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라스키 매복

Galashki ambush
갈라스키 매복
제2차 체첸 전쟁의 일부
날짜.2000년 5월 11일
위치
결과체첸의 승리
교전국
러시아 이치케리아 체첸 공화국
지휘관 및 리더
비탈리 플라호트니 »[1] 루슬란 쿠흐바로프[2]
공식[3] 22 10
사상자 및 손실
공식:[3]
18명 사망
부상자 3명
1개 없음
사상자 없음

2000년 [4][5]5월 11일 갈라쉬키 출신 루슬란 쿠치바로프가 이끄는 샤밀 바사예프 분리주의 무장세력이 잉구시티아 공화국의 러시아 내무부 준군사부대를 공격해 파괴한 사건이다.이 사건은 잉구셰티아에서 벌어진 제2차 체첸 전쟁과 관련된 첫 번째 대규모 폭력 행위이자 1999년 전쟁이 시작된 이후 인근 체첸 외곽에서 발생한 첫 번째 대규모 반군 공격이었다.

러시아 소식통에 따르면 호송차에는 알타이크라이에서 온 22명의 내부군 병사가 타고 있었으며, 두 대의 군용 트럭타고 북오세티야 공화국수도인 블라디카브카즈로 돌아왔다.알라니아, 잉구셰티아에서의 임무 수행 완료.이날 오전 12시께 갈라스키 마을 인근 고속도로에서 도로가 내려다보이는 숲 속에 있던 반군 일당이 갑자기 수류탄 발사기와 기관총(일부 소식통에서는 박격포와 저격포도 언급)으로 총격을 가해 1호 트럭을 무력화시킨 뒤 곧바로 호송차 전체를 파괴했다.그들의 공격에 이어, 반군들은 추적을 피해 [2][3][6][7][8][9]체첸의 바무트 마을 근처 숲으로 사라졌다.

체첸 분리주의 웹사이트 카브카즈 센터에 따르면, 3대의 대형 트럭과 2대의 BTR 장갑차가 파괴되었고, "40대 이상의" 러시아 병사들은 체첸 남서부 전선에서 온 불특정 부대원들과 백인 [10]지원자들에 의해 사살되었다.

레퍼런스

  1. ^ Список военнослужащих, погибших в Дагестане и Чечне начиная с августа 1999 года (러시아어)
  2. ^ a b 2004년 9월 10일 코메르산트 웨이백머신에서 2011-07-22 사망자 발견되지 않은 두목 테러리스트 '대령'
  3. ^ a b c 2000년 5월 12일 뉴욕타임스 체첸 외곽에서 반군이 호송차량을 파괴하다
  4. ^ "Нападение на колонну в Ингушетии: уже 19 погибших" (in Russian). Lenta.ru. 11 May 200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01-05. Retrieved 2019-01-05.
  5. ^ "КТО ВИНОВАТ?" (in Russian). Утро.ру. 12 May 200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1-01-13. Retrieved 2019-01-05.
  6. ^ 2000년 5월 11일 반군에 의해 공격당한 러시아 호송차, BBC 뉴스
  7. ^ 군대를 죽이기 위해 국경을 넘는 체첸, 2000년 5월 12일 가디언
  8. ^ 잉구셰티아 매복에서 18명의 군인 사망, 모스크바 타임스 2000년 5월 12일
  9. ^ 2000년 5월 12일 이웃 공화국 시카고 트리뷴에서 체첸 반군의 매복 공격으로 러시아군 18명 사망
  10. ^ 2000년 5월 11일 카브카즈 센터 웨이백 머신의 갈라스키 아카이브 2012-03-15 부근에서 러시아군 부대가 공격(거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