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더릭 리처드
Frederick Richards프레더릭 리처드 경 | |
---|---|
![]() 프레드릭 리처드 경 | |
태어난 | 영국, 아일랜드, Wexford 카운티, Ballyhally | 1833년 11월 30일
죽은 | 1912년 9월 28일( 영국 글로스터셔 주 치핑소드베리 호튼 코트 | 78세)
얼리전스 | 영국 |
서비스/브런치 | 영국 해군 |
근속 연수 | 1848–1899 |
순위 | 해군 제독 |
명령어 보유 | 제1해군대장 차이나 역 동인도 역 희망봉과 아프리카 서해안역 HMS 파괴 HMS 점나 HMS 다트 HMS 빅센 |
전투/전투 | 제2차 아편 전쟁 영국-줄루 전쟁 제1차 보어 전쟁 제3차 영국-미얀마 전쟁 |
어워드 | 배스 기사단 대십자장 |
프레드릭 윌리엄 리처드(Frederick William Richards, 1833년 11월 30일 ~ 1912년 9월 28일)는 영국 해군 장교이다.그는 1860년 제2차 아편전쟁에서 노 젓기를 지휘했고 희망봉과 아프리카 서부 기지의 고위 장교로서 1879년 4월 영국-줄루 전쟁 중 긴인드로부 전투와 에소위 공성전에서 이끈 작은 해군 여단과 함께 남아프리카 해안에 상륙했다.그는 1881년 1월 제1차 보어 전쟁 중 라잉스넥 전투에 참전했고, 동인도 기지의 총사령관으로서 1885년 11월 제3차 영국-미얀마 전쟁 중 이라와디 강 상공을 지원하기 위해 해군 여단을 조직하고 장비했다.그는 해군 제1경관이 되었고, 1889년 해군 방위법의 조항에 따라 거대한 조선 및 해군 사업 프로그램을 이끌었다.이 프로그램은 막대한 비용을 우려한 윌리엄 글래드스톤 수상이 반대했고, 그는 1894년 3월 내각이 이 프로그램에 대해 패배한 후 사임했다.이 프로그램은 로즈베리 경의 정부 하에서 계속되었고, 그 후 솔즈베리 경과 리처드 경은 정치적 혼란 내내 이 프로그램을 주도하면서 공직에 남아있었다.
초기 생활
웩스포드 카운티 솔즈보로 선장 에드윈 리처드 RN과 킬랄라 학장인 월터 블레이크 키르완 목사의 딸 메리 앤 리처드(성씨 키르완)의 둘째 아들로 태어난 리처즈는 영국 해군학교 뉴크로스에서 교육받아 [1]1848년 해군 사관후보생으로 입성했다.그는 [1]1854년 1월 8일 호주 역의 슬루프 HMS Fantome에서 대리로 승진했다.1855년 10월 31일 중위로 진급한 그는 [1]1857년 태평양 기지의 기함인 2급 HMS 갠지스에 합류했다.그는 1859년 4월 태평양 기지의 총사령관이 되었고,[1] 1860년 2월 제2차 아편전쟁 때 중국 기지의 노 젓는 HMS 빅센의 지휘를 받았다.그는 [1]1862년 3월 서아프리카 비행대에서 HMS 다트의 함장을 맡았다.
아프리카에서의 투고
1866년 [2]2월 6일 대위로 진급한 리차드는 1870년 인도 군함 HMS 점나의 지휘를 받았고,[1] 1873년 6월 처음으로 돛이 없는 증기 포탑 전투함인 HMS 파괴를 맡았다.그는 1874년 지중해 함대에 합류하기 위해 파괴를 탔고 [1]1878년 10월 콜벳 HMS 보아디체아에 넓은 펜던트를 달고 희망봉과 아프리카 서부 기지의 사령관이 되었다.그가 곶에 도착했을 때, 영국-줄루 전쟁은 진행 중이었고, 이산들와나 전투에서 영국이 패배한 직후였다.리처드는 아프리카의 동쪽 해안을 따라 올라가 [3]1879년 4월 긴인드로부 전투와 에쇼 공성전에서 그가 이끈 작은 해군 여단을 이끌고 상륙했다.그는 1879년 6월[4] 15일 여왕의 해군 부관으로 임명되었고,[5] 1879년 11월 27일 목욕 훈장의 동반자로 임명되었다.그는 또한 제1차 보어 전쟁 중 1881년 1월 랭스넥 전투에 참여했고 1881년 [6]5월 24일 바스 기사단장으로 승진했다.
