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밀라요 란소메쿠티
Funmilayo Ransome-Kuti펀밀라요 란소메쿠티 | |
---|---|
![]() 70세 생일을 맞은 란소메쿠티 | |
개인내역 | |
태어난 | 프랜시스 아비가일 올루펀밀라요 토머스 1900년 10월 25일 나이지리아 남부 아보쿠타 (지금은 오군주 아베오쿠타) |
죽은 | 1978년 4월 13일 라고스, 나이지리아 | (77세)
국적 | 나이지리아인 |
배우자 | |
아이들. |
|
친척들. | |
직업 | 교육자, 정치인, 여성인권운동가 |
수상 | 레닌 평화상(1970년) |
Chief Funmilayo Ransome-Kuti, MON ( /ˌfʊnmiˈlaɪjoʊ ˈrænsəm ˈkuːti/; born Frances Abigail Olufunmilayo Thomas; 25 October 1900 – 13 April 1978), also known as Funmilayo Anikulapo-Kuti, was a Nigerian educator, political campaigner, suffragist, and women's rights activist.
후밀라요 란소메 쿠티는 나이지리아 오군 주 아베오쿠타에서 태어났으며, 여자 학생으로는 처음으로 아베오쿠타 문법 학교에 다녔다.[1]그녀는 젊은 시절 교사로 일하면서 전국 최초의 유치원 학급 중 일부를 조직하고 저소득층 여성들을 위한 문해 수업을 주선했다.
1940년대 란소메쿠티는 아베오쿠타 여성연합을 설립하고 여성의 권리를 주장하면서 지방 통치 기구에서 여성의 대표성을 높이고 시장 여성에 대한 불공정한 세금 철폐를 요구했다.언론에서 '리사비의 사자'[2]: 77 로 묘사된 그는 여성 1만 명에 이르는 행진 및 시위를 주도해 1949년 알레이크 집권당이 일시 퇴위할 수밖에 없었다.란소메쿠티의 정치적 영향력이 커지자 그녀는 나이지리아 독립운동에 참여하여 회의에 참석하고 해외 대표단에 합류하여 제안된 국가 헌법을 논의하였다.나이지리아 여성연합과 나이지리아 여성단체연합의 창설을 주도하면서, 그녀는 나이지리아 여성의 투표권을 주장했고 국제 평화와 여성 인권 운동의 유명한 일원이 되었다.
란소메 쿠티는 레닌 평화상을 받았고, 그녀의 업적으로 니제르 훈장 회원권을 받았다.말년에 그녀는 나이지리아 군사정부에 대한 아들들의 비판을 지지했다.그녀는 가족 재산에 대한 군대의 습격으로 부상을 입은 후 7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란소메쿠티의 자녀로는 음악가 펠라 쿠티, 의사 겸 운동가 베코 란소메 쿠티, 보건부 장관 올리코예 란소메 쿠티가 있었다.
조기생활과 교육
프란체스 아비가일 올루펀밀라요 토머스는 1900년 10월 25일 나이지리아 오군주 아베쿠타에서 귀족 지볼루-타이워 가문의 일원인 다니엘 올루메와 토마스(1869~1954) 서장과 루크레티아 필리스 오모예니 아도솔루(1874~1956) 사이에서 태어났다.[3][2]: 20 그녀의 아버지는 야자수 농산물을 경작하고 거래했으며, 어머니는 양장업자로 일했다.[4]아버지 쪽에서는 프란체스가 19세기 초 노예 매매상들에게 붙잡혔다가 결국 아베오쿠타에 있는 가족에게 귀향한 요루바 여인 사라 타이워의 후손이었다.[2]: 19–23
