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처 코믹스

Future Comics
퓨처 코믹스
산업만화
설립.2000년, 2002년에 출판된 최초의 만화책
설립자밥 레이튼, 앨런 베레비, 데이비드 미슐랭, 딕 지오르다노
없어졌다2004년[1]
본사,
미국
주요 인물
밥 레이튼 편집장
Allen Berrebbi, CFO 겸 마케팅 디렉터
데이비드 미슐랭, 헤드 라이터
딕 지오르다노, 아트 디렉터
퍼블리셔의 Farrell 건너뛰기
부모장래의 엔터테인먼트

Future Comics는 업계박식한 Bob Layton과 그의 크리에이티브 파트너인 Layton의 멘토, 예술가/편집자 Dick Giordano[2], 그리고 그의 단골 집필 파트너인 David Michelinie, CFO Allen Berebi 및 출판사 Skip Farrell에 의해 설립된 미국의 만화책 출판사입니다.

프리폼

1970년대에 마블 코믹스의 아이언 맨을 (공동 작가 데이비드 미슐랭리와 함께) 재출시함으로써 큰 성공을 거둔 밥 레이튼은 1990년대 초중반 발리안트 코믹스에서 "처음에는 발리안트 유니버스 공동 설계자로 일했고, 그 후 편집장과 수석 [3]부사장으로 일했습니다."레이튼은 1996년 뉴욕시에 있는 그의 고향이자 만화 산업 자체를 떠나 짧은 은퇴를 위해 플로리다로 이사했다.

레이튼은 1998년 만화로 돌아와 딕 지오다노와 함께 DC Comics용 엘즈월드를 몇 편 작업한 뒤 마블(그리고 아이언맨)로 돌아와 자주 공동작업을 하는 데이비드 미슐랭리와 미니시리즈를 제작했다.그러나 마블에서의 그의 경험은 그를 주류 만화와 그 이후 침체된 "열등한 상품의 빛"에 환멸을 느끼게 했다. 출판사들은 "초특한 요소들과 부수적인 상품 개발"[4]이 아닌 "질 좋은 콘텐츠"에 초점을 맞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21쪽짜리 월간 만화를 좋아하는 만큼, 틈새 독자만을 위해 쓰고 있는 상품에 대한 지나친 의존을 실감하고 있다.만화는 대중 시장 독자들에게 매력적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레이튼은 지오다노(플로리다에 거주하기도 했다)와 미슐랭리와 함께 "더 메인스트림—'Average Joe'[4]가 읽을 수 있는 것"을 생산하는 회사를 만들었다.

형성

퓨처 엔터테인먼트(또는 "퓨처 코믹스")의 설립은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롯의 히어로즈 [4]컨벤션 기간인 2000년 6월 9일 토요일 기자회견에서 밥 레이튼과 딕 지오다노가 발표했다.

레이튼과 지오다노는 'Average Joe'를 위한 만화를 제작하기를 원했을 뿐만 아니라, 수많은 소매상들이 "다이아몬드에 의해 그들이 취급되고 있는 냉담한 방식"을 비난하고 있다는 것을 들었기 때문에, 퓨처는 인터넷을 통해 독자와 소매상에게 똑같이 직접 판매함으로써 만화 유통을 혁신할 작정이었다.첫 출시 이후 2년 동안 레이튼과 지오다노는 "마블, DC,[4] 다이아몬드가 장악한 시장에서 독립 출판사가 수익을 낼 수 있도록 하는 대담하지만 건전한 사업 계획을 세웠다."다이렉트 마켓의 운영이 궁극적으로 소규모 출판사의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깨달은 그들은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다이아몬드가 제공하는 유통망(따라서 다이아몬드가 출판사로부터 구매하는 급격한 할인)을 우회하고 중간상인을 도려내고 퓨처티(Future)를 분배하는 것이라고 결정했다.인터넷이나 '미래 코믹스 소매업자 클럽'[4]을 통해 판매되고 있습니다.또 퓨처의 '판매부'는 1-800번 무료 번호로 팬들에게 [5]직접 판매했다.

