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리나 삼소바
Galina Samsova갈리나 삼소바 | |
---|---|
![]() 코르사르의 갈리나 삼소바와 데이비드 애덤스 | |
태어난 | 갈리나 마르티노브나 삼트소바 14 1937년 3월 스탈린그라드, 소비에트 연방(현재의 러시아 볼고그라드) |
죽은 | 2021년 12월 11일 영국 런던 | (84세)
직업 | 발레댄서 |
배우자 | 알렉산드르 우르술리아크 (m.1960, 이혼) (m. 1972; div. 1981) |
갈리나 삼소바(Galina Martnovnna Samtsova, 1937년 3월 14일 ~ 2021년 12월 11일)는 러시아의 발레 무용수 겸 회사 감독이었다.
조기생명과 훈련
삼소바는 1937년 3월 14일 러시아 남서부의 스탈린그라드(현 볼고그라드)에서 갈리나 마티노브나 삼트소바(이후 성의 철자를 단순화함)로 태어나 어린 나이에 발레 훈련을 시작했다.[1]그녀는 키예프 오페라 발레 학교에서 나탈리아 베레쿤도바와 함께 공부했고 1956년에 키예프 오페라 발레단에 입학했고, 그곳에서 그녀는 결국 독주자가 되었다.1960년 그녀는 캐나다계 영국인 무용 교사인 알렉산더 우르술리악과 결혼하여 그와 함께 캐나다로 이주했다.이듬해인 1961년, 그녀는 토론토에서 캐나다 국립발레단에 입단하여 삼트소바에서 삼소바로 처녀 이름의 철자를 단순화했다.솔로로 고용된 그녀는 곧 수석 무용수로 승진하여 발란치네, 튜더, 크랭코 등의 작품뿐 아니라 스완 레이크와 지젤에서도 주연으로 캐스팅되었다.[2]
공연 경력
1963년 삼소바는 런던을 방문하던 중 프로코피예프의 신데렐라를 아낌없이 새로 제작하는 데 쿠에바스 후작의 조카인 레이문도 데 라라인에게 주연을 추천받아 바슬라프 오를리코프스키가 안무를 맡고 파리의 국제무용축제에 출품되었다.한 달 동안 거의 매일 춤을 추던 이 역에서 서유럽에 데뷔한 삼소바는 여자 무용수의 공연으로 축제의 금메달을 땄다(루돌프 누레예프는 남자 무용수로는 금메달을 땄다).[3]신데렐라에 대한 그녀의 서정적인 해석은 마르세유 오페라 발레단, 런던 페스티벌 발레단을 포함한 많은 회사에서 초청 공연을 하는 결과를 낳았다.
삼소바는 1964년 런던 페스티벌 발레단에 객원 예술가로 입단했으나 곧 회사의 상임이사국이 되어 1973년까지 거의 10년 동안 발레리나의 주역으로 활동했다.그곳에서 그녀는 데이비드 아담스와 파트너십을 맺어 봄 워터스와 르 코르사르의 메도라 알리 파스 듀스 같은 거장 쇼케이스, 백조의 호수나 잠자는 숲속의 미녀와 같은 이브닝 장르의 고전들과 다른 많은 작품들을 공연했다.이 둘은 마드리드 일 페스티벌 드 라 오페라에서 지젤의 연기로 금메달을 땄다.1966년 삼소바는 프랑스 안무가 프랑수아즈 아드레가 PACT/TRUK 발레단에서 공연한 신데렐라의 또 다른 작품에서 게스트 스타로 춤을 추기 위해 남아프리카 요하네스버그로 갔다.[4]이 작품에서 매력 있는 왕자 역할은 삼소바가 마르세유에서 만났고 곧 그녀의 인생에서 큰 역할을 하게 될 프랑코-러시아 무용수 안드레 프로코프스키가 맡았다.무대 위의 그녀의 파트너뿐만 아니라, 그녀의 첫 결혼이 실패한 후, 그는 그녀의 두 번째 남편이 될 것이다.