당시에는 나이지리아 가정들이 여학생들을 위한 많은 교육에 투자하는 것이 흔치 않았지만, 프란체스의 부모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 교육의 중요성을 믿었다.[2]: 28 그녀는 중등 교육을 위해 아베쿠타 문법 학교에 다녔다.[5]이 학교는 처음에는 남학생들에게만 개방되어 있었으나 1914년에 첫 여학생들을 입학시켰고, 프란체스는 그해 학업에 등록한 6명의 여학생들 중 1위를 차지했다.[2]: 28–29 1919년부터 1922년까지 그녀는 해외로 나가 영국 체셔의 여학생들을 위한 마무리 학교에 다녔고 그곳에서 그녀는 발성, 음악, 드레스 만들기, 프랑스어, 그리고 다양한 가정 기술을 배웠다.그곳에서 그녀는 영국에서 인종차별의 개인적인 경험에 대한 반응으로,[2]: 30–31 아마도 그녀의 기독교적인 이름인 프란체스 대신에 요루바 이름인 Funmilayo를 사용하기로 영구적인 결정을 내렸다.[6]이후 아베오쿠타로 돌아와 교사로 일했다.[3]
1925년 1월 20일, 펀밀라요는 란소메쿠티 가문의 일원인 이스라엘 올루도툰 란소메쿠티 목사와 결혼했다.[2]: 33 이스라엘은 펑밀라요보다 몇 년 앞서 아베오쿠타 문법학교에서 공부했고, 그녀가 아직 학교에 있는 동안 두 사람은 교제에 이어 우정을 쌓아왔다.[2]: 29 이스라엘은 학교 교장으로서 직업을 찾았고, 그는 사람들을 한데 모으고 민족과 지역 분열을 극복하는 것을 강하게 믿었다.그는 후에 나이지리아 교사 연맹과 나이지리아 학생 연합의 공동 창립자가 되었다.[2]: 46–47 그의 펀밀라요와의 결혼은 이스라엘이 죽을 때까지 30년 동안 지속될 것이며, 그 부부 사이의 평등한 의식과 깊은 상호 존중으로 특징지어졌다.[2]: 42
결혼 후, Funmilayo Ransome-Kuti는 교사로서의 예전 직장을 그만뒀지만, 그녀는 곧 다른 프로젝트들을 발견했다.1928년에 그녀는 나이지리아에서 최초의 유치원 수업 중 하나를 설립했다.비슷한 시기에 엘리트 가정의 젊은 여성들을 위한 동아리를 만들어 '자기계발'을 독려하는 한편 문맹 여성들을 위한 수업도 마련했다.[2]: 38 1935년과 1936년 사이에, 그 부부는 중고차를 구입하기로 주선했고 영국에서 그들에게 중고차를 보냈다.랑소메쿠티는 아베오쿠타에서 처음으로 차를 운전한 여성이었다.[2]: 48
란소메쿠티 부부는 딸 돌루포(1926년)와 아들 올리코예(1927년), 올루펠라 펠라(1938년), 베콜라리 베코(1940년) 등 4명의 자녀를 두었다.[2]: 47 & 49
활동주의
아베오쿠타 여성 조합
1932년 란소메쿠티는 아베오쿠타 레이디스 클럽의 설립을 도왔다.[3]동아리는 자선사업, 바느질, 급식, 성인교육 수업에 중점을 두었으며 [4]초기 회원들은 대부분 기독교계, 서양식 교육을 받은 중산층 여성들이었다[3].그러나 1940년대에 이르러서는 이 클럽은 더욱 정치적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었다.그녀에게 읽는 법을 배우는 것을 도와달라고 부탁한 문맹 친구에게 영감을 받은 랜섬-쿠티는 이 클럽을 통해 시장 여성들을 위한 문맹 워크숍을 조직하기 시작했고, 그 후 그녀는 많은 나이지리아 여성들이 직면하고 있는 사회적, 정치적 불평등에 대해 더 많은 이해를 얻었다.[6]란소메 쿠티는 자신의 보다 특권적인 배경에 의해 부여된 자유에 대해 쓰면서 "아기를 등에 업고 일출부터 일몰까지 농사를 짓는 여성들로부터 나이지리아 여성들의 진정한 위치를 판단해야 했다"고 지적했다.[7]: 174 1944년에 그녀는 지역 당국이 거짓된 가명으로 시장 여성들로부터 쌀을 압류하는 것을 막기 위한 성공적인 캠페인을 전개했다.[8]
