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드 할리데이

Fred Halliday

사이먼 프레드릭 피터 할리데이 FBA(Simon Frederick Peter Halliday FBA, 1946년 2월 22일 ~ 2010년 4월 26일)는 아일랜드의 작가이자 학자로, 국제 관계중동, 특히 냉전, 이란, 아라비아 반도를 전문으로 한다.

전기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1946[1]에서 미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사업가 아서 할리데이, 그리고 아일랜드의 어머니, 리타(née Finigan), 할리데이를 여왕의 대학, 옥스포드, 앞서 1964년 읽기 전에(1950–1953에)은 마리스트회 회원 학교, Baltimore부근의 소도시.(그 시간 초등 학교에 세인트 메리 대학 Dundalk[2]), 그리고 Ampleforth 대학(1953–1963)에 참석했다.필론1967년 졸업 후 중동 정치학 석사과정을 밟았다(1969년~1969년 중동 [3][1]정치학 석사과정을 밟았다.1967~1982년 [4]남예멘 외교정책의 측면이라는 제목의 예멘 인민민주공화국 런던경제대학원(LSE) 박사학위를 시작한 지 17년 만인 1985년에 받았다(Sale 2002).1973년부터 1985년까지, 그는 암스테르담과 워싱턴에서 초국가[5] 연구소의 펠로우였습니다.1969년부터 1983년까지 뉴 레프트 리뷰의 편집위원으로 일했으며, 부분적으로 출판 일을 했는데, 지금의 Verso Books입니다.이 자격으로, 그는 Paul Feyerabend[6][1]쓴 과학철학의 주요 논문인 Against Method의 편집자 중 한 명이었다.

1983년 LSE에서 교직에 취임하여 1985년부터 2008년까지 LSE 국제관계학 교수로 재직하였습니다.2002~2003년 병에서 회복한 후 2005년 LSE 국제관계학부 몬태규 버튼 교수가 되었으나 2008년 은퇴하고 바르셀로나 IBEIICREA 연구교수가 되어 LSE 동창회와의 긴밀한 협업을 도모했다.

할리데이는 또한 오픈 민주주의와 라 뱅가디아 칼럼니스트였다.2002년, 그는 영국 아카데미의 펠로우로 선출되었다.그의 인생, 작품, 지적 성취도를 평가한 회고록이 2011년 [7]영국 학술원 회보에 실렸다.

능숙한 언어학자이자 현대 세계화를 이해하기 위한 언어 중심주의자인 Halliday는 라틴어, 그리스어, 카탈로니아어, 페르시아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러시아어, 포르투갈어, 아랍어, 영어를 포함한 12개 언어에 능통했습니다.1965년부터, 그는 중동 지역을 폭넓게 여행했고, 아프가니스탄에서 모로코에 이르는 모든 나라를 방문했고, 대부분의 나라에서 강의를 했다.그는 여러 해 동안 여러 명의 주요 이슬람 전사, 반군, 종교 지도자와 정치인들을 만나 인터뷰했다.

프레드 할리데이는 LSE무아마르 알 카다피 리비아 국가원수의 아들인 사이프 알 카다피가 이끄는 자선재단인 카다피 재단 간의 협력 계획에 대해 매우 회의적이었다.할리데이의 견해는 2009년 [8]10월 4일 LSE 평의회에 제출된 "반대 의견서"에서 표명되었다.

개인적인

할리데이는 이전에 Maxine Molyneux와 결혼했고 그들은 아들 Alex를 하나 두고 있다.그의 형은 역사학자할리데이이다.

'집'에 대한 그의 개념에 대해: "많은 집과 여행 중 어느 것이 가장 마음에 드는지 물었을 때, 그의 대답은 변함없이 '다음 여행'[9]이었다."

할리데이는 2010년 4월 26일 바르셀로나에서 암 [10][11]투병 끝에 6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기념품

바르셀로나의 Institut Barcelona d'Estudis Internacials는 그 세미나실을 Holiday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책들