런던 페스티벌 발레단과의 만년 동안, 삼소바는 프로코프스키와 찬사를 받은 파트너십을 맺었다.이들은 회사 레퍼토리 내 수많은 작품에서 함께 춤을 추며 잭 카터의 <Unknown Island>(1969), 피터 다렐의 <오셀로>와 <라 페리>(1971), 로널드 하인드의 <Dvořák Variation>(1970), 모차르티아나(1973)에서 주연을 맡았다.삼소바와 프로코프스키는 1972년에 결혼하여 1973년 런던 페스티벌 발레단을 떠나 자신들의 극단에서 지휘와 공연을 하였다.이것은 곧 뉴런던 발레단으로 성장했다. 뉴런던 발레단은 14명의 무용수들로 구성된 클래식 음악으로, 주로 새로 창작된 작품들로 구성된 레퍼토리를 가지고 영국과 해외에서 광범위하게 순회했다.1977년 회사가 해체된 후, 런던의 음악가 조합의 끊임없는 요구로 [5]삼소바는 프로코프스키를 따라 이탈리아로 갔고, 그곳에서 2년 동안 로마 오페라 발레단의 감독을 받아들였다.[6]삼소바는 그 회사와 춤을 추는 것 외에도 프랑스, 독일, 홍콩, 캐나다, 미국, 남아프리카, 영국의 회사들과 함께 게스트로 출연했다.
1978년 그녀는 새들러 웰스 로얄 발레단(현재의 버밍엄 로얄 발레단)과 함께 게스트로 춤을 추다가 2년 뒤인 1980년 교장과 교사로 입사했다.[7]이 극단에서 10년 동안 그녀는 파키타 2막(1980년)의 그랜드 파스를 무대에 올렸고, 백조의 호수(1981년)의 제작자인 피터 라이트와 함께 무대에 올랐다.[8]
만년
삼소바는 무대에서 은퇴한 뒤 1991년 글래스고에서 스코틀랜드 발레단의 예술감독이 되어 1987년 사망한 창단자 피터 다렐의 뒤를 이었다.[9]삼소바는 레퍼토리의 고전에 대한 강조를 증가시켜, 그녀 자신의 레퍼토리의 3막(1990년)을 탑재하였고, 발란치네, 로버트 코한, 마크 볼드윈 등의 신고전주의 작품들을 그 중에서도 소개했다.그녀는 1997년에 사직했다.[10]이후 1981년 프로코프스키와 이혼한 삼소바는 런던에 다시 한 번 고향을 만들었고, 그곳에서 떠오르는 젊은 무용수들의 멘토가 되어왔다.그녀는 또한 파리, 모스크바, 키예프, 상하이, 미시시피 주 잭슨에서 열린 국제 발레 대회에서 심사위원으로 경력을 이어왔다.[11]
그녀는 84세의 나이로 2021년 12월 11일 런던에서 사망했다.[12]
참고 항목
참조
- ^ "Galina Samsova, magnetic, soaring star of London Festival Ballet and Sadler's Wells Royal Ballet – obituary". The Telegraph. 22 December 2021. Retrieved 22 December 2021.
- ^ 국제 발레 사전의 제인 프리처드 "삼소바, 갈리나" (Detrote: St. James Press, 1993), 제 2, 페이지 1239–42에 의해 편집되었다.1961년부터 1990년까지 수행된 관련 전기적 정보와 광범위한 역할 연대를 포함한다.
- ^ 레네 르누프, "갈리나 삼소바: 댄서, 감독, 잭슨 콩쿠르 잉글리쉬 쥬러," 인터뷰, 발레 매거진 (2002년 7월)
- ^ Claude Conyers, "I Will Remember Her Running," 발레 리뷰 (뉴욕), 1권, 5권(1966), 13-23페이지.이번 제작에서 삼소바의 활약상을 상세히 기술했다.
- ^ 레노우프, "갈리나 삼소바"(2002년), 페이지 2.
- ^ Emma Manning, 국제 발레 사전(1993)의 "Prokovsky, André" 2권 1153–56.
- ^ 알라스테어 맥컬레이 "뮤즈의 퀘스트에서:새들러의 웰스 로열 발레," 댄싱 타임즈 (런던), 제71권 (1981년 11월)
- ^ 바바라 뉴먼과 레슬리 스파트, 새들러 웰스 로열 발레단: 스완 레이크 (런던, 1983년)
- ^ Alasdair Steven (28 December 2021). "Obituary: Galina Samsova, renowned ballerina who became a key figure in history of Scottish Ballet". Herald Scotland. Retrieved 30 December 2021.
- ^ 데브라 크레인과 주디스 맥크렐(Oxford University Press, 2000년)이 편찬한 옥스퍼드 무용 사전의 "스코티시 발레단"이다.
- ^ 레노우프, "갈리나 삼소바"(2002), 페이지 3.
- ^ Macaulay, Alastair (12 December 2021). "Galina Samsova (1937–2021) R.I.P." Alastair Macaulay. Retrieved 13 December 2021.
외부 링크
- 버밍엄 로열 발레단 갈리나 삼소바의 프로필
- 안드레 프로코프스키 - 데일리 텔레그래프 부고
- [1] - 미시시피주 잭슨에서의 르네 르누프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