퓨처 코믹스는 2002년 8월에 첫 번째 타이틀인 프리마인드 #0을 선보였다.레이튼이 공동 집필, 편집, 잉크를, 미슐랭이 공동 작가로, 지오르다노 연필 그리기, 미겔 인시너레스와 알버트 T가 색상과 편지를 썼습니다.드구즈만은 곧 퓨처 코믹스가 새로운 발리안트나 [4][5]마블이라는 평을 받았다.Future의 두 번째 타이틀(Metallix)은 몇 달 후, 그들의 베스트셀러인 Deathmask가 2003년 3월에 출시되었고, 그 때 "미국의 1,100개의 만화 소매점 중 거의 절반이 [4]Future로부터 직접 구매하기로 계약되었다."

하지만 데스마스크가 가게에 도착하기 전에 퓨처의 유통 시스템은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다이아몬드 딜

2002년 말까지 레이튼은 다이아몬드가 "우리의 작전이 그들에게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우려하게 되었다"고 주장하며 파트너십을 제안했습니다.Future의 명시적인 목표는 독점적인 유통망을 우회하는 것이었지만, 단기적으로는 Future가 수익을 내지 못했고, 다이아몬드를 통한 매출 증대 및 광고 개선 약속은 좋은 제안으로 보였다.게다가, 일부 소매상들은 다이아몬드가 그들을 힘들게 할까봐 두려워하며 Future와 직접 거래하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Future는 무료 배송과 대규모 도매 할인을 제공하고, 생산량을 "100% 반품 가능"[6]하게 함으로써 (이를 통해 판매점에 대한 주요 위험을 효과적으로 제거함) 제품을 "모든 목적과 목적을 위한 무료"로 만들었지만, 소매업체는 Future를 실현하기 위해 충분한 복사본을 주문하지 않았습니다.가격에 대한 불만(당초 Future의 생산량은 소매가 3.50달러)이 해결되었고, 커버 가격은 더 표준적인 2.99달러로 낮아졌다.이러한 움직임이 도움이 되지 않자 레이튼은 다이아몬드가 제시한 약속을 이용하는 것 외에는 다른 대안이 거의 없다고 느꼈다.

다이아몬드 프리뷰 만화 카탈로그에서 퓨처가 탐나는 "프리미어 퍼블리셔"의 지위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을 것으로 알려진 다이아몬드는 또한 그들의 유통망을 사용하는 것이 판매를 두 배로 증가시킬 것이라고 제안했다고 퓨처 코믹스(독자 경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던)는 동의했다.불행하게도, 이것은 몇 가지 측면에서 비참한 것으로 판명되었다.Future의 기존 "소매업자 클럽" 네트워크는 이러한 움직임을 배신으로 간주했고, Layton은 "당사의 원래 자기 유통 계획을 포기하는 것은 결국 회사의 슬픈 종말을 초래한 것"이라고 소급하여 인정하게 되었습니다."[4]

2002년 12월 20일:

업계 베테랑 밥 레이튼, 딕 지오다노, 앨런 베레비, 데이비드 미슐랭리에 의해 설립된 출판·유통회사 퓨처코믹스가 발표했다.다이아몬드 코믹 디스트리뷰터와 모든 퓨처 코믹스 [7]제품을 취급할 수 있도록 합의했다고 밝혔다.

레이튼 편집장은 성장과 영화 거래를 예로 들며 퓨처는 "업계의 유통 선두 업체인 다이아몬드와의 계획된 업무 관계를 재검토했다"며 "[7]시장에서 여전히 유통 경쟁자로서 경쟁하면서 서로 사업을 할 수 있는 타협점을 찾으려 했다"고 말했다.레이언은 Future의 기존 소매업자 클럽 시스템을 안심시키려는 시도로 다이아몬드 거래는 "Future Comics의 독특한 사업 계획의 정신을 타파하지 않았다"면서 "판매 정책은 처음부터 분명히 명시되어 있다: 우리는 그것이 우리의 조건에 맞는 한 누구에게나 판매할 것이며, 이 다이아몬드 거래는 그러한 입장을 타협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라이선스를 [7]취득했습니다.

