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디 캐넌

Freddy Cannon
프레디 캐넌
Cannon in 1965.
1965년 대포.
배경 정보
출생명프레더릭 앤서니 피카리엘로 주니어
태어난 (1936-12-04) 1936년 12월 4일 (85세)
미국 매사추세츠리비어
장르로큰롤
직업가수
계기보컬스, 기타
년 활동1956-현재
레이블백조
워너
시어
부다
MCA
기타(미국)
톱 랭크
스테이트사이드(영국)

프레디 캐넌으로 알려진 프레드릭 앤서니 피카리엘로 주니어(1936년 12월 4일생)[1]는 미국의 록앤롤 가수로서, '탈라하시 래시', '웨이 다운 욘더 뉴올리언스', '팰리세이즈 파크' 등이 가장 큰 인기를 끌었다.

전기

프레디 피카리엘로는 메사추세츠 주의 리비어에서 태어났고, 어린 시절 이웃 도시 린으로 이사했다. 그의 아버지는 트럭 운전사로 일했고 또한 트럼펫을 연주하고 지역 밴드에서 노래를 불렀다. 프레디는 라디오에서 빅조 터너, 버디 존슨 등의 리듬 블루스 음악을 들으며 자랐고 기타를 배웠다.[2] 린 보직 고등학교에 입학한 뒤 1958년 가수로 음반 데뷔를 하면서 스핀드리프트의 '차차도' 싱글로 리듬기타를 부르고 연주하는 등 현지 히트를 쳤다. 그는 또한 R&B 보컬 그룹인 G-Clefs의 세션에서 리드 기타를 연주했는데, 그의 음반 "Ka-Ding Dong"은 1956년 빌보드 핫 100에서 24위를 기록했다.[3] 어린 나이에 국경에 입대하여 트럭을 운전하는 직업을 갖고 결혼하여 아버지가 되었다.[4]

척 베리, 보 디들리, 리틀 리차드로부터 음악적으로 영감을 받은 그는 보스턴 지역에서 점점 인기를 끌게 된 자신만의 그룹인 프레디 카몬 & 허리케인스를 결성하고, 트레이드마크인 긴장된 노래 스타일을 개발하기 시작했다.[2] 그는 또한 지역 TV 댄스 쇼인 보스턴 볼룸에서 정규 선수가 되었고, 1958년에 보스턴 디스크 자키 잭 맥더모트와 매니지먼트 계약을 맺었다.[4] 어머니가 작사한 가사로 'Rock and Roll Baby'라는 신곡을 준비했고, 밥 크레와 프랭크 슬레이의 작사 및 제작팀에 맥더모트가 가져간 데모를 제작했다. 이들은 곡을 재정렬하고 가사를 다시 썼으며 작곡 크레딧의 3분의 2를 대가로 음반을 제작하겠다고 제안했다.[4] 세션 뮤지션 케니 폴슨이 기타 솔로곡으로 현재 "Tollahassee Lassie"라는 제목의 이 곡의 첫 녹음은 몇몇 음반사로부터 거절당했지만, 그 후 필라델피아에서 스완 레코드를 부분 소유했던 TV 진행자클라크가 들었다. 클라크는 쿵쾅거리는 베이스 드럼 소리를 강조하고 손뼉과 프레디의 "후우!"라는 외침을 덧붙여 흥분을 더하기 위해 이 곡을 리편집하고 오버더빙해야 한다고 제안했는데, 이 곡은 훗날 그의 트레이드마크 중 하나가 되었다.[4] 이 싱글은 마침내 스완 레코드에 의해 발표되었는데, 회사 사장인 버니 비닉이 프레디의 새로운 예명인 "프레디 캐넌"을 제안하였다.[2][3][4] 이 싱글은 보스턴과 필라델피아에서 승진과 성공을 거둔 후 점차 전국적인 에어플레이를 받았다. 1959년에는 빌보드 100에서 6위로 정점을 찍으며 그의 22곡 중 처음으로 빌보드 차트에 이름을 올렸고, R&B 싱글 차트에서도 13위에 올랐다.[3][5] 의 초창기 음반들이 Top Lank 레이블에 실렸던 영국에서, 그것은 17위에 올랐다. "Tallahassee Lassie"는 백만 부 이상이 팔렸고 RIAA로부터 금 디스크를 받았다.[6]

