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덤 부세

Friedhelm Busse
프리덤 부세
Friedhelm Busse.jpg
2006년 프리덤 부세
태어난
프리덤 부세

(1929-02-04)4 1929년 2월
죽은2008년 7월 23일(2008-07-23) (79세)
독일 파사우
국적독일어
직업정치인
조직12 SS 기갑 사단 히틀러쥬겐드
로 알려져 있다.네오나치 운동가
정당자유독일노동당
움직임폴크스소지알리스체 베에궁 도이칠란드

프리델름 부세(1929년 2월 4일 ~ 2008년 7월 23일)는 독일의 신나치 정치인이자 활동가였다.약 60년 동안의 경력에서 부세는 독일 신나치주의의 선도적인 목소리로 자리매김했다.

초기 활동주의

SA 스투르망프 총사령관의 아들로 부세는 보훔에서[1] 태어나 1945년 제12 SS 기갑사단 히틀러주겐트에서 복무했다.[2]전쟁 후 부세(Busse)가 번드 더츠셔 주겐드에서 복무한 후, 반 밀폐 반소련 준군사분대는 1952년 중앙정보국(CIA)의 전방 작전으로 독일 언론에 노출되었다.[3]그 후 사회제국당의 청년층인 라이히스주겐트에서 활동하게 되었고, 이후 도이체제국스파르타이에서 활동하게 되었다.[4]1960년대 초 그는 대다수의 독일어를 구사하는 이탈리아 남티롤 주에서 테러리즘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1963년 다이너마이트를 소지한 혐의로 체포되었다.[5]

VSBD

2001년 프리덤 부세

부세는 1964년 독일 국민민주당(NPD)에 입당했고, 곧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에서 당의 대표적인 당원이 되었다.NPD 버스세의 일원으로서 학생 과격주의와 연관되게 되었는데, NPD 지도부의 불쾌감이 컸다.이를 위해 그는 1970년 급진 극우단체인 악티온 와이드스탠드를 설립했고 이듬해 지도부가 재신임하려 하자 당에서 제명됐다.[6]이것은 1971년 또한 무기 범죄에 대한 유죄판결을 뒤따랐다.[7]

1971년 6월 그는 다른 급진주의자들과 함께 파르타이 데르 아르베이트/Deutsche Sozialisten을 설립했는데, 1975년에 Polkssozialisstche Beweung Deutschlands(VSBD)로 다시 등장했다.[8]그는 국제적인 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프랑스의 그룹 관계자들인 Fédération d'action nationale et européenne과 긴밀히 협력했다.[9]이와 함께 그는 1982년 뮌헨 경찰과의 총격 사건으로 두 명의 VSBD 괴한이 사망하고 두 명의 경찰관이 부상을 입은 사건 이후 불법이 될 때까지 VSBD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계속하였다.[10]이 단체는 1981년 여름 동안 다수의 은행 강도 사건에 연루되었지만, 1981년 11월에 발생한 이 사건은 이 기금 모금 계획의 종말을 의미했다.[11]부세는 1983년 자신의 재판에서 무기 불법 소지 및 장물 수수 혐의로 유죄가 확정돼 징역 6년을 선고받았다.[11]

자유독일노동당

이후 부세는 자유독일노동당(FAP)과 인연을 맺게 되었고, 1988년 11월 마이클 귄넨이 동성애로 인해 그 자리에서 쫓겨나면서 당 대표가 되었다.[12]쿠넨은 당의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그룹의 동성애 혐오적인 지도자 위르겐 모슬러의 반대를 받았으며, 부세는 지도자로 부상하기 위해 자신의 운명을 함께 했다.[13]그러나 부세와 모슬러 자신은 곧 충돌해 당내 분열이 더욱 심해졌다.[14]의 이념적 뿌리에 맞추어 부세는 오랫동안 결부되어 온 스트라세르주의 쪽으로 당을 전환시킴으로써 당에 활력을 불어넣으려 했다.[12]

그러나 FAP는 쿠넨에 충성하는 후계 그룹이 등장하면서 쇠퇴해 갔고, 1992년까지 FAP의 회원 수는 220명에 달할 정도로 FAP의 회원 수는 낮아졌다.[15]

만년

FAP가 무산되면서 그는 Freien Kameradschaften의 조직화에 참여하게 되었지만 1994년 Stuttgart에서 경찰에 붙잡혔고 금지된 국가사회주의자들/국가활동가들의 행동전선을 재편성하려 했다는 이유로 20개월의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16]

부세는 2008년 7월 23일 파사우에서 사망했다.독일 관리들은 매장 당시 그의 관에 놓여 있던 라이히스크리그스플래그를 제거하기 위해 그의 무덤을 파헤쳤다.[17]

참조

  1. ^ Uwe Backes, Eckhard Jesse, Politischer Deutschland, Propylaen 1993, 페이지 293
  2. ^ 옌스 메클렌부르크, 핸드부크 데우트셔 레흐트섹스트레미스투스, 엘레판텐 프레스 1996, 페이지 448
  3. ^ 마틴 A. Lee, The Beast Reawakens, London: Warner Books, 1998, 페이지 55
  4. ^ 이 맥고완, 독일의 급진적 우파: 1870년 현재, 피어슨 교육, 2002년, 페이지 183
  5. ^ Rudolf Schneider, Die SS ist Ihrt Vorbild - Frankfurtsrepublik에 있는 Neonazistische Kampfgruppen und Aktionskreise und Aktionskreise in Der Frankfrankfrankfurfurt, 1981, 페이지 97.
  6. ^ 맨프레드 로울드, 임 섀튼 데어 마흐트, 드로스테 베를라크 1974, 페이지 262
  7. ^ 제프리 해리스, 유럽의 다크 사이드, 에든버러 대학 출판부, 1994, 페이지 121
  8. ^ 매고완, 독일의 급진적 우파, 페이지 183-184
  9. ^ 앨릭스 피터 슈미드, A. J. 종만, 정치 테러: 배우, 작가, 개념, 데이터 베이스, 이론 문학, 거래 출판사에 대한 새로운 가이드, 2005, 페이지 557
  10. ^ Peter H. Merkl, 정치 폭력과 테러: 모티브와 동기,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1986, 페이지 224
  11. ^ a b 매고완, 독일 급진우파 184쪽
  12. ^ a b C.T. 남편들, '80년대 독일 연방공화국의 밀리언트 네오나치주의' L. Cheles, R.퍼거슨 & M. 본, 유럽의 네오 파시즘, 할로우: 롱맨, 1992, 페이지 97
  13. ^ 매고완, 독일 급진우파, 186페이지 186
  14. ^ Land C. Lewis, The Neo-Nazis and German Unified,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6, 페이지 65-66
  15. ^ 루이스, 네오 나치스와 독일 통일, 페이지 53
  16. ^ 맥고완, 독일의 급진적 우파, 193페이지
  17. ^ 저스티즈 레스스트 하켄크로이즈파네 아우스 프리스켐 그랩 홀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