1946년 정식으로 아베오쿠타 여성동맹(AWU)으로 개칭되어 현재 아베오쿠타에 있는 모든 여성에게 개방되어 있다.이 기구는 현재 Ransome-Kuti를 AWU의 회장으로 하여 불공정한 가격 통제와 시장 여성들에게 부과되는 세금에 맞서 싸우는 데 초점을 돌렸다.[3]그녀는 그레이스 에니올라 소잉카[9](남편의 조카딸이자 노벨상 수상자 울레 소잉카의 어머니)[10][2]: 157 와 함께 연합을 설립했고, AWU는 점차 2만여 명의 공식 회원으로 성장해 최대 10만 명의 지지자가 추가됐다.[11]여성을 통일하고 계급갈등을 피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란소메쿠티와 다른 정식 교육을 받은 회원들은 요루바어로 말하고 노조 회의와 행사에 전통 요루바 옷을 입었다.[4]
란소메-쿠티의 첫 잘 알려진 정치 활동은 그녀가 여성에 대한 세금에 반대하는 시위로 AWU를 이끌었을 때 이루어졌다.아베오쿠타에서도 소득세와 수도사용에 대한 정기세 등과 함께 시장여성들이 시장감독관이나 '파라코이스'[2]: 78 에게 직접 가는 특별세를 내야 했다.간접 통치를 통해 식민지 행정의 일부가 된 아베오쿠타의 지방 전통 통치자 알레이크 아데몰라 2세는 1914년 에그바 토착 정부가 수립된 후 여성에게 세금을 부과했었다.현재의 앨레이크를 권좌에서 몰아내고 세금을 중단하라는 영국 당국에 대한 호소가 실패한 후 란소메쿠티와 AWU는 신문사와 접촉하고 탄원서를 돌리기 시작했다.[4]당국에 더 많은 압력을 가할 목적으로, AWU 회원들은 공개적으로 그들의 세금 납부를 거부하고 앨레이크의 궁전 밖에서 긴 시위를 벌였으며, 유일한 원주민 정부 시스템(SNA) 재정 기록에 대한 감사를 주선했다.이들은 여성에 대한 세금을 폐지하겠다는 목적과 함께 SNA 집행위원회에 여성 대표직을 요구했다.[6]
1947년 후반에 이르러 아베오쿠타 당국은 필요한 허가를 부인하면서, 여성들의 퍼레이드나 시위를 조직하는 것을 금지하기 시작했다.이에 따라 란소메 쿠티와 그녀의 동료 주최자들은 "피크닉"과 "페스티벌"을 계획하고 있다고 선언하고 시위 참가자를 1만 명까지 끌어 모았다. 그 중 일부는 경찰과의 교체가 있었다.[2]: 81 란소메쿠티는 때때로 그들에게 던져지는 최루탄에 대처하는 방법을 여성들에게 훈련시켰고, AWU는 체포된 회원의 법정 대리 자금에 회비를 사용했다.[2]: 81 한 이야기에 따르면, 한 영국 지방 경찰관이 Ransome-Kuti에게 그녀의 여자들을 닥치게 하라고 외치자, 그녀는 "당신은 태어났을지도 모르지만, 당신은 자라지 않았다!어머니께 그렇게 말씀 드려 주시겠습니까?"[2]: 84 서아프리카 파일럿은 그녀를 "리사비의 사자"라고 묘사했다.[2]: 77
1948년 2월 알레이크가 AWU 여성들을 '길들이지 못하는 바이퍼'에 비유하고 란소메-쿠티가 정치 회의를 위해 궁에 들어가는 것을 금지하면서 AWU 시위대와 당국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었다.곧바로 AWU 회원들은 궁전 입구를 봉쇄하고 방문 중인 영국 지방관리의 퇴장을 거부했다.이 사건은 란소메 쿠티가 구청장 차량의 핸들을 잡고 "손을 풀 때까지" 놓아주지 않자 실랑이로 마무리됐다.[2]: 85 그 여성들을 지지하는 대중의 동정심이 커졌다.1948년 초 내내, AWU 회원들은 청원, 기자회견, 신문 편지, 시위와 싸우며 세금에 대한 항의를 계속했다.그해 4월 말 더 많은 시위가 있은 후, 앨레이크는 마침내 여성들의 요구에 응하여 여성에 대한 세금을 중지하고 AWU의 민원을 조사할 특별 위원회를 임명했다.[2]: 86
1949년 초 AWU의 노력은 알레이크의 일시적 퇴위로 이어졌다.[4][12]나이지리아 전역의 신문들은 이 행사에 대한 기사를 게재했고, 랜섬-쿠티의 AWU에서의 작품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6]