그는 이후 5년 동안 프로듀서 프랭크 슬레이와 함께 스완 레이블에 머물렀고, 그의 앨범의 쿵쾅거리는 힘으로 프레디 "붐" 캐넌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딕 클라크는 그의 텔레비전 프로그램American Bandstand에 출연한 수많은 출연을 통해 그에게 전국적인 노출을 가져왔다. 이는 총 110회의 출연 기록이다.[4] 작가 큐브 코다의 말에 의하면:

"프레디 캐넌은 진정한 신봉자였고, 뼛속까지 로커였습니다. 프레디 캐논은 로큰롤 레코드를 만들었고, 시끄러운 록앤롤 레코드를 만들었고, 춤출 자리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그것을 흔들어 떨어뜨리는 자동 초대장 같은 거대한 드럼 비트가 모두 스며들었다."[2]

His second single "Okefenokee" (credited to Freddie Cannon, as were several of his other records) only made No. 43 on the charts, but the next record, "Way Down Yonder In New Orleans", a rocked-up version of a 1922 song, became a gold record and reached No. 3 in the pop charts in both the US and the UK, where it was the biggest of his hits.[3] 또한 100만 부 이상이 팔렸다.[6] 캐넌은 영국을 순회했고 1960년 3월 그의 앨범 The Volatic Freddy Cannon로큰롤 가수의 첫 앨범이 되어 영국 앨범차트 1위에 올랐다.[7][8] 이후 2년 동안, 1962년 초까지, 그는 미국에서 더 적은 차트 기록을 이어갔고, 어떤 경우에는 "Chatternoogie Shoe Shine Boy"Edward "Kid" Ori의 "Muskrat Ramble"을 포함한 구 버전의 표준들을 가지고 있었다. 그의 히트곡에는 대니, 주니어스와 함께 녹음된 "Twistin' All Night Long"과 프랭키 발리포시즌스가 보컬을 맡기도 했다.[4] 하지만, 그의 가장 큰 히트곡 중 하나는 1962년 5월에 미래의 TV 공 진행자 척 배리스가 쓴 "Palisades Park"로 나왔다. 슬레이가 오버더브 롤러코스터 사운드 효과로 제작해 핫 100 3위, R&B 차트 15위, 영국 20위에 올랐다. 이번 발매는 또한 100만 부 이상이 팔리며 골드 디스크의 지위를 얻었다.[9]

캐넌은 1962년 영국에서 제작된 영화 저스트 바비 비, 조니 틸로슨 등과 함께 출연하기도 했다.[3] 비록 미국에서 그의 인기는 사그라들었지만, 그는 몇 년 동안 영국을 비롯한 세계 다른 곳에서 인기 있는 투어 공연으로 남아 있었다. 1963년에 그는 워너 브라더스 사에 서명했다. 가 리온 러셀, 제임스 버튼, 글렌 캠벨, 데이비드 게이츠LA 세션 최고 뮤지션들과 함께 녹음한 딕 클라크의 TV 프로그램 '액션이 어디에 있는지'에서 1964년 미국 톱 20 히트곡 2편(16위)과 이듬해 '액션'(13위)[4]을 녹음한 음반들이다. "액션"은 캐논에게 네 번째 금 디스크를 주었다.[10] 또한 1965년에 슬레이는 캐논의 스완 음반을 인수하여 워너 브라더스에게 팔았다.[11] 는 1966년 6월 24일 10대 드라마 네버투 영의 마지막 편에서 보 브릿지와 론 하워드의 초창기 영화인 "Beau Brummels of the Giants"에서 함께 출연했으며, 자신의 노래 중 하나를 연주하며 자신을 연기했다.[citation needed] 워너 브라더스를 떠난 후. 1967년 캐넌은 시어, 로열 아메리칸, 메트로메디아, MCA, 앤디, 클라리지, 혼, 암허스트 등 여러 레이블에 싱글을 발매했다.[12] 1970년대에는 부다 레코드의 홍보 담당자가 되었지만, 1981년 '로큰롤에 재미 다시 넣자'로 차트 하류로 복귀했고, 1982년에는 미아사운드 레코드의[4] 벨몬트와 함께 녹음을 했고, 1982년에는 독립영화 '정크맨'에 출연했다.[3] 그 후 그는 딕 클라크와 함께 그의 밴드스탠드 동창회 콘서트와 전 세계 투어를 계속하였다.[5] 2002년에는 시즌곡 Have A Boom Boom Christmas를 발매했다!![13]

