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오펜

Gaofen
가오펀 웨이싱
高分
ē의 가오
프로그램개요
나라중국
상황활동적인
프로그램이력
퍼스트 플라이트2013년4월26일
마지막 비행기2023년8월20일
성공을32
실패작1
런칭 사이트
차량정보
발사 차량

가오펜(중국어: 高分; 피닌어: ē어: 가오프어; 불음).'고해상도')는 중국의 고해상도 지구관측시스템(CHEOS)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발사된 일련의 중국 고해상도 지구영상위성입니다.[1][2]CHEOS는 농업, 재해, 자원, 환경 감시를 위해 사용되는 국가 지원의 민간 지구 관측 프로그램입니다.2006년에 제안되어 2010년에 승인된 CHEOS 프로그램은 Gaofen 시리즈의 우주 기반 위성, 비행선UAV와 같은 근거리 및 공중 시스템, 데이터 수신, 처리, 교정 및 작업을 수행하는 지상 시스템,관측 데이터를 다른 소스와 융합하여 사용 가능한 정보와 지식을 생성하는 응용 프로그램 시스템.[2][3]

처음 7개의 가오펜 위성과 탑재체는 매우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가오펜 8 이후의 위성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거의 또는 전혀 공개되지 않았으며, 이는 가오펜 위성이 민간 및 군사 임무를 지원하는 이중 목적일 수 있다는 암시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2][4][5][6][7]

2003년 중국 국가우주국(CNSA)은 로스코스모스와 유사한 능력을 가진 러시아의 지구 관측 위성의 데이터에 대한 가오펜 데이터를 공유하기로 합의했습니다.이 협약은 2021년 8월 브릭스 우주국 지도자들이 우주 기반 원격 감지 데이터를 공유하기로 합의하면서 확대되었습니다.[8]

주목할 만한 위성

가오펜-5

가오펜-5호는 "CHEOS 프로그램에서 환경과 대기 관측 위성의 주력"으로 칭송받고 있습니다.2018년 5월 8일 타이위안 위성 발사 센터(TSLC)에서 태양 동기 궤도로 발사된 가오펜-5는 첨단 초분광 이미지 센서(AHSI), 대기 적외선 초음파 센서(AIUS), 지향성 편광 카메라(DPC), 환경 모니터링 기기(EMI), 온실가스 모니터링 기기(GMI) 등 6개의 탑재체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및 시각적외선 다중 스펙트럼 센서(VIMS).[2][9]

Gaofen-5에 탑재된 AHSI(Advanced Hyperspectral Image) 센서 페이로드는 볼록 격자 분광 광도법과 3개의 동심 거울(Offner) 구성을 모두 사용하는 최초의 우주 기반 초분광 이미징 센서라고 주장합니다.[10]AHSI는 분광 광도법을 사용하여 이미지화된 물체에 의해 반사, 전송 또는 방출된 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지상의 물체를 감지하거나 식별합니다.[10]민간 응용 프로그램에서 AHSI는 분석가들이 환경 모니터링자원 발견을 수행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반면, 군사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분석가들이 상대의 장비를 탐지 및 식별하거나 비다중 스펙트럼 위장을 탐지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10][11][12]AHSI는 가시광선, 근적외선(NIR), 단파적외선(SWIR) 파장대에서 30미터 공간 해상도와 5나노미터 스펙트럼 해상도를 갖습니다.[12]

가오펀-5호에 탑재된 대기 적외선 초분광 센서(AIUS) 탑재체는 센서와 태양 사이의 이미지화된 대기 입자의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중국 최초의 초분광잠식 분광기입니다.[13][14]AIUS는 과학자들이 HO
2
(수증기), 온도, 압력 그리고 클로로플루오르카본 (CFCs), 오산화디니트로젠, 질산염소와 같은 다양한 탄소 및 할로겐 함유 가스 오염 물질을 추적하여 대기 순환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합니다.[14][15]
마이컬슨 간섭계로, AIUS는 0.3 센티미터 해상도와 ±10° 시야에서 2.4에서 13.3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파장(거의 중파 적외선)을 영상으로 보여줍니다.[14]