국공
1947년 나이지리아 국가평의회와 카메룬 정당(NCNCNC)은 나이지리아 헌법안에 항의하기 위해 영국 런던에 대표단을 파견했다.랑소메쿠티는 대표단의 유일한 여성이었다.[13]런던에 있는 동안 란소메 쿠티는 런던 여성 의회 위원회, 전국 여성 연구소 연합 및 기타 기관에서 나이지리아 여성 문제에 관한 연설을 했다.그녀는 또한 식민지 지배가 정치 경제적으로 나이지리아 여성들을 "심각하게 소외"시켰다고 주장하는 일간지 노동자를 위한 기사를 쓴 후 파문을 일으켰다.[6]1949년 나이지리아에서 새로운 국가 헌법을 논의하기 위한 서부 지방 회의가 열렸을 때, 란소메 쿠티는 아베오쿠타를 대표했고 다시 그 논의에 관여하는 유일한 여성이 되었다.그녀는 여성의 선거권을 포함시키고 간접 선거 제도를 만드는 것에 반대하는 강력한 주장을 했다.[2]: 79
1949년 5월 란소메쿠티는 나이지리아 전역의 여성의 권리와 선거권을 더 잘 지원하기 위해 나이지리아 여성연합(NWU)의 창설을 제안했다.AWU는 그녀의 제안을 지지했고, 그 후 그 기구는 NWU의 아베오쿠타 지부가 되었다.[2]: 94 그 후 몇 년 동안 란소메 쿠티는 나이지리아 전역의 도시와 도시에 NWU 지사를 설립하는 것을 돕기 위해 널리 여행했다.그녀는 NWU와 그녀의 고향인 아베오쿠타에서 모두 회장을 역임했다.새정치연합은 여성의 참정권을 달성하고, 선거인단을 해체하며, 정치에서 여성의 보다 균형 잡힌 대표성을 지원한다는 목표를 추구했다.[2]: 100–101
랜섬-쿠티는 NCNC의 창당 멤버였으며 1951년 지역 의회 NCNC 후보로 출마했으나 유권자에 대한 특별세금 부과로 인해 지지자들 중 많은 사람들, 특히 여성이 참여 자격을 상실했기 때문에 성공하지 못했다.[3][4]그녀는 NCNC 서부 실무 위원회의 회계 담당자와 후에 서부 지역 NCNC 여성 조직의 회장을 역임했다.[14]: 402
1953년 랑소메쿠티는 아베오쿠타에서 여성 참정권과 정치적 대표성을 논의하기 위한 회의를 조직했으며, 이틀 동안 열린 행사에는 400명의 여성 대표단이 참석했다.참가자들은 그 후 나이지리아 여성 협회 연합을 결성했다.[8]FNWS는 여성의 정치적 참여, 교육 기회 개선, 새로운 사회 서비스와 의료 서비스 창출을 위해 캠페인을 벌였다.[4]
1950년대 초에는 란소메쿠티가 서부 추장원에[15] 임명되어 요루바 민족의 올로예라는 족함을[16] 부여하였다.그녀는[17] 당시 어떤 나이지리아 추장원에도 자리를 잡은 최초의 여성이자 몇 안 되는 여성 중 한 명이었다.[18][19]그녀는 또한 나이지리아 교사 연합의 이사로 활동했다.[4]
여행 금지 및 독립
1955년 4월 6일, 이스라엘 란소메쿠티는 장기간 병을 앓은 후 전립선암으로 사망했다.펑밀라요는 지난 몇 년 동안 그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기 위해 자신의 정치활동을 포기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로 고군분투하던 남편을 잃은 것에 큰 타격을 받았다.[2]: 155–157 이후 20년 동안 그녀의 정치 활동과 함께 란소메 쿠티는 아베오쿠타 전역에 새로운 학교를 세우기 위해 시간과 돈을 투자하기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그녀와 그녀의 남편이 공유했던 교육과 문해력의 중요성에 대한 깊은 믿음에서 비롯되었다.[2]: 158–159
