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드 린드 앨리스

Fred Lind Alles
프레드 린드 앨리스

프레드 린드 앨리스(Fred Lind Alles, 1851년 8월 2일 ~ 1945년 3월 7일)는 19세기 말~20세기 초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에서 사업가 겸 시민 지도자로, 각종 위원회와 전국 관개 회의의 비서 또는 기타 책임자를 지냈다.

직업생활

린드는 1851년 8월 2일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서 태어나 1857년부터 1861년 사이에 피트 타운쉽의 공립학교에 다녔다.1864년 약 13세의 나이로 피츠버그 포스트와 함께 '키드 프레스 피더'로 인쇄업에 입문했고, 이어 피츠버그 디스패치와 노동자의 옹호자(Workingman's Advisor)에서도 활약했다.[1][2]

그는 1868년 시카고로 이주하여 종교-필로소픽 저널의 사무직원으로 근무하다가 포맨과 작가로 승진하였다.이 기간 동안, 그는 일리노이 세인트 찰스의 공립 학교에 다녔다.그는 1872년 일리노이주 스파르타로 이주하여 스파르타 평원딜러(Sparta Plain Dealer)의 발행인으로 활동하였다.1874년 일리노이주 벨빌편집장을 지냈고, 1875년부터 1883년까지 일리노이주 폰티악센티넬에서 일했다.[1]

린드는 1883년 캘리포니아의 온타리오로 이사하여 1884년과 1885년 샌안토니오 워터 컴퍼니의 사장이 되었다.1884년과 1888년 사이에 그는 캘리포니아 시골 잡지의 발행인이었다.1887년 건강을 회복하기 위해 미주리 주의 조지 그레이엄 베스트 상원의원(Charles B)과 함께 알래스카로 여행을 떠났다. 일리노이의 파웰과 펜실베니아의 J.도널드 카메론, 그리고 "내가 시작할 때보다 14파운드가 더 나갔다"고 말했다.[3]

1889년 그는 리버사이드 프레스원예사의 임시 편집장이 되었지만, 이듬해 리버사이드 카운티 오렌지 밭을 팔고 로스앤젤레스로 돌아가 1890년부터 1902년 사이에 로스앤젤레스 인쇄회사의 비서 겸 총지배인이 되었다.[1]1890년, 프린터에 의한 파업

로스엔젤레스 신문의 편집실을 마비시켰다.앨리스는 그의 인쇄소 직원들을 검거하고 구조작업에 뛰어들어, 타임즈의 작곡실 담당을 맡았으며, 그의 선지자 중 두 명을 더 트리뷴과 헤럴드 인쇄를 담당하게 했다.1941년 그의 가장 자랑스러운 소유물 중 하나는 장군으로부터의 편지다.해리슨 그레이 오티스는 그의 노력에 감사를 표하며 "그렇지 않았다면 더 타임즈는 일시적으로 출판을 중단할 필요가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2]

1897년 3월 로스앤젤레스 익스프레스(Los Angeles Express)의 사업 책임자가 되었고,[4] 1901년 독자적인 인쇄 사업을 설립하여 1905년까지 유지하였다.[1][5][6][7]

앨리스는 1941년 1월 LA의 명문 캘리포니아 클럽에서 예술가 아서 케이힐의 그의 초상화가 공개되면서 평생의 작품으로 영예를 안았다.[2]

봉사 활동.

린드는 많은 비영리 단체의 임원이나 회원으로 자원봉사를 했다.그들은 다음을 포함하였다.

  • 일리노이 언론 협회(Illinois Press Association, 1877년과 1883년 사이, 장관[1]
  • 포모럴 소사이어티, 로스앤젤레스, 비서, 1885년[8]
  • 일리노이 협회 of Los Angeles, 서기, 1886년[9]
  • 1887년[10] 로스앤젤레스 공정 위원회, 비서
  • 1893년에서 1895년[1] 사이의 국립 관개 회의, 비서
  • 로스엔젤레스의 라 피에스타 협회, 연례 퍼레이드와 피에스타의 주최자, 부사장, 1896년과 1897년[1][11].
  • 1897년[1] 로스앤젤레스 상공회의소, 이사
  • 1902년부터 1923년까지 로스엔젤레스의 기계학 연구소 소장과 비서.[1]
  • 그가 1905년에 <선셋 클럽: A History>[1]를 쓴 로스앤젤레스 선셋 클럽의 비서.