가오펜-5의 지향성 편광 카메라(DPC)는 중국 최초의 우주 기반 다각 편광 카메라입니다.[9]2016년 9월 GF-5 발사에 앞서 중국은 2016년 톈궁-2 우주 연구소에서 편광 영상 실험을 했고, 그해 12월 TanSat에 탑재된 구름 및 에어로졸 편광 이미저(CAPI)를 발사했습니다.[9][16]CAPI는 670 나노미터 채널과 1640 나노미터 채널 내의 구름을 영상화했지만 고정각 영상화에는 제한이 있었습니다.Gaofen-5에 탑재된 DPC는 3개의 편광 대역(90, 670, 865 nm; 0°, 60°, 120°)에서 대기 분광을 가능하게 합니다.그리고 5개의 무편광 대역(443, 565, 763, 765, 910nm), 모든 파장은 녹색에서 근적외선(NIR)까지입니다.스텝 모터가 512 × 512 픽셀 충전 결합 장치(CCD) 이미저를 ±50° 회전시켜 3.3km 해상도로 1,850km의 이미지 폭을 제공합니다.[9][17]

위성

중화인민공화국은 2013년 이 프로그램이 시작된 이후 30개의 가오펀 계열 위성을 발사했지만 아직 발사 실패는 경험하지 못했습니다.'가오펜'으로 기술된 지린-1 위성은 정부의 가오펜 계열에 속하지 않으며, 높은 해상도를 가진 것으로 기술됩니다(중국어: 高分; 핀인: ē의 가오).