  • 1953-1966년 아이작 도이체르, OUP 1969, Penguin 1970에 의해 러시아, 중국서부를 편집 및 소개.세르보-크로아, 독일어 번역.
  • Karl Korsch의해 마르크스주의와 철학, NLB(New Left Books), 1970년 번역 및 소개.
  • 술탄이 없는 아라비아, Penguin 1974, 1975, 1979년 전재; 이탈리아어, 일본어, 페르시아어, 아랍어, 터키어 번역.
  • 이란: 독재와 개발, Penguin 1978은 1979년 두 번 전재했다; 일본어, 노르웨이어, 스웨덴어, 독일어, 스페인어, 터키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중국어.
  • 1979년 러셀 프레스, 페르시아만 용병들페르시아어 번역
  • 위기호에서의 소련 정책, 워싱턴 정책 연구 연구소, 1981년: 동양으로부터의 위협으로 발행?펭귄 1982 일본어 프랑스어 아랍어 번역
  • 1982년 런던 베르소의 맥신 몰리뉴와 에티오피아 혁명
  • The Making of the Second Cold War, Verso, London 1983은 1984, 1986, 1988을 전재했다.독일어, 페르시아어, 스페인어, 일본어 번역.
  • 중동과 파키스탄의 국가와 이념, 1988년 프레드 할리데이와 함자 알라비에 의해 편집되었습니다.
  • 냉전, 제3세계, Radius/Hutchinson, 1989년.1989년 판테온의 카불에서 마나과로 미국에서 출판되었습니다.아랍어와 일본어 번역
  • 혁명과 외교정책: 남예멘의 경우, 1967년, 1987년,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1990년.
  • 망명중인 아랍인, 영국의 예멘 공동체, I.B.타우리스, 1992년(새로운 버전 2010)
  • 국제관계를 다시 생각한다(Macmillan, 1994).일본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번역.
  • 포츠담에서 페레스트로이카까지, 콜드워리어와의 대화(BBC News and Current Affairs, 1995).
  • 이슬람과 대립의 신화 I.B.타우리스, 1996년아랍어, 페르시아어, 터키어, 인도네시아어, 폴란드어, 스페인어 번역.
  • 혁명과 세계정치: 맥밀런, 1999년 6대 권력의 흥망성쇠터키어 번역
  • 중동의 국가와 종교, 런던: 사키북스, 2000.아랍어 번역
  • The World at 2000: Palgrave, Palgrave, 2001.그리스어와 터키어 번역
  • 세계를 뒤흔든시간. 2001년 9월 11일, 원인과 결과, 런던: 사키, 2001.아랍어, 스웨덴어 번역
  • 국제 관계에서의 중동. 권력, 정치, 이데올로기.케임브리지: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2005.이탈리아어, 폴란드어 번역
  • 중동에 관한 100가지 신화런던: 사키 북스, 2005.아랍어, 이탈리아어, 터키어, 포르투갈어 및 스페인어 번역.
  • 영국 최초의 무슬림 I.B.Tauris, 2010. (개정, 1992년 신간)
  • 충격과 공포: 테러와 지하드와의 전쟁이 어떻게 영어를 변화시켰는지, 런던: I.B.Tauris, 2011. (사후 최종 편집 및 추가)
  • Caamano(런던): 라틴 아메리카 혁명가의 망명런던:런던대학교 미주연구연구소, 2011.
  • 정치적 여정: The Open Democracy Essays London: Saqi Books. 2011 (2004~2009년 Open Democracy를 위해 작성된 칼럼 모음)

레퍼런스

  1. ^ a b c Sami Zubaida 부고: 프레드 할리데이, 가디언 (웹사이트), 2010년 4월 26일
  2. ^ "History". St Mary's Colleg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November 2016. Retrieved 29 April 2016.
  3. ^ Roberts, Adam. "Simon Frederick Peter Halliday" (PDF). The British Academy.
  4. ^ Halliday, Fred (1985). Aspects of South Yemen's foreign policy, 1967-1982 (PhD).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Retrieved 5 May 2021.
  5. ^ TNI에서의 프로파일
  6. ^ Gutbrod, Hans; Solanke, Rita (15 November 1993). "Interview w Fred Halliday". The Beaver, LSE Student Newspaper. Retrieved 7 January 2021.
  7. ^ Adam Roberts, Simon Frederick Peter Halliday 회고록, Proceedings of the British Academy, 172: Biological Memorys of Fellows, X,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페이지 143-69.
  8. ^ 프레드 할리데이, "LSE와 카다피 재단: 반대 의견", 2009년 10월 4일.
  9. ^ Styan, David (January 2012). "Fred Halliday: Engagements, Languages, Myths and Solidarities". Development and Change. 43 (1): 319–339. doi:10.1111/j.1467-7660.2012.01763.x. hdl:10.1111/j.1467-7660.2012.01763.x.
  10. ^ Anthony Barnett 사망 기사: 프레드 할리데이, 옵데모크라시
  11. ^ "Professor Fred Halliday: Celebrated scholar of Middle Eastern politics Obituaries News". The Independent. Retrieved 28 November 2015.

원천

인터뷰

  • 한스 구트브로드와 리타 솔랭키 인터뷰:Fred Halliday는 그의 전망과 학업에 대해, The Beaver (신문), 1993년 11월 15일, LSE 도서관 아카이브호
  • NPR, 1994년 10월 13일 "...이라크에서의 또 다른 군사적 결전의 위협 가능성"
  • 피터 스노우 인터뷰: "탈레반을 대체할 대체적이고 광범위한 정부를 건설하려는 시도에 대하여", BBC, 2001년 10월 28일.
  • 존 험프리 인터뷰: "아프가니스탄의 미래에 대한 독일에서의 회담이 진정으로 광범위한 정부를 이끌 것인가?" BBC, 2001년 11월 25일.
  • 나딤 아잠 인터뷰: "이슬람과 서방은 로거헤드에 있나요?" 1Lit.com, 2002년 12월 13일.
  • Jennifer Byrne, 인터뷰, ABC(호주), 2002년 4월 9일
  • ESRC Society 오늘 2005년 5월 24일
  • Jonathan Sale, "합격/실패:프레드 할리데이, 학술가 겸 작가.'남예멘에 대한 박사학위 논문 작성에 17년이 걸렸다.' 인디펜던트, 2002년 5월 15일.

기사 및 해설

  • 나딤 아잠, "이슬람과 서부는 로거헤드에 있는가?" 1Lit.com, 2002년 12월 13일.
  • Edward Russell-Walling, "양국 관계의 거미줄이 새롭게 회전했다", 걸프뉴스, 2001년 11월 8일.
  • 헬레나 코번, "프레드 할리데이 오보?"Just World News, 2003년 2월 2일.
  • 모하메드 알메젤, "예측할 수 있는 미래에는 걸프 지역에서 완전한 민주주의가 가능하지 않다"고 걸프 뉴스, 2004년 1월 3일.
  • Fred Halliday, "LSE: and the Cadafy Foundation: A Dispaiding Note", 2009년 10월 4일.
  • 대니 포스텔, "누구 책임인가?"Fred Halliday와의 인터뷰" 2005년 11월 23일.
  • 존 로즈, 악마를 숙청하다, 사회주의 리뷰 261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