캘리포니아 타자나에 거주하는 캐넌은 다양한 콘서트 장소에서 공연을 계속한다. 그는 그의 스완과 워너 브라더스 사부의 완전한 통제와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14]

캐논의 유명한 팬 중 한 명은 고인이 된 박스탑스와 빅스타 가수 알렉스 칠튼이었다. 칠튼은 뉴올리언스 자신의 집 벽에 캐논의 초상화를 걸어놓고 있었고 친구에게 "프레디 캐논의 쇼는 항상 효과가 있었다. 왜냐하면 그는 삶을 편하게 살아왔기 때문이다."[15]라고 말한 적이 있다.

음반 목록

싱글스

연도 A측, B측
표시된 위치를 제외한 동일한 앨범의 양면
라벨 & 고양이. 아니요. U.S[16] 미국 R&B[16] 영국[17] 앨범
1959 탈라하시 라시
b/w "You know" (프레디 캐넌의 솔리드 골드 히트곡에서!)
스완 4031
최상위 JAR135(영국)
6
13
17
폭발성 프레디 캐넌
"오케페노케"
b/w "기키 햇"(비앨범 트랙)
스완 4038
43
-
-
웨이 다운 욘더
b/w "Fractured"(비앨범 트랙)
백조로4043번길
상위 JAR247(영국)
3
14
3
1960 "채터누기샤인 보이"
b/w "보스턴 (나의 고향)"
스완 4050
34
-
-
"캘리포니아 Here I Come"
b/w "인디아나"
상위 JAR309(영국)
-
-
33
"점프 오버"(미국 A측) /
"충동" (영국 A사이드)
스완 4053
최상위 JAR369(영국)
28
-
18
프레디 캐넌의 탄탄한 골드 히트!
"Happy Shades of Blue"
b/w "(콰-나-바-카) 쿠에나바카추추추"
스완 4057
83
-
-
"허밍거"
b/w "My Blue Heaven" (프레디 캐넌의 "Happy Shades of Blue"에서)
백조 4061
59
-
-
"무스크랫 램블"
b/w "2천-88"
백조 4066
상위 JAR548(영국)
54
-
32
1961 "버즈 버즈 A-디들-잇" / 백조 4071
51
-
-
"기회"
114
-
-
"트랜지스터 시스터"
b/w "Walk to the Moon"(비앨범 트랙)
백조 4078
35
-
-
팰리세데스 파크
For Me And My Gal
b/w "Blue Plate Special"(프레디 캐넌의 "Happy Shades Of Blue")
백조로4083번길
71
-
-
1962 "Twistin' All Night Long"
(대니 앤 더 주니어스와 함께)
b/w "Some Kind of Nut" (Danny and The Juniors)
백조로4092번길
68
-
-
비앨범 트랙
금주 십여왕 10세
b/w "Wild Guy"(비앨범 트랙)
스완 4096
92
-
-
팰리세데스 파크
팰리세데스 파크
b/w "6월, 7월, 8월"
스완 4106
스테이트사이드 SS101(영국)
3
15
20
"여름이 끝나면 어떻게 될까"
b/w "브로드웨이"
스완 4117
45
-
-
프레디 캐넌 퇴장
"만약 당신이 록앤롤 레코드였다면"
b/w "The Truth, Ruth"(비앨범 트랙)
스완 4122
67
-
-
1963 "포레터맨"
b/w "Come On and Love Me"(프레디 캐넌 스텝 아웃)
스완 4132
121
-
-
비앨범 트랙
"패티 베이비"
b/w "베티 진"
스완 4139
65
-
-
프레디 캐넌 퇴장
"모두 원숭이"
b/w "Oh Gloria"(비앨범 트랙)
스완 4149
52
-
-
"그게 바로 소녀들이 사는 길이야"
b/w "히피들이 하는 일"
스완 4155
-
-
-
"스위트 조지아 브라운"
b/w "What a Party"(프레디 캐넌이 퇴장)
스완 4168
-
-
-
비앨범 트랙
"사랑의 기복"
b/w "좋았어"
백조 4178
-
-
-
1964 "아비가일 비처"
b/w "All American Girl"
워너 브라더스. 5409