지정 출시일자
(UTC)
페이로드 궤도 안와부정맥 성향 SCN COSPARID 발사차량 발사장 상황
가오펜 1 2013년4월26일 2m PAN, 8m MSI, 4x16m WFV MSI SSO 632.8 km × 662.7 km 98.1° 39150 2013-018A 대장정 2D 주취안 SLC 운용성
가오펀 2 2014년8월19일 0.8m PAN, 3.2m MSI SSO 630.5 km × 638.0 km 97.7° 40118 2014-049A 대장정 4B 타이위안 SLC 운용성
가오펜 8 2015년6월26일 EO SSO 501.7 km × 504.5 km 97.6° 40701 2015-030A 대장정 4B 타이위안 SLC 운용성
가오펀 9-01 2015년9월14일 EO SSO 624.5 km × 671.3 km 97.8° 40894 2015-047A 대장정 2D 주취안 SLC 운용성
가오펀 4 2015년12월28일 50m VIS, 400m MWIR 지오 35,782.4 km × 35,806.4 km 0.1° 41194 2015-083A 대장정 3B 시창 SLC 운용성
가오펀 3 2016년8월9일 C 밴드 SAR SSO 757.9 km × 758.8 km 98.4° 41727 2016-049A 대장정 4C 타이위안 SLC 운용성
가오펀 1-02 2018년3월31일 2m PAN, 8m MSI, 4x16m WFV MSI SSO 645.4 km × 649.0 km 97.9° 43259 2018-031A 대장정 4C 타이위안 SLC 운용성
가오펀 1-03 2018년3월31일 2m PAN, 8m MSI, 4x16m WFV MSI SSO 642.9 km × 651.9 km 97.9° 43260 2018-031B 대장정 4C 타이위안 SLC 운용성
가오펀 1-04 2018년3월31일 2m PAN, 8m MSI, 4x16m WFV MSI SSO 644.3 km × 650.5 km 97.9° 43262 2018-031D 대장정 4C 타이위안 SLC 운용성
가오펜 5 2018년5월8일 303km POL MSI, 0.3cm HSI, 30m HSI SSO 706.2 km × 707.0 km 98.3° 43461 2018-043A 대장정 4C 타이위안 SLC 운용성
가오펜 6 2018년6월2일 MSI SSO 641.0 km × 654.3 km 97.9° 43484 2018-048A 대장정 2D 주취안 SLC 운용성
가오펀 11-01 2018년7월31일 EO SSO 493.1 km × 512.5 km 97.6° 43585 2018-063A 대장정 4B 타이위안 SLC 운용성
가오펀 10R 2019년10월4일 알 수 없는 SSO 632.0 km × 634.4 km 97.9° 44622 2019-066A 대장정 4C 타이위안 SLC 운용성
가오펜 7 2019년11월3일 0.8m PAN 2배, MSI 2.5m SSO 500.7 km × 517.9 km 97.4° 44703 2019-072A 대장정 4B 타이위안 SLC 운용성
가오펀 12 2019년11월27일 SAR SSO 634.4 km × 636.5 km 97.9° 44819 2019-082A 대장정 4C 타이위안 SLC 운용성
가오펀 9-02 2020년5월31일 EO SSO 493.9 km × 511.3 km 97.4° 45625 2020-034B 대장정 2D 주취안 SLC 운용성
가오펀 9-03 2020년6월17일 EO SSO 491.5 km × 513.9 km 97.4° 45794 2020-039A 대장정 2D 주취안 SLC 운용성
가오펜 두오모 2020년7월3일 EO SSO 635.5 km × 657.6 km 97.9° 45856 2020-042A 대장정 4B 타이위안 SLC 운용성
가오펀 9-04 2020년8월6일 EO SSO 497.9 km × 506.4 km 94.4° 46025 2020-054A 대장정 2D 주취안 SLC 운용성
가오펀 9-05 2020년8월23일 EO SSO 493.5 km × 511.9 km 97.4° 46232 2020-058A 대장정 2D 주취안 SLC 운용성
가오펀 11-02 2020년9월7일 EO SSO 500.7 km × 505.2 km 97.4° 46396 2020-064A 대장정 4B 타이위안 SLC 운용성
가오펜 13 2020년10월11일 50m VIS, 400m MWIR 지오 35,782.5 km × 35,806.1 km 0.2° 46610 2020-071A 대장정 3B 시창 SLC 운용성
가오펀 14 2020년12월6일 EO SSO 492.9 km × 198.4 km 97.4° 47231 2020-092A 대장정 3B/G5 시창 SLC 운용성
가오펀 12-02 2021년3월30일 SAR SSO 634.7 km × 636.6 km 97.9° 48079 2021-026A 대장정 4C 주취안 SLC 운용성
가오펀 5-02 2021년9월7일 303km POL MSI, 0.3cm HSI, 30m HSI SSO 705.4 km × 710.2 km 98.2° 49122 2021-079A 대장정 4C 타이위안 SLC 운용성
가오펀 11-03 2021년11월20일 EO SSO 498.6 km × 504.8 km 97.4° 49492 2021-107A 대장정 4B 타이위안 SLC 운용성
가오펀 3-02 2021년11월22일 C 밴드 SAR SSO 757.5 km × 759.2 km 98.4° 49495 2021-109A 대장정 4C 주취안 SLC 운용성
가오펀 3-03 2022년4월6일 C 밴드 SAR SSO 757.8 km × 758.9 km 98.4° 52200 2022-035A 대장정 4C 주취안 SLC 운용성
가오펀 12-03 2022년6월27일 SAR SSO 633.3 km × 367.1 km 98.0° 52912 2022-069A 대장정 4C 주취안 SLC 운용성
가오펀 5-01A 2022년12월8일 HSI SSO 706.1 km × 709.0 km 98.1° 54640 2022-165A 대장정 2D 타이위안 SLC 운용성
가오펀 11-04 2022년12월27일 EO SSO 498.6 km × 504.8 km 97.4° 54818 2022-176A 대장정 4B 타이위안 SLC 운용성
가오펀 13-02 2023년3월17일 알 수 없는 GTO 35,788.4 km × 35, 802.1 km 3.0° 55912 2023-036A 대장정 3B/E 시창 SLC 운용성
가오펀 12-04 2023년8월20일 SAR SSO 626 km × 630 km 97.9° 57654 2023-132A 대장정 4C 주취안 SLC 운용성
