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체스 발포어

Frances Balfour
프란체스 발포어
Frances Balfour.jpg
태어난
프랜시스 캠벨

1858년 2월 22일
영국 런던
죽은1931년 2월 25일 (1931-02-25) (73세)
영국 런던
국적영국의
로 알려져 있다.여성 인권 운동
정당
  • 1886년까지 휘그
  • 자유연합주의자들
배우자유스티스 발포어 (1911년 9월)
아이들.5
상위 항목제8대 아길 공작 조지 캠벨
엘리자베스 서덜랜드-레브슨-가워 부인

레이디 프랜시스 발포어(Née Campbell; 1858년 2월 22일 – 1931년 2월 25일)[1]는 영국에서 여성 참정권 운동의 주도적 역할을 맡은 영국 귀족의 최고위층 중 한 명이었다. 발포르는 1896년부터 1919년까지 전국여성참정권학회 집행위원이었다. 비폭력적 참정권론자로서 그녀는 여성사회정치연합의 전투적 행동에 반대했는데, 그 조직원들은 참정권론자라고 불렸다.

인생

영국 자유당 정치인이자 스코틀랜드또래인 조지 캠벨(8대 아르길 공작)과 의 아내 엘리자베스 서덜랜드-레브손-가워(2대 서덜랜드 공작의 장녀)의 열 번째 자녀인 그녀는 런던 켄싱턴의 아르길 숙소에서 태어났다.[2] 프랜시스 캠벨 부인은 고관절 질환으로 장애를 받았고, 어린 시절부터 지속적인 통증에 시달리며 절뚝거리며 걸었다. 그녀의 부모는 신앙심이 깊었고 사회 개혁을 위한 몇 가지 다른 캠페인에 참여했다. 그녀는 어린 시절, 예를 들어, 1833년 영국 영토 내에서 정부에 의해 노예제도가 공식적으로 금지된 후, 예전 노예들의 아이들에게 보내질 옷을 뜨개질하는 등 이러한 캠페인을 도왔다고 한다.

1879년 그녀는 런던에 본사를 둔 스코틀랜드의 건축가인 유스티스 발포르와 결혼했다. 유스티스의 삼촌인 솔즈베리 경은 영국의 총리로서 세 번의 임기를 가졌다. 유스티스의 형 아서 발포르 역시 1902년부터 1905년까지 보수당 영국 총리였다. 그러나, 시댁의 보수정치에 반대하여, 프란체스는 그녀의 부모와 함께, 그녀가 젊은 여성이었을 때 자유주의 정치가 윌리엄 글래드스톤과 그의 정부를 지지했다. Frances Balfour와 그녀의 남편은 이러한 정치적 차이를 극복하지 못했고 점점 더 적은 시간을 함께 보냈다.

참정권

여성 대관식 행렬에 참석한 밀리센트 포셋과 부인 프란체스 발포르 부인

그녀는 귀족 계급의 유일한 구성원이었고 영국 여성 참정권 운동에서 지도적 역할을 한 유일한 스코트였다. 그녀는 1889년 여성 참정권을 위한 일을 시작했는데, 그 때 그녀는 헌법학자들의 의회와 주요 연락원이 되었다. 1897년, 그녀는 새로 결성된 전국여성참정권연맹(NUWSS)의 집행위원회 위원이 되었고, 대통령은 밀리센트 개럿 포셋 부인이었으며, 그 시작부터 1918년 일부 여성들이 투표를 받을 때까지 이 자격으로 활동했다. 그녀는 또한 1896년부터 1919년까지 영국에서 가장 큰 단일 참정권 단체인 런던 여성 참정권 협회의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그녀는 1903년부터 1915년까지 전문직 여성들에게 봉사활동을 하는 Lyceum Club의 회장을 역임했다. 여성 투표를 위한 그녀의 작업이 거의 끝났을 때, 프란체스는 1917년 전국 여성 평의회에 가입했고, 1921년부터 23년까지 대통령을 지냈다.[3] 프랜시스 부인(Lady Frances)은 자서전 《네 오블리스카리스》(Dinna Forget)를 포함한 6권의 책을 출판했으며, 노라 빈과 함께 《여성과 진보》의 공동 편집자였다. 이 잡지는 남성과 여성의 평등한 시민권을 달성하기 위해 헌신했다. 그들은 젊은 남성들에게도 똑같이 적용되는 한 투표에서 제외된 젊은 여성들을 보는 것에 행복했다. 이 잡지는 1914년 6월 자금 부족이 불가피하게 접었을 때 곧 성공을 거두려는 듯 보였다.[4] 오늘날 그 잡지는 초기 조각 모음 역사의 좋은 출처 역할을 한다.[5]