레이튼은 퓨처사의 인터넷 기반 유통 방식이 일부 소매업체들의 접근이 쉽지 않아 다소 지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하면서 퓨처는 이미 다이아몬드사의 여러 경쟁업체와 거래를 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에게 같은 [7]존경을 표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지적했다.Dick Giordano는 DC의 다이렉트 판매 시장 진출로 그들과 (그리고 다이아몬드와의) 수십 년간의 관계를 언급하며 Bill Schanes와 Steve Geppi칭찬했습니다.

다이아몬드의 2003년 1월 프리마스크 카탈로그는 프리마인드 #5와 메탈릭스 #4뿐만 아니라 새로운 시리즈 데스마스크의 목록을 포함하고 있으며, "미래 [7]코믹스에서 직접 주문할 기회를 놓친 고객들"을 위한 백호도 있다.

데스마스크 #1은 2003년 3월에 발매되었으며 프리마인드메탈릭스는 (아래의) 반달리즘으로 인해 출판이 약간 지연되어 [7]4월에 도착했다.그러나 매출은 기대했던 대로 오르지 않았다.레이튼은 Future가 파산한 후 [4]투자자들에게 "주문량이 감소했다"고 썼다.

무료 만화책의 날

판매를 늘리고 다이아몬드(Diamond 시스템 외 유통을 계속하기로 한 Future의 결정에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생각됨)와 Future Comics Retailer's Club(Diamond를 통해 판매 요청을 요청한 Future의 결정에 불만족함)의 인식된 이중 부정성에 맞서기 위해 Layton과 Publisher Skip Farrell은 특별히 권장했습니다.2003년 5월 3일 제2회 무료만화의 날 행사에 참석했습니다.

다이아몬드는 성공적인 FCBD 만화는 "결과적으로 매출이 12% 증가할 것"이라고 암시했다고 한다.필연적으로 추측할 수 있는 이 추정치는 "완전히 거짓"으로 판명되었고, Metalix #1(제품의 무료성을 커버하기 위해 약 $16,000의 판촉 비용)을 9만 부 배포한 후, Future는 "...[4] 판매에서 단 한 퍼센트도 증가하지 않았다."

외부 문제

다이아몬드 유통과 비다이아몬드 유통에 대한 소매업체의 모순된 요구와 상호 배타적인 요구 사이에서 헤매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Future Entertainment는 막후에서 심각한 차질을 겪었다.2003년 1월(다이아몬드 거래 [4]후 얼마 지나지 않아) 재무부실 경영으로 인해 "비중요직 직원"의 "규모화 가능한 해고"가 필요했습니다.그 다음 달인 2월 17일 퓨처 코믹스의 사무실은 파괴되었고 컴퓨터 네트워크는 퓨처의 [8]전자상거래 사업에 심각한 타격을 입힌 바이러스로 인해 마비되었다.

게다가 "최신 서적의 PDF 파일이 바이러스에 의해 손상되었다"고 하는 바람에, 메탈릭스프리마인드의 새로운 다이아몬드 발행이 지연되어, "매출 수입이 전혀 없는" 퓨처에게 "[4]거의 두 달"을 주었다.

최근 이력

미래 2003년 4월은 영업 마케팅부 Manager,[9]지만 그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과 지속적인 제이슨 휴즈는 고용했다고 하지만 할리우드에서 느리게 움직이는 관심, 7문제 각 Metallix과 Freemind, 3Deathmask의고 제로 미래의 Peacekeeper[10]- 만났다는 인쇄 —fourth-title 끝난 후에 회사에서 계속" 빨간 색 했다고 발표했다.irect는 경우더 수익성 있는 시장을 위한 노력"이라며 개별 이슈를 [4]찾는 것을 중단했다.

