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 논문

Four Dissertations

포픽션》은 18세기 스코틀랜드 계몽주의 철학자 데이비드 흄이 1757년에 처음 발표한 4편의 에세이를 모은 것이다.[1] 네 개의 에세이는 다음과 같다.

  1. 종교의 자연사
  2. Of the Passives
  3. 비극의
  4. 미각의 표준

종교의 자연사

흄은 이 에세이에서 종교적 신념의 원인과 효과, 역사적 발전에 대한 선구적인 자연주의자의 설명을 제공한다. 흄은 조잡한 다신교는 인류의 초기 종교였으며 종교의 기원을 감정, 특히 희망, 두려움, 미래를 지배하려는 욕망으로 위치시키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또한 신도들이 그들의 신성을 모든 경쟁자들보다 우월한 것으로 구별하기 위해 노력함에 따라 종교간의 경쟁으로부터 단일신앙이 생겨난다고 주장한다. 깨달은 일신교는 미신적인 다신론보다 더 합리적으로 방어할 수 있지만, 실제로 다신론은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흄 교수는 유일신 종교는 더 편협하고 위선적인 경향이 있으며 지적 부조리가 더 커지며 굴욕감, 모욕감, 소극적 고통과 같은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괴물적 덕목'을 조장한다고 주장한다.[2]

흄은 "자연사"를 특유의 회의적인 관점에서 결론짓는다.

그 전체는 수수께끼, 수수께끼, 불가해한 수수께끼다. 의심, 불확실성, 판단 중단은 이 주제에 관한 가장 정확한 조사의 유일한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인간 이성의 허약함, 그리고 이와 같이 거부할 수 없는 의견의 전염은 이 의도적인 의심조차 좀처럼 지탱할 수 없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의 견해를 확대시키지 않았고, 미신의 한 종을 다른 종으로 반대하여, 그들에게 싸움을 걸게 하지 않았다. 반면에 우리 자신은 그들의 분노와 논쟁 동안, 우리의 탈출을 행복하게, 침착하고, 침착하고, th.철학의 영역은 불명확하다.[3]

Of the Passives

흄은 선과 악이 무엇인지 진부한 예를 들면서 열정을 시작한다. 좋아, 즐거움으로. 사악함, 고통스러워하는 것. 그리고 나서 그는 인간의 마음을 추리하는 능력으로서 감정을 분석하기 시작한다. 그는 감정이 섞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를 파괴할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또한 우리의 상상력과 정서가 결합되어 무언가에 대한 인상을 만든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당신은 시험에서 당신의 성적을 보고 그것이 좋다. 그리고 당신은 좋은 성적을 좋은 선생님과 심지어 수업에 흥미가 있는 것으로 돌린다. 흄은 우리가 그 순간의 지나친 열정을 바탕으로 결정을 내린다는 점에서 종교를 옳고 그름의 추리력에서 배제하려고 한다. 아내가 이혼할 수도 있지만 복권에 당첨되면 잊어버릴 거라고 장담해. 그는 이렇게 감정과 정서가 뒤섞이면 희망과 공포가 생겨나고, 이것이 고대사회에서 종교를 낳는다는 말로 끝을 맺는다.

비극의

이 왜 우리가 비극적인 드라마를 즐기는지 생각해본 곳이 바로 비극의 현장이다. 그는 관객들이 비극에서 묘사된 슬픔과 불안 속에서 즐거움을 찾는 이유를 걱정했다. 그는 관객이 자신이 극적인 연기를 목격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했다. 보여지고 있는 끔찍한 사건들이 사실은 허구라는 것을 깨닫는 기쁨이 있다.[4]

흄은 비극과 그것의 열정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금까지 흄의 이러한 관계에 대한 견해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공식화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흄의 개종설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고통스러운 열정은 문체적이고 형식적인 수사적 수단을 사용하여 즐거운 것으로 바뀐다. 이 견해는 지지자나 비판자들에 의해 끊임없이 증명되고, 반증되고, 편집되고, 변화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비극은 시적 또는 수사적, 양식적 수단을 사용하여 쾌락을 유도한다는 데 지지자나 비평가들은 동의한다.[5]

미각의 표준

'미각의 표준'은 흄에게 미의 겉보기 상대성을 다루도록 요구하기 때문에 혁신적인 미학에 관한 세미날 에세이로, 좋은 예술 작품의 '선'이나 '미'가 그것이 만들어내는 긍정적인 인간의 반응과 동일하다는 자신의 가정으로부터 따르는 것으로 보이는 결론이었다. 에세이가 대상(그림, 책)보다는 주제(시청자, 독자)에 초점을 맞춘 것은 18세기 영국의 '센티멘탈리스트'나 도덕적 감각 이론가들의 전형이다. 미의 객관적 정의를 추구했던 18세기 프랑스 철학자들과는 달리 영국 학교는 미적 판단과 미적 판단 사이의 연관성을 찾는 경향이 있었다.

요약

흄은 사람들의 취향(또는 사람들이 내리는 심미적 판단)에 많은 차이가 있다는 관찰로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흄은 인간의 본성에는 그러한 판단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고 심지어 정당성을 제공하는 공통된 메커니즘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 심미적 감각을 <인간의 자연관한 논문> 제3권(1739–1740)과 <도덕원리에 관한 질문>(1751년)에서 주장하는 도덕적 감각과 상당히 유사하다고 여긴다. 게다가, 그는 이것이 여전히 한 사람의 미적 미각을 정제할 수 있는 능력을 위한 여지를 남긴다고 주장한다. (Fieser, 2006, §2)

흄은 취향의 문제에 관한 커다란 다양성과 의견 불일치가 어느 정도 자연적으로 다양한 감성과 재배될 수 있는 중요한 시설이라는 두 가지 기본적인 근원을 가지고 있다고 그의 전제로 삼았다. 각 사람은 이러한 두 가지 출처의 조합으로, 흄은 비평가들의 훌륭한 자질을 묘사하려고 노력하는데, 이는 그들이 타고난 미의식을 신뢰할 수 있는 판단력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그가 묘사한 훌륭한 비평가들의 자질은 다양하며, 각각은 궁극적으로 신뢰할 수 있고 정의로운 판단 능력에 기여한다.

참조 및 추가 판독

참조

  1. ^ Hume, David (1757). Four Dissertations (1st ed.). London: A. Millar in the Strand. Retrieved 15 June 2015. david hume four dissertations. 구글 북스를 통해
  2. ^ 데이비드 흄, 종교의 자연사 스탠포드, CA: 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1956, 페이지 52.
  3. ^ 흄, 자연사 76쪽
  4. ^ 슈미트, CM, 데이비드 흄: 역사 속의 이유, 펜 스테이트 프레스, 2010 페이지 325-326.
  5. ^ 로샤니 페이안 M. (2017) 데이비드 키미아 호나르에 따르면 비극이 도덕과 인지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75-8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