1889년까지 앨리스는 남캘리포니아 이민협회의 이민국장이 되었고 그 해 일리노이, 캔자스, 미주리, 미시건, 펜실베이니아, 웨스트버지니아로 4개월간의 여행을 떠났다.귀국과 동시에 다음과 같이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어디에서나 나는... 남캘리포니아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발견했고, 모두들 우리의 토양, 우리의 기후, 우리의 자원, 그리고 우리의 미래 전망에 대해 어떤 믿을 만한 정보를 얻으려고 안달하고 있었다…. 이곳은 단지 부자들을 위한 나라일 뿐이라는 인상은 어디에나 존재하고 있으며, 사람들은 우리에게 체가 풍부하다는 말을 듣고 놀랐다.ap 땅은 일반 지능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근육 보유자에 의해 영리하게 일할 수 있는 땅이다.[12]

" 하지만 작은 격려 받은"은 LA타임즈 등에 포트 거리는 가장 오래된 차선이 보도했다 9월 1889년, Alles는 탄원서를 브로드웨이로 퍼스트 Street,[13]가운데 첫번째는 청원에서 남쪽으로 간 첫번째 그리고 열번째와 북한 브로드웨이로어 포트 거리의 로스 앤젤레스 시내에서 이름을 바꾸기 위해 퍼지기 시작하다.dmar로스앤젤레스의 ks, 그리고 그 이름을 지워서는 안 된다는 인상이 우세해 보였지만,[14] 결국 '포트 스트리트'가 '4번가'처럼 너무 많이 들렸고, 명칭도 바뀌었다.[2]

논란은 C.M.이 1895년에 앨리스를 감쌌다. 미국 관개 의회 비서로 그의 후임인 헤인츠는 앨리스가 뉴멕시코 주 앨버커키에서 열린 의회가 앨리스와 윌리엄 E 의장에게 감사 투표를 했다고 거짓 주장을 했다고 비난했다. 그들이 재선을 시도하지 않겠다고 발표한 후, 그들의 봉사를 위해 smythe.앨리스는 타임즈로스엔젤레스 헤럴드지의 기사에서 사설로 변호되었다.[15][16][17][18]

사생활

린드는 1851년 8월 2일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서 헨리 앨리스 또는 알루아, 엘리자베스 카우프만 사이에서 태어났다.만년에, 그는 언젠가 앨리스가 7살쯤 되었을 때 1862년에 사망한 마틴뷰렌 전 대통령 옆 전차 좌석에 앉았던 적이 있다고 회상했다.그는 1873년 12월 4일 일리노이주 스파르타에서 메리 엘리자베스 알렌과 결혼하여 메리의 여동생인 에이비스와 쌍쌍 결혼식을 올렸다.린드와 메리 엘리자베스는 앨런 앨리스, 클라라 라비니아 그리브스, 린드 체슬리 앨리스 세 아이를 낳았다.메리 엘리자베스는 1923년 7월 23일 7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1][19][20]

앨리스는 1945년 3월 7일 9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는 숲 잔디 기념 공원에 묻혔다.[1][21][22]

참조

  1. ^ a b c d e f g h i j k l 프레드 린드 앨리스, RootsWeb.com
  2. ^ a b c d 1941년 1월 13일자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8면 "Photo Honors Fred Lind Alles"
  3. ^ "알라스카:프레드 L.1887년 8월 13일자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2면
  4. ^ 1897년 3월 16일자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7면
  5. ^ 1885년 4월 26일자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1면
  6. ^ 1902년 1월 1일자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16면
  7. ^ 1889년 2월 16일 로스엔젤레스 타임즈
  8. ^ 1885년 4월 5일자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6면
  9. ^ 1886년 2월 4일자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1면
  10. ^ 1887년 8월 13일자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2면
  11. ^ 1896년 7월 11일자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9면
  12. ^ "A Bird's-Eye View," 로스엔젤레스 타임즈, 1889년 9월 1일, 2페이지
  13. ^ 1889년 9월 6일자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8면
  14. ^ 1890년 2월 7일자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3면
  15. ^ "Heintz et Alles," 로스엔젤레스 타임즈, 1895년 9월 22일자 22면
  16. ^ 1895년 9월 25일자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12면
  17. ^ "누가 거짓말쟁이야?"로스앤젤레스 타임즈, 1895년 9월 30일자 10면
  18. ^ 1895년 10월 5일자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3면
  19. ^ 1903년 3월 27일자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A-7면
  20. ^ https://search.proquest.com/docview/165139750
  21. ^ 1945년 3월 9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Pioneer 프린터가 93세에 굴복하다"
  22. ^ Henry, Bill (June 3, 1940). "By the way". Los Angeles Times. p.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