레이튼은 "아트 & 편집 비용 상승"을 언급하며 "그런 비용은 만화 산업의 매출 비율과 전혀 맞지 않는다"고 지적한다.따라서 2003년 8월(잠시 중단 후 - 데스마스크프리마인드의 마지막 호는 5월호, 메탈릭스 #6은 6월호)에 Future Comics는 쇠퇴하는 직접(만화) 시장이 아니라 대중(도서) 시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크로스젠과 같은 출판사들도 페이퍼백과 G주력할 것이라고 발표했다.라픽 [11]소설집

Future Comics의 사장 겸 편집장인 밥 레이튼은 Comics Continuum 웹사이트에 올린 성명에서 "소비자들의 취향이 트레이드 페이퍼백 포맷에 끌리고 있는 것이 오히려 명백해졌다.다이렉트 시장은 계속 하락하고 있는 반면, 그 장르에 대한 대중 시장의 관심은 증가하고 있다.유럽과 일본 십년 동안 통계 보면 미국 레이턴 30%2004년의 예상 매출 성장과 함께"통계 분명히 미국은 현재로 가고 있는지 같은 방향으로 show[ing]"인용 같은 direction.ᆪ[12]에, 및 대비에, 월간 만화의 생산 비용은 계속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이 형식을 받아들이고 있다.dto 일어나다.[4]

필립 슈바이어는 9월 코믹북빈에서 월간 만화에서 컬렉션으로 이어지는 더 많은 변화를 감안하여 퓨처의 움직임은 대담한 것이지만, 일회성 "사촌" (잡지) 월간 정기성 만화에서 벗어나는 것은 "현시점에서는 현재의 문제에 대한 빠른 해결책일 수 있다"고 언급했다.만화 [12]산업입니다.""이러한 움직임은..." 이래서 더 실현가능해 보일 것이다.매스마켓과 서적판매 논리는 (슈와이어가 그랬듯이) 미래의 움직임을 암묵적으로 지지하는 것 같았지만,[12] 그렇게 되지는 않았다.아이러니하게도, 마찬가지로 짧은 기간의 출판사 CrossGen이 "매스 마켓 포맷"을 향해 가는 것과 비슷하게, Future의 움직임은 "회사가 빚더미에 빠지는 것을 막기에는 너무 늦었다"며, 새로운 투자자와 자금이 매스 마켓 [4]제품 생산 결정을 뒷받침할 수 없게 되었다.

월간 타이틀의 정지 및 디지털로의 이행

퓨처 코믹스는 2004년에 월간 타이틀을 취소했다.2012년에 이 회사는 전체 카탈로그를 디지털 방식으로 출시했습니다.출판된 책 외에도 출판되지 않은 여러 이야기들이 수록되었다.이 타이틀들 중 하나는 Peacekeeper #1이었다.이후 2012년 Future는 퍼블리셔 IDW Publishing과 협력하여 그래픽 소설 Colony를 출판했습니다.콜로니는 딕 지오다노의 마지막 작품으로 판매되었다.

붕괴를 비판하다

레이튼의 사건 묘사에 대해 다소 씁쓸하게 언급하면서, 코믹북 갤럭시의 크리스토퍼 앨런은 퓨처 코믹스의 구조조정과 궁극적인 실패에 대한 레이튼의 발언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그는 특히 다이아몬드의 "독점"에 대한 레이튼의 비판과 퓨처 코믹스의 "위협"에 대한 우려는 퓨처의 적은 수의 타이틀이 다이아몬드의 수천 개의 다른 [13]타이틀들을 위협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다면 신 포도 이상일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지적합니다.게다가, 앨런은 레이튼의 반복에서 다이아몬드가 개입하기 전에 퓨처의 단독 배급 시스템이 "성공적"이었고, 퓨처의 죽음에 대한 책임의 부담이 [13]다이아몬드에 있다고 (레이튼이 암시하는 것처럼) 약간 과장된 것 이상이라고 본다.앨런은 또한 왜 레이튼의 쇠퇴하는 만화 산업에 대한 해부가 Future가 어려움에 처하기 전에 더 큰 역할을 하지 않았는지 궁금해 하며, Future는 월간 만화에서 컬렉션으로 이동하는 데 있어서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Allen은 다음과 같이 회상합니다.