란소메쿠티는 계속해서 널리 여행했다.아프리카 대륙에서 그녀는 알제리, 이집트, 가나 여성 단체들과 강한 유대관계를 발전시켰고,[6] 그녀의 해외 방문에는 영국, 중국, 소련, 스위스, 오스트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여행이 포함되어 있었다.[13]
1956년 중국을 방문한 란소메쿠티는 나이지리아 여성과 문화에[4] 대해 공개강연을 하고 마오쩌둥을 만났다.[2]: 56 란소메 쿠티는 자신을 "아프리카 사회주의자"로 규정하면서 [6]여러 사회주의 이상을 믿었다.[4] 그녀는 자신을 공산주의자로 여기지는 않았지만 "공산주의에 겁먹거나 반발하지 않았다"[7]: 173 고 말했다.그러나 여성국제민주연맹(WIDF)의 재정 지원을 받아 중국을 방문한 적이 있어 랑소메쿠티는 WIDF가 공산주의 이념 확산을 위해 자신을 영입한 것을 우려한 영국 당국의 관심을 끌었다.그녀의 여권 갱신은 다음 해에 거부되었다.[6]: 151–152 1958년, 랜섬-쿠티가 미국에서 열린 여성 인권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초청되었을 때, 그녀는 당국이 "공산주의 인맥이 너무 많다"고 느꼈기 때문에 미국 비자를 거절당했다.[13]란소메쿠티는 고위층 친구들의 지지를 받고 정부 관리들에게 항의 편지를 썼지만 공산당이 아니라고 선언하는 기자회견까지 열었지만 그녀의 항의는 묵살됐다.1960년 나이지리아가 독립하고 나서야 란소메쿠티의 여권이 갱신되었다.[6]: 151–152

1959년 랜섬-쿠티가 NCNC 후보로 재출마할 수 있는 두 번째 기회가 거부되자 대신 무소속 후보로 출마했지만, 그녀의 선거 운동은 표를 분산시켜 NC의 반대자가 의석을 차지할 수 있도록 도왔다.이후 당은 란소메쿠티의 당적을 취소했다.[3]그녀는 계속해서 정당인 민중당을 창당했지만, 그 정당은 겨우 1년 만에 해체되면서 탄력을 받지 못했다.[6]이 무렵 란소메-쿠티의 정치적 경쟁자들은 FNWS를 대체하기 위한 시도로 전국여성단체협의회를 만들었다.[4]
1960년 독립 후 나이지리아는 새로운 헌법을 통해 남녀 모두에게 보편적인 성인 선거권을 도입하였다.주로 무슬림 지역이었던 나이지리아 북부 지역은 여성에 대한 투표권을 즉시 시행하지 않았다(이 지역의 여성 참정권은 이후 1976년 군사령으로 부여되었다).[8]
나이지리아의 독립 초창기 시절은 지도자들과 대표자들 사이의 정치적 이견에 휩싸였다.1966년 군사 쿠데타로 정권이 바뀌었을 때 란소메쿠티는 이것이 국가에 긍정적이고 필요한 진전이라고 느꼈지만, 같은 해 반군 이후 이어진 폭력을 규탄했다.[4]그녀는 1963년부터 이 기구의 나이지리아 지부장으로 있으면서 국제평화자유연맹(WILPF)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4]
1965년 란소메쿠티는 니제르 훈장에 가입하는 국가적 영예를 안았다.이바단 대학은 1968년에 그녀에게 명예 법학박사 학위를 수여했고,[6]: 155 그녀는 1970년에 레닌 평화상을 받았다.[20][21]
1969년 서부 나이지리아 주 정부에 의해 란소메 쿠티가 자문 교육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고, 그녀는 다른 나라 출신의 교사 채용에 관한 연방 교육부 자문위원을 역임하였다.[4]
식민지의 유럽 영향의 폐기를 반영하기 위해 성을 바꾼 아들 펠라에게서 영감을 받아 1970년대 초 란소메쿠티는 비공식적으로 성을 '아니쿨라포쿠티'로 바꿨다.'아니쿨라포'라는 이름은 요루바어로 '죽음을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사냥꾼'이나 '강력한 보호막을 지니고 다니는 워리어'[2]: 168 를 뜻하는 말로 번역할 수 있다.