리섬 클럽

작가 콘스탄스 스메들리는 여성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클럽을 시작하기로 결정했다. 또 다른 창시자인 제시 트리플은 새로운 클럽을 리슘 클럽이라고 부르자고 제안했고, 새로운 위원회는 스메들리가 레이디 프랜시스 발포어를 만날 수 있도록 주선했다. 위원회는 새로운 회원들을 위해 작가, 전문직 여성 그리고 심지어 저명한 남성의 딸이나 아내까지 그물을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발포르는 새로운 클럽을 이끌기로 동의했고 15년 동안 그들의 의장직을 수행했다.[6]

죽음

그녀는 1931년 2월 25일 런던에서 기관지 폐렴[2] 심장마비로 사망했으며, 스코틀랜드 이스트 로티안의 발포르 가족 집휘티테하메에 안장되었다.

출판물

  • 엘시 잉글리스 박사(1920)
  • 제4대 애버딘 백작 조지의 생애(1923년)
  • 레이디 빅토리아 캠벨: 회고록(1911년)
  • [오피니언] KT 버레이의 발포르 공 회고록 (1924년)
  • D.D. (1909) 매우 중요한 이야기[아니, 그녀는 1912년에 St Cuthberts의 맥그리거 박사를 출판했다. Principle Story는 Dr. Story의 딸들이 쓴 회고록이었다.
  • Life and Letters 만약 목사 제임스 맥그리거 (1912년)
  • 1881-1931년 프란체스 발포르 부인 암기에 (여행자 구호 협회 위원회(1931)가 편찬한 신문 기사)

구분

참조

  1. ^ B., HUFFMAN, JOAN (2017). LADY FRANCES. TROUBADOR PUBLISHING. ISBN 978-1788035057. OCLC 971535238.
  2. ^ a b William Knox (6 March 2006). The Lives of Scottish Women: Women and Scottish Society 1800-1980. Edinburgh University Press. pp. 98–114. ISBN 978-0-7486-2655-7.
  3. ^ Glick, Daphne (1995). The National Council of Women of Great Britain: the first one hundred years. National Council of Women of Great Britain. ISBN 978-0900915079.
  4. ^ "Vynne, Eleanora Mary Susanna [Nora] (1857–1914), journalist and political activist".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nline ed.).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doi:10.1093/ref:odnb/55976. Retrieved 11 August 2020. (구독 또는 영국 공공도서관 회원 필요)
  5. ^ Crawford, Elizabeth (2001). The Women's Suffrage Movement: A Reference Guide, 1866-1928. Psychology Press. p. 462. ISBN 978-0-415-23926-4.
  6. ^ "History of Lyceum". International Lyceum Clubs. Retrieved 8 May 2021.{{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7. ^ Joan B. Huffman, 'Balfour [née Campbell, 레이디 프랜시스], 옥스포드 국립 전기 사전, 2010.
  8. ^ "Historic statue of suffragist leader Millicent Fawcett unveiled in Parliament Square". Gov.uk. 24 April 2018. Retrieved 24 April 2018.
  9. ^ Topping, Alexandra (24 April 2018). "First statue of a woman in Parliament Square unveiled". The Guardian. Retrieved 24 April 2018.
  10. ^ "Millicent Fawcett statue unveiling: the women and men whose names will be on the plinth". iNews. Retrieved 25 April 2018.
비영리조직직
선행자 영국·아일랜드 국가여성위원회 위원장
1921–1923
성공자
조지 모건 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