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랭크 크레인
Frank Crean프랭크 크레인 | |
---|---|
![]() | |
오스트레일리아의 제5대 부총리 | |
재직중 1975년 7월 2일 – 11월 11일 | |
수상 | 고프 휘틀람 |
선행자 | 짐 케언스 |
성공자 | 더그 앤서니 |
해외 무역부 장관 | |
재직중 1974년 12월 11일 – 1975년 11월 11일 | |
수상 | 고프 휘틀람 |
선행자 | 짐 케언스 |
성공자 | 더그 앤서니 |
오스트레일리아의 회계 담당자 | |
재직중 1972년 12월 19일 – 1974년 12월 11일 | |
수상 | 고프 휘틀람 |
선행자 | 고프 휘틀람 |
성공자 | 짐 케언스 |
노동당 부대표 | |
재직중 1975년 7월 2일 – 1975년 12월 22일 | |
리더 | 고프 휘틀람 |
선행자 | 닥터 짐 케언스 |
성공자 | 톰 우렌 |
멜버른 포트 멤버 | |
재직중 1951년 4월 28일 – 1977년 11월 10일 | |
선행자 | 잭 할로웨이 |
성공자 | 클라이드 홀딩 |
빅토리아 주의회 의원 | |
재직중 1949년 1월 22일 – 1951년 3월 1일 | |
선행자 | 윌리엄 키르크 |
성공자 | 로버트 페티오나 |
선거구 | 프라흐란 |
재직중 1945년 11월 10일 ~ 1947년 11월 7일 | |
선행자 | 윌리엄 호워드 |
성공자 | 로이 실링 |
선거구 | 앨버트 박 |
개인내역 | |
태어난 | 프랜시스 대니얼 크레인 )28 1916년 2월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주 해밀턴 |
죽은 | 2008년 12월 2일 멜버른, 빅토리아, 오스트레일리아 | (92)
정당 | 노동. |
배우자 | 메리 핀들레이 (m. 1945) |
아이들. | 사이먼 데이빗 스티븐 |
모교 | 해밀턴 고등학교 멜버른 대학교 |
프랜시스 대니얼 크레안(1916년 2월 28일~2008년 12월 2일)은 1951년부터 1977년까지 하원의원을 역임한 오스트레일리아의 정치인으로서 노동당을 대표하였다. 1972년부터 1974년까지 재무장관, 1975년 몇 달 동안 부총리를 역임하는 등 휘틀람 정부에서 장관을 지냈다.
크레안은 빅토리아주 해밀턴에서 태어났다. 멜버른 고등학교와 멜버른 대학교에 다녔고, 이후 세무사로 일했다. 크레안은 1945년 빅토리아 입법부에 선출되었다. 1947년 의원직을 상실하고 1949년 다시 되찾았으나 2년 뒤 주정치를 그만두고 1951년 연방선거에 출마했다. 크레안은 비록 대부분의 시간 동안 앞잡이였지만 반대편에서 연방 정치에서 그의 경력 중 첫 21년을 보냈다. 1972년 선거 이후 재무관이 됐지만 경제적 불확실성과 계파적 고려는 2년 만에 짐 케언스로 교체되는 것을 의미했다. 대신 그는 대외무역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크레안은 1975년 정부의 해임 때까지 그 자리를 지켰고, 마지막 6개월 동안은 케언스가 케를라니 정사에 휘말리게 되자 대신 부총리가 되었다. 그는 1977년 선거에서 정계를 떠났다.
초년기
크레안은 그의 아버지가 자전거 제작자였던 빅토리아주 해밀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아일랜드계 가톨릭 신자였지만, 프란치스코는 어머니의 장로교 신앙에서 자랐다. 그는 어렸을 때 프란치스코로 알려졌으나, 후에 이름을 덜 아일랜드 가톨릭 신자인 프랑크로 바꾸었다. 멜버른 대학교에서 예술 및 상업학 학위와 공공행정학 학위를 취득하고 회계사와 세무 컨설턴트가 되었다.