죽음
아니쿨라포쿠티의 말년에 음악가 겸 활동가인 그녀의 아들 펠라는 나이지리아 군사정부에 대한 그의 목소리를 비판한 것으로 알려지게 되었다.펠라는 1970년대 초 체포되어 잠시 수감되어 있었으며, 당국은 그의 집과 재산을 여러 차례 급습했다.나이지리아 연방의 권위를 경멸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자신의 고향 땅을 '칼라쿠타 공화국'[2]: 168 으로 명명하고 군 당국의 두려움 없이 친구와 지지자들이 모여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공동체로 탈바꿈시켰다.[22]1974년 11월 나이지리아 경찰은 시내에 있는 그의 나이트클럽을 도끼와 최루탄으로 급습해 펠라는 부상을 입었다.[23]1976년 펠라는 '좀비'라는 앨범을 발표했는데, 이 앨범은 군대를 생각 없는 기계에 비유했고,[24] 많은 사람들은 이 앨범이 펠라와 정부의 갈등에 최종적인 지푸라기 역할을 했다고 믿고 있다.[22][24]
아니쿨라포쿠티는 자신의 영내에 자주 아들을 찾아갔으며, 1977년 2월 18일 당시 1000명에 가까운 무장 군인들이 그 땅을 에워싸고 난입했다.군인들이 내부로 침입하자마자 그들은 재산을 파괴하고 주민들을 공격하기 시작했다.펠라와 베콜라리는 구타와 중상을 입었다.[2]: 168–169 아니쿨라포쿠티는 2층 창문에서 던져졌다.[3]그 공격 이후, 그녀는 병원에 입원했고 결국 혼수상태에 빠졌다.그녀는 1978년 4월 13일 부상으로 사망했다.[2]: 169–170
아니쿨라포쿠티의 유해는 남편과 같은 금고에 있는 아베오쿠타에 매장되었다.그녀의 장례식에는 수천 명이 참석했고, 많은 시장 여성들과 상인들은 그녀의 죽음을 기념하기 위해 도시 전역의 상점과 시장을 폐쇄했다.[2]: 171 나이지리아의 주요 언론들은 이 운동가를 "진보적 혁명가"와 "범아프리카의 선지자"[2]: 170 라고 칭하며 찬사를 보냈다.
아니쿨라포쿠티가 사망한 지 1년이 되는 날,[2]: 171 펠라는 관을 들고 20킬로미터 가까운 거리를 라고스의 도단 막사(당시 나이지리아 최고 군사 본부)[23][24][25]로 이동하면서 정부를 무색하게 하려고 관을 문 앞에 두고 떠났다.침략과 그녀의 죽음, 관의 움직임은 그의 노래 "국가원수를 위한 코핀"[26]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레거시
전기 작가 셰릴 존슨-오딤은 펑밀라요 란소메-쿠티의 이름이 나이지리아 전역에 잘 알려져 있으며, "그 당시 다른 나이지리아 여성들 중 누구도 그러한 국가적 인물로 선정되거나 국제적인 노출과 연줄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고 언급했다.[6]: 144 나이지리아 활동가 하지야 감보와 정치인 마가렛 에크포는 모두 란소메-쿠티를 작품에 강한 영향을 끼친 인물로 꼽았고,[2]: 174 나이지리아계 영국 여성주의 작가 아미나 마마는 란소메-쿠티의 활동주의를 개인적인 신념과 관점을 형성한 것으로 꼽았다.[7]가나의 정치인 콰메 은크루마(가나의 초대 총리)는 가나 여성 협회의 초기 조직에서 란소메 쿠티로부터 많은 영감을 받았다.[13]
2012년 나이지리아 정부는 새로운 N5000 지폐에 란소메쿠티의 이미지를 포함시킬 것을 제안했다.그해 8월 란소메쿠티의 손자인 음악가 세운쿠티는 할머니의 죽음에서 정부의 역할에 비추어 이 제안이 "최소한의 말로 하기엔 너무 졸렬하다"고 언론에 밝혔다.[27]쿠티는 란소메-쿠티가 '미지의 병사 1000명'[27]에게 공격당했다고 공식 선언하는 등 가족들이 영내 폭행에 대한 사과를 받은 적이 없다고 밝혔다.
