을 것보다 더 높은 수준의 자금을 위해 투표하도록 속일 수도 있다. 이런 점에서 파지 효과는 시민들이 진정한 예산 제약에 대해 알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5]
제공되는 다른 설명은 데이터 문제 또는 계량계 문제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일치교부금이 통계자료에서 비매칭교부금으로 기록되었거나 일부 누락된 변수 편향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2]
경험적 증거
플라이페이퍼 효과가 처음 제안된 이후 여러 명의 연구자들이 이 현상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세우려고 노력해왔다. 대부분의 연구는 실제로 지역사회가 보조금의 형태로 받은 1달러가 지역사회 소득의 1달러 증가보다 더 큰 공공지출로 이어진다는 것을 발견한다.[2]
쿠란트, 그람리히, 루빈펠트가 수행한 독창적인 연구는 플라이페이퍼 효과를 뒷받침할 실증적 결과를 발견한 최초의 연구였다. 나중에 연구한 결과, 모든 비매칭 보조금이 지역사회에 의해 인식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밝혀내었고, 따라서 파지 효과를 뒷받침할 수 있을 것이다.[6]
파캄프, 맥켄지, 퀸, 우드러프(2014년)의 연구는 가나에서 무작위로 시행된 시험으로 현금 이전을 현물 이체와 비교한 플라이페이퍼 효과를 보여준다.[7]
참고 항목
참조
- ^ Alexander Kalb (March 2010), "The impact of intergovernmental grants on cost efficiency: theory and evidence from German municipalities", Economic Analysis & Policy, 40 (1)
- ^ a b c Robert P. Inman (December 2008), "The Flypaper Effect", NBER Working Paper Series (14579)
- ^ a b Courant, Gramlich, Rubinfeld (1979), "The Stimulative Effects of Intergovernmental Grants" (PDF), Fiscal Federalism and Grants-in-Aid,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0-07-14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James R. Hines; Richard H. Thaler (1995), "Anomalies: The Flypaper Effect", The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9 (4): 217–226, doi:10.1257/jep.9.4.217, JSTOR 2138399
- ^ Harvey S. Rosen; Ted Gayer (2010), Public Finance (Ninth ed.), New York, McGraw-Hill education, ISBN 978-007-126788-5
- ^ James M. Enelow; Melvin J. Hinich (29 June 1990), Advances in the Spatial Theory of Voting, Cambridge USA, University Press, ISBN 0-521-35284-3
- ^ Fafchamps, Marcel; McKenzie, David; Quinn, Simon; Woodruff, Christopher (January 2014). "Microenterprise growth and the flypaper effect: Evidence from a randomized experiment in Ghana".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106: 211–226. doi:10.1016/j.jdeveco.2013.09.010. ISSN 0304-38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