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마 다양성
Gamma diversity생태학에서 감마 다양성(감마 다양성)은 한 풍경 속의 총 종 다양성이다. 이 용어는 알파 다양성(α-다양성)과 베타 다양성(β-다양성)이라는 용어와 함께 R. H. 휘태커가[1] 도입했다. 휘태커의 아이디어는 한 경관의 총 종 다양성(γ)은 두 가지 다른 것, 즉 더 국부적인 규모의 유적지나 서식지의 평균 종 다양성(α)과 그 서식지 사이의 차별화(β)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었다. 이 추론에 따르면 알파 다양성과 베타 다양성은 감마 다양성의 독립적 구성요소를 구성한다.
척도 고려사항
관심 영역이나 풍경은 상황에 따라 크기가 매우 다를 수 있으며 감마 다양성을 정량화하기 위해 어떤 공간적 척도가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2] 따라서 감마 다양성의 정의는 특정 공간적 척도와 연계될 필요가 없지만, 감마 다양성은 어떤 관심의 척도에서든 기존 데이터 집합에 대해 측정할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3] 실제 관찰 이상으로 결과를 추정할 경우, 데이터 집합의 종 다양성은 일반적으로 더 큰 영역의 종 다양성을 과소평가한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관심 영역과 관련하여 이용 가능한 표본이 작을수록 해당 영역에 실제로 존재하는 종은 표본에서 발견되지 않는다.[4][5] 과소평가 정도는 종별 면적 곡선에서 추정할 수 있다.
서로 다른 개념
연구자들은 다양성을 정의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해 왔으며, 이는 실제로 감마 다양성에 대한 다른 정의로도 이어졌다. 종종 연구자들은 종 부호, 섀넌 지수 또는 심슨 지수 같은 하나 이상의 다양성 지수에 의해 주어진 값을 사용한다.[1][6][7] 그러나 종 다양성의 보편적 척도로 유효종수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이번 대책은 다양성 지표가 집단적으로 그렇듯 희귀종과 풍부한 종에 대한 가중치 부여는 다양한 방식으로 허용되지만 그 의미는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다. 유효 종수는 관심 데이터 집합에서 관찰된 것과 동일한 평균 비례 종 풍요를 얻기 위해 필요한 동등하게 풍부한 종의 수입니다(모든 종은 동등하게 풍부하지 않을 수 있음).[3][8][9][10][11][12]
계산
종 다양성이 데이터 집합의 유효 종 수와 동일하다고 가정합시다. 그런 다음 감마 다양성은 먼저 데이터 집합에서 종 비례 함수의 가중 평균을 취한 다음 이 평균의 반을 취함으로써 계산할 수 있다.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분모는 q - 1 지수를 갖는 가중 일반화 평균으로 계산한 데이터 집합의 평균 비례 종 풍부함과 같다. 방정식에서 S는 데이터 집합의 총 종 수(종 풍부성)이며 ih 종의 비례적 풍부성은 이다
q의 값이 크면 q의 작은 값보다 감마 다양성이 작아지는데, 그 이유는 q의 증가가 가장 높은 비례적 풍요를 가진 종에 주어지는 가중치를 증가시키고, 따라서 이 비례적 풍요를 얻기 위해서는 동등하게 풍부한 종들이 더 적게 필요하기 때문이다.[3][11]
참고 항목
참조
- ^ Jump up to: a b 휘태커, R. H. (1960) 시스키유 산맥, 오리건, 캘리포니아의 식물. 생태 모노그래프, 30, 279–338.
- ^ 휘태커, R. J. 외 (2001). 규모와 종의 풍부함: 종 다양성에 대한 일반적이고 계층적인 이론을 지향한다. 생물지리학 저널 28: 453-470. doi:10.1046/j.1365-269.100563.x
- ^ Jump up to: a b c 투오미스토, H. (2010) 베타 다양성의 다양성: 잘못된 개념을 바로 잡는 것. 1부. 베타 다양성을 알파 및 감마 다양성의 함수로 정의. Ecography 33: 2-22. doi:10.111/j.1600-0587.2009.05880.x
- ^ 콜웰, R. K.와 코딩턴, J. A.(1994) 외삽을 통한 지상 생물 다양성 추정. 철학적 거래: 생물학, 345, 101-118.
- ^ 투오미스토, H. (2010) 베타 다양성의 다양성: 잘못된 개념을 바로 잡는 것. 2부 베타 다양성 및 관련 현상 수량화 Ecography, 33, 23-45. doi:10.111/j.1600-0587.2009.06148.x
- ^ Lande, R. (1996) 종 다양성의 통계와 분할, 다중 공동체 간의 유사성. 오이코스 76, 5-13
- ^ 비치, J. A. 외 (2002) 종 다양성의 부가적인 분할: 최근 낡은 사상의 부활. 99, 3-9
- ^ 힐, M. O. (1973) 다양성과 균등성: 통일된 표기법과 그 결과. 생태학, 54, 427–432
- ^ Jost, L. (2006) 엔트로피와 다양성. 오이코스, 113, 363–375
- ^ Jost, L. (2007) 다양성을 독립 알파 및 베타 구성요소로 분할. 생태학, 88, 2427–2439.
- ^ Jump up to: a b 투오미스토, H. 2010. 종 다양성을 수량화하기 위한 일관된 용어? 그래, 정말 존재해. Oecologia 4: 853–860. doi:10.1007/s00442-010-1812-0
- ^ 투오미스토, H. (2011) 해설: 우리는 종 다양성에 대한 일관된 용어를 가지고 있는가? 네, 만약 우리가 그것을 사용하기로 한다면. 외톨로지아, 167, 90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