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t O'Rourke
Fort O'RourkeFort O'Rourke | |
---|---|
워싱턴 D.C.의 남북 전쟁 방어의 일부. | |
페어팩스 군 | |
유형 | 토공 요새 |
현장정보 | |
에 의해 제어됨 | 북군 |
조건. | 안정화됨 |
사이트이력 | |
지었다. | 1862-3 |
사용중 | 1862–1865 |
자재 | 흙,재목 |
철거됨 | 1865 |
전투/전쟁 | 미국 남북 전쟁 |
포트 오루크(Fort O'Rourke)는 현재 미국 버지니아주 페어팩스 카운티 벨 헤이븐(Belle Haven) 지역에 위치한 옛 북군 시설입니다. 그것은 미국 남북전쟁에서 워싱턴 D.C.를 방어하기 위해 지어진 최남단 요새였습니다.
북버지니아 주 점령
1861년 4월 14일 사우스 캐롤라이나 찰스턴에서 섬터 요새를 항복한 후,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은 "반란이 있었다"고 선언하고,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75,000명의 병력을 소집할 것을 요구했습니다.[1] 이 움직임은 다른 많은 남부 주들에서 분노를 일으켰고, 즉시 분리 논의를 시작했습니다. 버지니아 주 의회는 분리령을 통과시키고 연방에서 분리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5월 23일 국민투표를 명령했습니다. 미국 육군은 워싱턴을 창설함으로써 하나의 지휘 아래 콜롬비아와 메릴랜드의 모든 북군을 통합했습니다.[2]
워싱턴 주 사령관인 J.F.K. 맨스필드 준장은 남부군이 알링턴 언덕에 포병을 배치하고 워싱턴의 정부 건물에 포격을 가할 가능성을 막기 위해 가능한 한 빨리 북버지니아를 점령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또한 체인 브리지, 롱 브리지, 수로교의 남쪽 터미널을 보호하기 위해 포토맥 강 버지니아 쪽에 요새를 세울 것을 촉구했습니다. 그의 상관들은 이러한 권고를 승인했지만 버지니아가 탈퇴 찬반 투표를 한 후까지 기다리기로 결정했습니다.[3]
1861년 5월 23일 버지니아 주는 3 대 1의 차이로 연방을 떠나는 것에 찬성표를 던졌습니다. 그날 밤, 미군은 워싱턴 D.C.와 버지니아를 잇는 다리를 건너기 시작했습니다.
하이 그라운드를 밟기

버지니아 북부를 점령한 후 7주 동안 포토맥 강둑과 버지니아와 워싱턴, 조지타운을 연결하는 3개의 주요 다리(체인 브리지, 롱 브리지, 수로교)의 접근로에 요새가 건설되었습니다.[4]
포토맥 강 요새가 건설되는 동안 도시를 보호하기 위해 거대한 새로운 요새에 대한 계획과 측량 명령이 내려졌습니다. 건설 중인 요새와는 달리, 새로운 요새는 알링턴을 통과하는 가장 직접적인 경로가 아니라 모든 방향에서 도시를 방어할 것입니다. 7월 중순, 이 작업은 제1차 불런 전투로 중단되었습니다. 북동부 버지니아의 군대가 마나사스로 남쪽으로 진군할 때, 이전에 건설 임무를 맡은 군인들은 대신 전투를 위해 진군했습니다. 북군이 불런에서 패배한 후 며칠 동안, 패닉에 빠진 노력은 남군의 임박한 공격으로 인식되었던 워싱턴을 방어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5] 결과적으로 발생한 임시 참호와 토공은 주로 알링턴과 워싱턴으로 직접 접근하는 데 국한되었습니다.
전투 5일 후인 1861년 7월 26일, 조지 B 소장. 매클렐런은 워싱턴 군 지역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포토맥 군으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워싱턴에 도착한 맥클렐런은 도시의 방어선 상태에 경악했습니다.
군대의 위치나 수, 방어 업무의 수와 성격 등에서 적들의 상당한 신체에 강력한 저항을 하는 것과 같은 방어 성향은 결코 없었습니다. 메릴랜드 쪽에서는 단 한 건의 방어 작업도 시작되지 않았습니다. 적의 저항이 거의 없는 적의 기둥이 점령할 수 있는 쉬운 범위의 높은 곳에서 적의 포격을 막을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습니다.[6]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맥클렐런이 지휘권을 잡았을 때 가장 먼저 주문한 것 중 하나는 워싱턴의 방어망을 크게 확장하는 것이었습니다. 나침반의 모든 지점에서 요새와 참호는 어떤 공격도 물리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강도로 건설될 것입니다.[7] 체서피크와 오하이오 운하의 남쪽 종점과 체서피크 만에서 가장 큰 항구 중 하나를 포함하는 알렉산드리아는 "불안한 연구"의 대상이었습니다.[8]
기획시공
포트 오루크는 게티스버그에서 전사한 패트릭 오루크 대령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 1862년 후반과 1863년 초 사이에 리두부트 요새로 건설되었습니다.[9] 둘레가 160야드이고 16발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있습니다.[10]
잔재

요새 부지는 오늘날 포트 드라이브와 파크 플레이스의 남동쪽 모퉁이에 위치해 있으며, 현재 그 부지는 페어 헤이븐의 작은 지역 커뮤니티 센터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요새의 눈에 보이는 유적을 찾을 수 없습니다.[11]
참고문헌
- ^ Long, E.B.; Long, Barbara (1971). The Civil War Day by Day: An Almanac 1861-1865. Garden City, NY: Doubleday & Company, Inc. pp. 47–50.
- ^ Long & Long 1971, 67쪽.
- ^ 냉각, 벤자민 프랭클린, 3세, 상징, 검, 방패: 남북전쟁 중 워싱턴 방어 (Shippensburg, PA: White Mane Publishing Company, 1991), pp. 32-26, 41.
- ^ J.G. Barard와 W.F. Barry, "포토맥 군대의 기관사 및 포병 작전의 조직부터 반도 전역까지의 보고서" (뉴욕: D. Van Nostrand, 1863), 9-10쪽.
- ^ 마거릿 리치, 워싱턴의 리빌 (뉴욕: 하퍼 & 브라더스 출판사, 1941), 101-110쪽.
- ^ 미국, 전쟁부, 반란의 전쟁: 북군과 남군의 공식 기록집, 70권 (워싱턴 DC: 정부인쇄국, 1880-1901) I, 5권, 11쪽.
- ^ 공식 기록, 시리즈 I, 5권, 14장, 679쪽.
- ^ 공식 기록, 시리즈 I, 5권, 14장, 680쪽.
- ^ 냉각, 벤자민 프랭클린, 3세 그리고 월튼 H. 오웬, 1988년 링컨 씨의 요새: 워싱턴 내전 방어를 위한 안내서.
- ^ Cooling III, Benjamin Franklin; Owen II, Walton H. (6 October 2009). Mr. Lincoln's Forts: A Guide to the Civil War Defenses of Washington. Scarecrow Press. p. 52. ISBN 978-0-8108-6307-1.
- ^ Benjamin Franklin Cooling III; Walton H. Owen II (6 October 2009). Mr. Lincoln's Forts: A Guide to the Civil War Defenses of Washington. Scarecrow Press. pp. 63–. ISBN 978-0-8108-63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