16
-
-
프레디 캐넌
"오디 쾰른"
b/w "O.K." 휠러, 중고차 딜러"
워너 브라더스 5434
-
-
-
비앨범 트랙
"Gotta Good Thing Goin"
b/w "Summertime, U.S.A."
워너 브라더스 5448
-
-
-
"너무 많은 원숭이 사업"
b/w "Little Sign Seekers"
워너 브라더스 5487
-
-
-
"인 더 나이트"
b/w "Little Miss a Go-Go-Go"
워너 브라더스 5615
132
-
-
1965 "액션"
b/w "Beachwood City"
워너 브라더스 5645
13
-
-
액션!
"어디 있는지 보여줄게"
b/w "The Old Rag Man"(비앨범 트랙)
워너 브라더스 5666
127
-
-
"그녀는 딴사람이야"
b/w "Little Bitty Corrine"(비앨범 트랙)
워너 브라더스. 5673
-
-
-
1966 "헌신곡"
b/w "Come On, Come On"
워너 브라더스. 5693
41
-
-
비앨범 트랙
"지구상에서 가장 위대한 쇼"
b/w "호키 포키 걸"
워너 브라더스 5810
-
-
-
"웃는 노래"
b/w "나탈리"
워너 브라더스 5832
111
-
-
"태양을 향해 달려라"
b/w "상상력을 이용하라"
워너 브라더스 5859
-
-
-
"In My Wildest Dreams"
b/w "A Happy Crow"
워너 브라더스 5876
-
-
-
1967 "매버릭스 플랫"
b/w "시인에게 달려라"
워너 브라더스 7019
-
-
-
"20세기 폭스"
b/w "신시내티 우먼"
워너 브라더스 7075
-
-
-
1968 "록 어라운드시계"
b/w "판사님께 송구"
We Make Rock'N Roll Records 1601
121
-
-
"시크루즈
b/w "그녀는 금요일 밤의 여우야"
We Make Rock'N Roll Records 1604
-
-
-
1969 "뷰티풀 다운타운 버뱅크"
b/w "만약 내게 제목을 준다면"
Sire ST 4103
-
-
-
"스트로베리 와인"
b/w "Blossom Dear"
로열 아메리칸 RA 288
-
-
-
1970 차지업, 턴업 록앤롤 싱어"
b/w "I Ain't Much 하지만 I're Yours"
로열 아메리칸 RA 2
-
-
-
"나이트 타임 레이디"
b/w "I Ain't Much 하지만 I're Yours"
로열 아메리칸 RA 11
-
-
-
1971 "로킨 로빈"
b/w "붉은 계곡"
부다 BDA 242
-
-
-
1972 "만약 당신에게 시간이 있다면" 메트로미디어 MM 262
-
-
-
1974 "락앤롤 A-B-C"
b/w "슈퍼맨"
MCA 40269
-
-
-
1975 "I Loves Ya"
b/w "Chomp-Chomp, Soey-Sooey" (Cannon's Express 별)
안디 4001
-
-
-
1976 "슈가르"
b/w "슈가 - 2부"
클라크리지 416
-
-
-
1981 "수잔느 소머스"
b/w "Blankcheck's Market"(프레디와 코니 W. Cannon)
경음기 HR-8
-
-
-
"재미를 록앤롤에 다시 넣자"
b/w "당신의 어머니는 항상 옳은 것은 아니다"
(벨몬트와 함께)
미아사운드 1002
81
-
-
1983 "댄스 투 더 밥"
b/w "그녀는 비열한 반란군 루저"
암허스트 AM-201
-
-
-
1988 "내 양말 속에 록킹"
b/w "Rockin In My Socks"(계기)
암허스트 AM-327
-
-
-
2013 "삭스 아레 록킨"
b/w "레드삭스 네이션"
(로스 해협잭킷 포함)
스핀아웃 레코드 SPIN 45-028
-
-
-
2016 "스벤굴리 스톰프"
b/w "Svengoolie Stormp & Svengoolie Stormp (Sing-A-Long)"
원더클랩 레코드 W7 1002
-
-
-