Ransome-Kuti는 여배우 Dola Sogoe에 의해 2014년 영화 10월 1일에 그려졌다.[28]2019년 10월 25일, 란소메-쿠티는 나이지리아-이탈리아 삽화가 다이애나 에자이타가 만든 구글 두들[29](Doodle)로 추서되었다.[19]
참고 항목
참조
- ^ Agunbiade, Tayo. "Remembering Funmilayo Ransome-Kuti: Nigeria's 'lioness of Lisabi'". www.aljazeera.com. Retrieved 9 March 2022.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Johnson-Odim, Cheryl; Mba, Nina Emma (1997). For Women and the Nation: Funmilayo Ransome-Kuti of Nigeri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ISBN 0-252-06613-8.
- ^ a b c d e f g h "Funmilayo Ransome-Kuti: Nigerian feminist and political leader". Encyclopedia Britannica. 21 October 2019. Retrieved 18 December 2019.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Ransome-Kuti, Funmilayo". Dictionary of African Biography. Vol. 5. Akyeampong, Emmanuel Kwaku., Gates, Henry Louis, Jr.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pp. 176–178. ISBN 978-0-19-538207-5. OCLC 706025122.
{{cite book}}
: CS1 maint : 기타(링크) - ^ Sheldon, Kathleen (2016). "Ransome-Kuti, Funmilayo (1900-1978)". Historical Dictionary of Women in Sub-Saharan Africa. Rowman & Littlefield. pp. 247–248. ISBN 978-1-4422-6293-5.
- ^ a b c d e f g h i j k l Johnson-Odim, Cheryl (1992). "On Behalf of Women and the Nation: Funmilayo Ransome-Kuti and the Struggles for Nigerian Independence". In Johnson-Odim, Cheryl; Strobel, Margaret (eds.). Expanding the boundaries of women's history : essays on women in the Third World. Indiana University Press. pp. 144–157. ISBN 0-253-33097-1. OCLC 24912498.
- ^ a b c Mayer, Adam (2016). "Olufunmilayo Ransome-Kuti". Naija Marxisms: Revolutionary Thought in Nigeria. Pluto Press. pp. 172–176. ISBN 978-0-7453-3657-2. JSTOR j.ctt1ddr6f8.
- ^ a b c Hannam, June; Auchterlonie, Mitzi; Holden, Katherine, eds. (2000). "Ransome-Kuti, Funmilayo".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women's suffrage. Santa Barbara, Calif.: ABC-CLIO. pp. 251–253. ISBN 1-57607-390-4. OCLC 44860746.
- ^ Adeniyi, Dapo. "Monuments and metamorphosis" (PDF). African Quarterly on the Arts Vol. 2, No. 2. Retrieved 11 July 2009.
- ^ Gibbs, James (1988). "Biography into Autobiography: Wole Soyinka and the Relatives Who Inhabit 'Ake'". The Journal of Modern African Studies. 26 (3): 519. doi:10.1017/S0022278X00011757. ISSN 0022-278X. JSTOR 160896 – via JSTOR.
- ^ Sheldon, Kathleen, ed. (2016). "Abeokuta Women's Union". Historical Dictionary of Women in Sub-Saharan Africa. Rowman & Littlefield. p. 14. ISBN 978-1-442-2629-35.
- ^ Smith, Bonnie G. (2005). Women's History in Global Perspective, Volumes 2–3.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p. 53. ISBN 978-0-252-0299-05.