"4개 시리즈의 1층 호를 거래하는 것이 실제로 요청되었습니다...가격은 각각 16달러에서 17달러입니다.즉, 4개 발행 호당 2.99달러에서 3.50달러 사이이며, 개별 커버는 [13]4달러 이상입니다."

앨런은 이것이 판매량 부족을 해결하는 이상적인 방법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필름 딜

퓨처 만화는 할리우드의 관심을 빠르게 끌었다.레이튼은 2002년 12월 다이아몬드와 거래한 이유로 프리민드 영화가 패스트트랙에 올랐다고 언급했고, 2003년 7월 두 회사의 보도자료도 할리우드 톱스타들의 눈을 사로잡았다."[7][14]

레이튼, 미슐랭, 지오다노는 2003년 7월까지 메트로스톱 엔터테인먼트D-No 엔터테인먼트와 "관계"를 맺고, 레이튼이 영화 거래와 관련하여 "불안한 시작"이라고 표현한 이후, 대형 스크린과 소형 스크린 모두에 그들의 속성을 적용시켰다.> 니즈"[14]Future Comics는 각 시리즈의 컨셉을 「특정 커스터마이즈」해, 알기 쉽게 번역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영화, 텔레비전, 비디오 게임으로요.첫날부터의 사업계획은 가능한 한 많은 청중을 끌어들일 지적재산을 확립하는 것이었습니다.분명히 이 계획은 놀라운 효과를 거두었습니다. 이 네 가지 부동산이[15] 현재 [14]할리우드에서 일으키고 있는 열기로 증명됩니다."

메트로스톱 엔터테인먼트의 공동 설립자인 로버트 키고바드는 퓨처 코믹스를 "프로듀서의 꿈뿐만 아니라 시나리오 작가이기도 하다.그것들은 가공되지 않은 진짜 다이아몬드입니다." "당신을 [14]설득할 수 있는 독창적인 작품입니다.지난 12월 이후 7개월 동안 데스마스크는 프리마인드와 함께 "할리우드에서의 공격을 주도했다"고 키고바드는 설명했다.Freemind는 "인간의 [14]정신의 확장을 반영하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지적이고 캐릭터 중심 만화"인 Future의 출시 타이틀이었던 반면, 마법, 독특한 설정, 그리고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하고 어두운 캐릭터들로 채워졌다.

이 보도 자료는 "메탈릭스"와 "피스키퍼"가 모두 선두 주자들과 함께 바짝 뒤쫓고 있다는 것을 언급하며 낙관적으로 마무리되었다.모든 부동산이 빠르게 [14][16]개발되었기 때문에 미래 코믹스의 재능에 대한 놀라운 증거입니다."

Future Comics의 파산에도 불구하고, Layton은 투자자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며 낙관적인 어조로 마감했다.

"미래 코믹스의 캐릭터들을 장편 영화 버전으로 제작하는 것에 할리우드의 관심이 계속 있습니다.그 회담은 계속 진행 중입니다...바라건대, 우리의 사랑의 노력은 아직 완전히 다른 장소에서 계속 살아가고 있다.
'시간이 지나봐야 안다'[4]

제목

퓨처의 계획된 타이틀은 프리마인드, 메탈릭스, 데스마스크, 피스키퍼였다.이 회사는 2012년에 전체 카탈로그를 디지털로 출시했습니다.이 책에는 데스마스크, 메탈릭스, 피스키퍼의 미발표호가 포함되어 있다.Future는 2012년 말에 IDW Publishing과 합작하여 그래픽 소설 Colony를 출판했습니다.

2018년 말, Future는 디지털로만 제공되던 5개의 호를 출시했고, 마침내 Peacekeeper는 Future의 이전 타이틀의 후속 호와 함께 인쇄를 보게 되었다.