[12][16][17]

앨범

  • 폭발성 프레디 캐넌(1960, 스완 LP 502 (모노)/S 502 (스테레오) - 영국 1위
  • 프레디 캐논, 해피 섀도우 오브 블루 (1960, 스완 LP 504)
  • 프레디 캐넌의 솔리드 골드 히트(1961, 스완 LP 505)
  • 팰리세데스 파크 (1962년, 스완 LP 507)
  • 스텝 아웃(1962, 스완 LPS 511)
  • Bang On(1963, Stateside Records SL 10013) - 유럽 Palisades Park 릴리스
    위 5장의 앨범은 모노로만 발매되었다.
  • 프레디 캐넌(1964년, 워너 브라더스). W 1544(모노)/WS 1544(스테레오)
  • 액션 (1965년, 워너 브라더스) W 1612/WS 1612)
  • 프레디 캐넌의 최고 히트곡(1966년, 워너 브라더스) W 1628/WS 1628) - 스완과 워너 브라더스 모두 최고의 히트곡이다. 꼬리표
  • 14개의 히트곡 (1982년, RHNDF 210)
  • His Latest & Great (1991년, 비평)
  • The Best of Freddy "Boom Boom" Cannon (1995년, Rhino)
  • 1964-1981년 최고의 액션(2002년, 바레스 사라반데)
  • 붐붐 크리스마스 보내!! (2002년, 고담)
  • The Best of Freddy Cannon (Collectibles, 2003)
  • 붐붐 록 'n'롤: 프레디 캐넌의 베스트 오브 더 프레디 캐넌 (외침! 공장, 2009)

[12][16]

참고 항목

참조

  1. ^ "1940 United States Federal Census Year: 1940; Census Place: Lynn, Essex, Massachusetts; Roll: T627_1695; Page: 14A; Enumeration District: 19-22". Ancestry.com. Retrieved 2015-08-18. 참고: 프레데릭 피카리엘로, nJr.는 미국 인구조사에서 태어났다.
  2. ^ a b c d Cub Koda. "Freddy Cannon Biography". AllMusic. Retrieved 2015-08-18.
  3. ^ a b c d e f "Palisades Park – Mr. Freddy "BOOM BOOM" Cannon - Major Performers In Rock And Pop Music". 8 December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12-08. Retrieved 2021-05-23.
  4. ^ a b c d e f g h i "Freddy Cannon". History-of-rock.com. Retrieved 2015-08-18.
  5. ^ a b "Freddy Boom Boom Cannon's Home Page". Freddycannon.com. Retrieved 2015-08-18.
  6. ^ a b Murrells, Joseph (1978). The Book of Golden Discs (2nd ed.). London: Barrie and Jenkins Ltd. p. 111. ISBN 0-214-20512-6.
  7. ^ [1][데드링크]
  8. ^ The Guinness Book of British Hit Albums (3 ed.). Guinness Publishing Ltd. 1988. p. 186. ISBN 0-85112-888-2.
  9. ^ Murrells, Joseph (1978). The Book of Golden Discs (2nd ed.). London: Barrie and Jenkins Ltd. p. 143. ISBN 0-214-20512-6.
  10. ^ Murrells, Joseph (1978). The Book of Golden Discs (2nd ed.). London: Barrie and Jenkins Ltd. p. 188. ISBN 0-214-20512-6.
  11. ^ Billboard - Google Books. 1965-10-02. Retrieved 2012-05-05.
  12. ^ a b c "Freddy Cannon Record Label Shots". Colorradio.com. Retrieved 2015-08-18.
  13. ^ "Have a Boom Boom Christmas!! - Freddy Cannon Songs, Reviews, Credits". AllMusic. Retrieved 2021-05-23.
  14. ^ "Freddy Boom Boom Cannon's Home Page". Freddycannon.com. 2012-04-28. Retrieved 2012-05-05.
  15. ^ Spera, Keith (5 December 2013). "Freddy Cannon's 'Way Down Yonder in New Orleans' is your midday music break". Nola.com. Retrieved 26 June 2019.
  16. ^ a b c d Allmusic.com - 차트 & 어워드
  17. ^ a b Rice, Tim (1985). Guinness British Hit Singles (5th ed.). London: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p. 126. ISBN 0-85112-429-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