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처리아인

Futurians

퓨처리안들은 공상 과학 소설 팬 그룹이었고, 그들 중 다수는 편집자작가도 되었다.퓨처리언은 뉴욕시에 기반을 두고 1937년부터 1945년까지 공상과학 소설과 공상과학 팬덤의 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

그룹의 기원

아이작 아시모프의 1979년 자서전 "기억 속에서 녹색"에서 묘사되었듯이, 퓨처리안들은 이념적 차이 때문에 (나중에 영향력 있는 SF 편집자이자 역사학자인 샘 모스코위츠가 대표맡았던) 그레이터 뉴욕 공상과학 클럽에서 분리되었고, 퓨처리안들은 보다 노골적인 마르크스주의 정치적 입장을 취하기를 희망했다.다른 소스에서는 Donald A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울하임은 모스코위츠가 저항한 정치적 이상을 향해 팬덤을 이끌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보다 좌파적인 방향을 추진하고 있었다.그 결과, Wollheim은 Greater New York 그룹에서 탈퇴하여 1938년 [1][2][3]9월에 Futurians를 설립하였다.모스코위츠를 따르는 팬들은 퀸즈 공상과학 클럽으로 재편성되었다.

도날드 A.1938년 울하임, 프레데릭 폴, 존 미셸

프레데릭 폴은 자서전 The Way the Future Was에서 퓨처리안들의 기원은 1934년 휴고 건스백이 설립공상과학 리그에 있다고 말했는데, 이 리그는 G 클락이 이끄는 뉴욕 지역 지부(Brooklyn Science Fiction League)로 불렸다.

울하임, 존 미셸, 로버트 A. W. 랜즈도 BSFL의 멤버였다.폴과 함께, 네 명은 자신들을 "쿼드럼빌레이트"라고 부르기 시작했다.폴은 당시 상황을 언급하며 "우리 4명이 브루클린에서 바다로 행진하면서 우리 뒤에 타버린 클럽들의 넓은 상처를 남겼다.디트로이트가 테일핀을 바꾸는 방식으로 클럽을 바꿨고, 매년 새로운 클럽이 생겼고, 작년에는 고물이었습니다."

그 기간 동안 클럽 이름이 여러 개 있었고, 그 후 퓨처리아로 자리를 잡았다.1935년에는 "동부 뉴욕 공상과학 리그" (ENYSFL), 후에 "인디펜던트 공상과학 리그" (ILSF)가 있었다.1936년에 국제 코스모스 과학 클럽 (ICSC)이 설립되었는데, 이 클럽에는 윌 시코라도 참여했습니다.그리고 나서 폴은 "반성해 보니 코스모스가 정당화 된 것보다 조금 더 많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것 같아서 우리는 그것을 국제과학협회로 바꿨다"고 말한다.그 후 ISA는 뉴욕지부-국제과학협회(NYB-ISA)로 개명되었다.

1937년 윌 시코라 등과의 불화 이후 쿼드럼바이러테는 퓨처리아인을 설립하였다.그 후 시코라는 샘 모스코위츠, 제임스 5세와 함께 퀸즈 공상과학 리그를 창설했다. 타우라시이후 QSFL은 New Fandom으로 바뀌었다.폴은 뉴 팬덤과 퓨처리안은 "불화에 중독되었다"며 "뉴 팬덤과 퓨처리안이 공상과학 소설에서 했던 것만큼 신흥 국가의 영혼을 위해 용감하게 씨름CIA와 KGB는 없다"고 말했다.

이 그룹의 멤버 대부분은 공상과학 소설과 관련 분야의 전문적 야망을 가지고 있었으며, 멤버 명단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목표를 달성하는데 집단적으로 매우 효과적이었다.1940년대 초반에는 미국의 모든 펄프 SF와 판타지 잡지의 약 절반이 퓨처리언에 의해 편집되었습니다.Popular Publications의 Frederik Pohl은 Fictioneers, Inc. (Astonishing Stories and Super-Science Stories); 콜롬비아 출판사의 Robert Lowndes는 SF와 Future Fiction (앞으로 10년 동안 Lowndes의 책임은 잡지 및 Donald의 다른 유형의 픽션으로 확장될 것입니다.)울하임은 극소 예산의 우주 이야기와 자극적인 과학 이야기를 다룬 아주 작은 알빙 출판사에서 일했습니다. (월하임은 곧 에이본 북스로 옮겼습니다; 에 "레슬리 페리" 바움가르트는 알빙의 로맨스 소설 제목도 작업했습니다.)이러한 프로젝트의 대부분은 편집 예산은 적었고, 컨텐츠에 대해서는, 일부, 또는 완전하게 Futurian 동료의 기부에 의존하고 있었습니다.

정치적 경향

미래학자들이 형성되었을 때, 도널드 월하임은 공산주의에 강하게 끌렸고 공상과학 소설의 추종자들은 "그들의 활동과 [4]존재에 대한 유일한 진정한 정당성으로서 과학 세계 국가의 실현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믿었다.울하임이 퓨처리아인을 결성했고, 많은 회원들이 어느 정도 공상과학 소설의 정치적 응용에 관심이 있었다.울하임, 미셸, 룬즈, 코헨을 포함한 퓨처리파 회원들은 잠시 하워드 스콧이 이끄는 유토피아 운동인 테크노크라시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후에 그들은 스콧을 "괴짜"[5]라고 치부했지만 학습 과정에 참석했다.

따라서 이 그룹에는 유디트 메릴과 같은 트로츠키즘 지지자들이 포함되었고, 그들은 그 시대에 훨씬 남겨진 으로 생각되었다.

폴은 자서전 '미래의 길'에서 울하임이 1936년 공화당 대통령 후보 알프레드 랜던에게 투표했다고 말했다.

멤버 포함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Kyle, David (December 1997). "SaM – Fan Forever". Mimosa (21): 7–10. Retrieved 24 Apr 2007.
  2. ^ [데드링크]Fancelopedia, 퓨처리안
  3. ^ "efanzines.com, FUTURIAN WAR DIGEST".
  4. ^ Carr, Terry (1979). Classic Science Fiction: The First Golden Age. Robson Books. ISBN 0-86051-070-0. 페이지 430
  5. ^ Knight, Damon (1977). The Futurians. John Day. 페이지 47-8

추가 정보

  • Isaac Asimov(1979)의 In Memory Yet Green
  • 데이먼 나이트의 미래인 (1977년)
  • The Way The Future는 Frederik Pohl(1978)의 작품
  • All Our Yesterdays by Harry Warner, Jr. (196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