  • 프리마인드 #0-7 (2002년 8월~2003년 6월)
    • 프리마인드 : The Origin (2003년 4월) (트레이드 페이퍼백은 프리마인드호 #0-3을 전재)
  • 메탈릭스 #0-6 (2002년 12월~2003년 6월)
  • 데스마스크 #1-3 (2003년 3월~2003년 6월)
  • Peacekeeper(미공개)
초판 디지털 전용, 2018년에 출판된 책.
  • 프리마인드 #8
  • 메탈릭스 #7
  • 데스마스크 #4-5
  • 평화유지군 #1
그래픽 소설
  • 식민지

레퍼런스

  1. ^ 그러나 2012년에는 출판사 IDW 출판사와 제휴하여 그래픽 소설 1편을 출판했습니다.
  2. ^ "규칙의 재발명: 밥 레이튼 온 지오르다노" 에우리, 마이클딕 지오르다노: 만화, 하루하루 투모로우 출판 (2003년 11월 5일) ISBN1-893905-27-6.
  3. ^ 만화책 DB의 밥 레이튼(원작에서 아카이브).2008년 3월 30일 접속
  4.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The Days of Future Past Archived at the Wayback Machine 2007년 9월 29일 - Bob Layton이 미래의 실패에 대해 투자자에게 제출한 보고서에서 발췌.2008년 3월 30일 접속
  5. ^ a b Hervé St.의 미래 만화 보기.루이스, 2003년 9월 6일2008년 3월 30일 접속
  6. ^ 잡지나 신문이 그렇듯이, 직거래 시장이 등장하기 전까지 만화도 그랬다만화도 그랬다.
  7. ^ a b c d e f g Diamond Comic Distributors, Future Comics 릴리즈 (보도발표), 만화책 리소스, 2002년 12월 20일 배포.2008년 3월 24일 액세스(캐시)
  8. ^ Layton은 다음과 같이 쓰고 있습니다.
    "우리는 Future Comics가 전자상거래 사업을 할 수 있게 해준 장비만 파괴하고, 단지 외부에 위치한 전자제품실에 도둑이 침입한 것을 발견했습니다.게다가 바이러스가 우리 네트워크에 주입되어 일주일 이상 완전히 차단되었다.우리는 이 파괴행위에 대한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 전혀 알지 못했지만, 우리는 계속해서 가해자들을 찾아내고 법의 끝까지 그들을 기소하기 위해 모든 방법을 추구했다.유감스럽게도, 이 사보타주를 가해자에게까지 추적할 수는 없었지만, 그 공격은 「내부적인」 공격이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불만을 품은 전 종업원의 소행이라고 생각됩니다."The Days of Future Past Archived 2007년 9월 29일, 웨이백 머신에서 아카이브된, Bob Layton이 Future의 실패에 관한 리포트에서 발췌한 것입니다.2008년 3월 30일에 액세스.
  9. ^ Jason Hughes는 2003년 4월 16일 Newsarama의 마케팅 매니저[permanent dead link](보도자료)로서 Future Comics에 입사했습니다.2008년 3월 31일 접속
  10. ^ Peacekeeper는 2003년 3월에 8월에 데뷔한 것으로 발표되었다.퓨처 코믹스의 4번째 타이틀 발표: Peacekeeper Archived 2011-06-05 at the Wayback Machine, 2003년 3월 25일2008년 3월 31일 접속
  11. ^ 그들은 정말 "고귀한" 사람들인가요?2003년 8월 3일 Wayback Machine에서 2011-07-25 아카이브 완료.2008년 3월 30일 접속
  12. ^ a b c 트레이드 페이퍼백은 만화의 미래인가?Philip Schweier, 2003년 9월 6일.2008년 3월 30일 접속
  13. ^ a b c 2004년 12월 16일, ComicBookGalaxy에서 크리스토퍼 앨런의 애통한 레이튼.2008년 3월 31일 접속
  14. ^ a b c d e f Future Comics 프레스 릴리즈, 2003년 7월 28일 만화책 리소스에서.2008년 3월 24일 접속
  15. ^ 여기서 레이튼은 지금까지 인쇄된 세 가지 재산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출판되지 않은 채 남아 있는 피스키퍼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16. ^ 퓨처 코믹스의 할리우드[permanent dead link] 프로그레스 (보도자료), 뉴사라마, 2003년 7월 23일.2008년 3월 24일 접속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