중국역 및 해군성
1882년 [7]6월 9일 해군 소장으로 진급한 후, 리차드는 1882년 7월 해군 소장으로 임명되었고,[3] 1885년 5월 콜벳 HMS 바칸테에 그의 깃발을 게양했다.그 역할로 그는 1885년 11월 제3차 [3]영국-미얀마 전쟁 중에 영국군이 이라와디 강 상류로 진격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해군 여단을 조직하고 장비를 갖추었다.1888년 6월 그가 영국으로 돌아왔을 때, 그는 두 명의 다른 해군 제독들과 함께, 많은 영국 해군 함선들의 배치에 대해 조사하라는 요청을 받았고, 그 중 많은 함선들은 무장하지 않았고 다른 두 해군 강국들로부터의 연합된 위협에 대처할 수 없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T로 이어진 보고서를 준비하라는 요청을 받았다.1889년 [3]해군 방위법그는 또한 해군과 군사 [8]행정부를 조사하기 위해 구성된 왕립 위원회의 일원이기도 했다.
1888년 [9]10월 25일 부제독으로 진급한 리차드는 1890년 11월 중국 기지의 총사령관이 되었고 1892년 [3]6월 제2해군사령관이 되었다.그는 1893년 9월[10] 1일 제독으로 진급했고 1893년 [3]11월 제1해군사령관이 되었다.그 역할에서 [3]리처즈는 1889년 해군 방위법의 조항에 따라 수행된 거대한 조선 및 해군 사업 프로그램을 이끌었다.이 프로그램은 막대한 비용을 우려한 윌리엄 글래드스톤 수상이 반대했고,[3] 그는 1894년 3월 내각이 이 프로그램에 대해 패배한 후 사임했다.그 프로그램은 로즈베리 경의 정부에서도 계속되었고, 그 후 솔즈베리 경과 리처드 경의 정부에서도 정치적 [3]혼란이 계속되는 동안 그 프로그램을 추진해 왔습니다.그는 1895년 [11]6월 목욕훈장 기사대십자훈장을 받았다.
리처드 장관은 또 1897/98년 극동위기에 제1해군사령관으로서 대응해야 했다. 당시 러시아 태평양함대는 [12]디어섬에 평시 콜링 기지를 설치하라는 러시아의 요구를 뒷받침하기 위해 한국 항만인 케물포를 공격하겠다고 위협했다.그는 1898년 11월[13] 29일 해군 제독으로 진급하여 1899년 8월까지 제1해군사령관을 지냈다.[14]그는 [14]1912년 9월 28일 글로스터셔의 치핑 소드베리에 있는 그의 집 호튼 코트에서 사망했다.
가족
1866년 리처즈는 글로스터셔 호튼 코트에 사는 피츠허버트 브룩의 딸 루시 페일와 결혼하여 자녀를 [1]두지 않았다.
레퍼런스
- ^ a b c d e f g h 히스코트, 220페이지
- ^ "No. 23068". The London Gazette. 9 February 1866. p. 773.
- ^ a b c d e f g h i 히스코트, 페이지 221
- ^ "No. 24743". The London Gazette. 15 July 1879. p. 4472.
- ^ "No. 24787". The London Gazette. 28 November 1879. p. 6939.
- ^ "No. 24976". The London Gazette. 24 May 1881. p. 2673.
- ^ "No. 25117". The London Gazette. 13 June 1882. p. 2741.
- ^ "No. 25826". The London Gazette. 12 June 1888. p. 3246.
- ^ "No. 25869". The London Gazette. 26 October 1888. p. 5819.
- ^ "No. 26438". The London Gazette. 5 September 1893. p. 5057.
- ^ "Sir Frederick Richards".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Retrieved 16 December 2012.
- ^ "British Imperial Defence Strategy and Russia: The Role of the Royal Navy in the Far East, 1878–1898" (PDF). Retrieved 16 December 2012.
- ^ "No. 27029". The London Gazette. 2 December 1898. p. 7818.
- ^ a b 히스코트, 페이지 222
원천
- Heathcote, Tony (2002). The British Admirals of the Fleet 1734 – 1995. Pen & Sword Ltd. ISBN 0-85052-8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