- ^ a b c d Johnson‐Odim, Cheryl (2008). "Ransome-Kuti, Funmilayo". In Smith, Bonnie G. (ed.). The Oxford Encyclopedia of Women in World History. Vol. 1. Oxford University Press. p. 51. ISBN 978-0-19-514890-9.
- ^ Sklar, Richard L. (2004). Nigerian Political Parties: Power in an Emergent African Nation. Africa Research & Publications. ISBN 1-59221-209-3.
- ^ Attoe, Stella; Jaja, S. O. (1993). Margaret Ekpo: lioness in Nigerian politics. ALF Publications. p. 25. ISBN 978-978-32319-1-7.
- ^ "Ransome-Kuti, Funmilayo". The Northeastern dictionary of women's biography. Uglow, Jennifer S., Hinton, Frances., Hendry, Maggy. (3rd ed.).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1999. pp. 447. ISBN 1-55553-421-X. OCLC 41165272.
{{cite book}}
: CS1 maint : 기타(링크) - ^ Kinni, Fongot Kini-Yen (2015). "Gender Consciousness and Pro-Agency: Black Women Feminist Suffragettes and Civil Rights Activists in The U.S.A. and The Spread of Pan-Africanism". Pan-Africanism: Political Philosophy and Socio-Economic Anthropology for African Liberation and Governance. Langaa RPCIG. p. 803. ISBN 978-9956-762-65-1. JSTOR j.ctvh9vw4r.9.
- ^ Oluyemi, Oloyede (2016). "Monitoring Participation of Women in Politics in Nigeria" (PDF). United Nations Statistics. p. 5. Retrieved 15 June 2020.
- ^ a b Daniel, Eniola (25 October 2019). "Google celebrates Funmilayo Ransome-Kuti's 119th birthday with a doodle". guardian.ng. Retrieved 29 December 2019.
- ^ Sansom, Ian (11 December 2010). "Great Dynasties: The Ransome-Kutis". The Guardian. Retrieved 18 June 2014.
- ^ Johnson-Odim, Cheryl (January–February 2009). "'For their freedoms': The anti-imperialist and international feminist activity of Funmilayo Ransome-Kuti of Nigeria". Women's Studies International Forum. Elsevier. 32 (1): 58. doi:10.1016/j.wsif.2009.01.004.
- ^ a b Olarewaju, Demola (15 July 2018). "How Fela Kuti came to be celebrated by those he sang against". Al Jazeera. Retrieved 29 December 2019.
- ^ a b Brooke, James (18 November 1988). "Army's No Fan, but Singer Has an Army of Fans".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29 December 2019.
- ^ a b c Hannaford, Alex (25 July 2007). "He was in a godlike state". The Guardian. ISSN 0261-3077. Retrieved 29 December 2019.
- ^ Gabrielle Eva Marie Zezulka-Mailloux; James Gifford (2003). Culture + the State: Nationalisms (Critical Works from the Proceedings of the 2003 Conference at the University of Alberta). Vol. 3. CRC Studio. p. 261. ISBN 978-1-551-9514-92.
- ^ "21 Years After, Why Is Fela Remembered?". The Guardian Nigeria News – Nigeria and World News. 2 August 2018. Retrieved 29 March 2019.
- ^ a b "Apologise for killing my grandmum before putting her face on naira, Seun Kuti tells FG". Channels Television. 31 August 2012. Retrieved 16 August 2019.
- ^ Mgolu, Charles (13 August 2013). "Late Funmilayo Ransome Kuti resurrects in new movie…'1 October'". The Vanguard. Retrieved 13 May 2017.
- ^ Jayne Augoye (25 October 2019). "Google celebrates Funmilayo Ransome-Kuti's on posthumous birthday". Premium Times. Retrieved 25 October 2019.
추가 읽기
바이필드, 주디스 A. (2003)"세금, 여성, 식민지 국가: 에그바 여성 조세 반란"경맥 3(2)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펀밀라요 란소메쿠티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후밀라요 란소메쿠티와 아베오쿠타 여성연합.알라바 오나진의 삽화, 유네스코 오비오마에고의 각본과 텍스트, 2014년
- 영국 런던에 있는 펑밀라요 란소메쿠티와 다른 나이지리아 치프들의 무성영화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