1946년 크레안은 메리 핀들레이와 결혼했고, 그와 함께 세 아들을 두었다. 이 중 한 명인 사이먼 크레안은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연방 노동당의 지도자였다. 또 다른 데이비드 크레안 박사는 태즈메이니아 주 노동 정부의 장관이 되었다. 그의 셋째 아들 스티븐은 스키를 타다가 길을 잃었고 1985년 8월 샬롯 패스 근처에서 눈보라가 몰아쳐 사망했다. 대대적인 수색으로 그를 찾지 못했다. 그의 유해는 2년여 만에 발견됐다.
정치
1945년 크레안은 빅토리아 입법부에 선출되었으나 1947년에 패배하였다. 그는 1949년에 재선되었다. 그는 하원 멜버른 항구의 안전한 노동자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1951년 주정치를 그만두었다. 캔버라에서 크레안은 경제학의 공식적인 자격을 가진 몇 안 되는 노동당원 중 한 명이었기 때문에 급속히 발전했다. 1956년 야당 앞좌석에 선출된 그는 사실상 그림자 재무관이 되었다(노동당은 1969년까지 공식적인 그림자 사역을 두지 않았다). 그가 16년 동안 지킨 이 직책. 1960년대 동안 크레안은 때때로 당 지도자로 간주되기도 했지만, 그의 다소 투덜거리는 대중적 이미지는 그가 1967년에 지도자가 된 고우 휘틀람에게 추월당했다는 것을 의미했다. 휘틀램이 마침내 1972년 선거에서 노동당을 대통령으로 이끌었을 때, 휘틀램은 그에 대한 진정한 신뢰는 없었지만, 크레안은 재무관이 되었다. 크레안의 임기는 높은 인플레이션과 증가하는 실업률의 시작과 동시에 일어났다. 그는 재무부로부터 받고 있는 정통적인 경제 조언을 신뢰하지 않았지만 그것에 도전할 권한이 부족했다. 노동좌파의 지도자 짐 케언스 박사는 내각에서 크레안의 정책을 공격했고, 1974년 12월 휘틀램은 케언스에게 재무부를 주고 크레안을 무역 포트폴리오로 옮겼다.
1975년 7월 휘틀램은 케언스가 대출 문제에 관여했다는 이유로 해고했고, 크레안은 그 대신 당 부대표와 부총리로 선출되었다. 그는 1975년 11월 휘틀람 정부가 해산될 때까지 이 직책을 맡았다. 선거가 끝난 후 그는 리오넬 보웬의 14표, 휘틀램의 36표로 13표를 득표하며 지도부에 도전했다. 그는 1977년에 의회에서 물러났다.
만년
1978년부터 2004년까지 크레안은 새희망이주민난민센터의 회장을 맡았다.[1] 2006년 7월, 그는 Gough Whitlam의 90번째 생일 행사를 위해 주간지를 여행하기에는 너무 허약했다고 보도되었다.
크레안은 1972년 휘틀람 정부 선출 36주년 기념일인 2008년 12월 2일 짧은 병에 걸려 사망했다.[2]
참조
- ^ 호주 정부 통보: "주 장례: The Honorable Frank Crean" , The Age, 2008년 12월 9일
- ^ "Former minister Frank Crean dies". The Austral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December 2008. Retrieved 2 December 2008.
참고 문헌 목록
이 섹션에는 목록에 있는 책들에 대한 ISBN이 없다. (2015년 4월) |
- 프리스, 마리온(1995) "가족 정치-아버지처럼, 아들처럼" 시대. 6월 24일.
- 그리피스, 토니(2005년). 아름다운 거짓말: 멘지스에서 하워드까지 오스트레일리아. 켄트 타운: 웨이크필드 프레스.
- 스미쓰, 폴(1994) 오스트레일리아의 사회 정책: 케인즈 지부. 시드니: 뉴사우스웨일스 대학 출판부.
- 스튜어트 이언(1974년). "인플레이션이 호주 노동당을 곤혹스럽게 한다." 뉴욕 타임즈 10월 8일
- 트럼불, 로버트(1973년). "클라우드 휘틀램의 이미지 문제" 뉴욕타임즈. 2월 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