CelesTrack, N2YO, NASA 및 미국 우주군의 이전 인용 자료에서 얻은 표 데이터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China launches another Gaofen Earth observation satellite". Spaceflight Now. 8 September 2020. Retrieved 9 September 2020.
  2. ^ a b c d Chen, Liangfu; Letu, Husi; Fan, Meng; Shang, Huazhe; Tao, Jinhua; Wu, Laixiong; Zhang, Ying; Yu, Chao; Gu, Jianbin; Zhang, Ning; Hong, Jin (8 April 2022). "An Introduction to the Chinese High-Resolution Earth Observation System: Gaofen-1~7 Civilian Satellites". Journal of Remote Sensing. 2022: 1–14. Bibcode:2022JRemS202269536C. doi:10.34133/2022/9769536. S2CID 247446513.
  3. ^ China High-resolution Earth Observation System (CHEOS) and its Latest Development (PDF). Earth Observation System and Data Center, CNSA. February 2014.
  4. ^ Smid, Henk H.F. (26 September 2022). An analysis of Chinese remote sensing satellites (Report). Space Review.
  5. ^ Qi, Lu (27 December 2021). "呂琪:夜空中最亮的星—盤點中國系列衛星" [[Military Blog Review] Lv Qi: The Brightest Star in the Night Sky - Inventory of Chinese Satellites]. Lite News Hong Kong (in Chinese).
  6. ^ Zhen, Liu (12 October 2020). "China is sending more of its Gaofen satellites into space. Here's why". South China Morning Post.
  7. ^ Jones, Andrew (22 November 2021). "China launches new Gaofen-11 high resolution spy satellite to match U.S. capabilities". SpaceNews.
  8. ^ Iderawumi, Mustapha (19 August 2021). "BRICS Space Agencies Leaders Signed Agreement to Share Remote Sensing Satellite Data". Space in Africa. Retrieved 19 May 2022.
  9. ^ a b c d Zhengqiang, Li; Hou, Weizhen; Hong, Jin; Zheng, Fengxun; Luo, Donggen; Wang, Jun; Gu, Xingfa; Qiao, Yanli (12 April 2018). "Directional Polarimetric Camera (DPC): Monitoring aerosol spectral optical properties over land from satellite observation" (PDF). Journal of Quantitative Spectroscopy & Radiative Transfer. University of Iowa, Chinese Academy of Sciences (published 7 July 2018). 218 (218): 22–23. Bibcode:2018JQSRT.218...21L. doi:10.1016/j.jqsrt.2018.07.003. S2CID 126349523 – via Elsevier Science Direct.
  10. ^ a b c Liu, Yin-Nian; Sun, De-Xin; Hu, Xiao-Ning; Liu, Shu-Feng; Cao, Kai-Qin (1 June 2020). "AHSI: the Hyperspectral Imager on China's GaoFen-5 Satellite".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509 (1): 012033. Bibcode:2020E&ES..509a2033L. doi:10.1088/1755-1315/509/1/012033. S2CID 225552086.
  11. ^ Hsu, Su May; Kerekes, J.P.; Berke, Hsiao-Hua; Crooks, S. (April 1999). "SAR and HSI data fusion for counter CC&D". Proceedings of the 1999 IEEE Radar Conference. Radar into the Next Millennium (Cat. No.99CH36249). pp. 218–220. doi:10.1109/NRC.1999.767320. ISBN 0-7803-4977-6. S2CID 15912558.
  12. ^ a b Ge, Xiangyu; Ding, Jianli; Teng, Dexiong; Xie, Boqiang; Zhang, Xianlong; Wang, Jinjie; Han, Lijing; Bao, Qingling; Wang, Jingzhe (1 August 2022). "Exploring the capability of Gaofen-5 hyperspectral data for assessing soil salinity risks".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112: 102969. doi:10.1016/j.jag.2022.102969. ISSN 1569-8432. S2CID 251557178.
  13. ^ Li, Xiaoying; Xu, Jian; Cheng, Tianhai; Shi, Hailiang; Zhang, Xingying; Ge, Shule; Wang, Hongmei; Zhu, Songyan; Miao, Jing; Luo, Qi (January 2019). "Monitoring Trace Gases over the Antarctic Using Atmospheric Infrared Ultraspectral Sounder Onboard GaoFen-5: Algorithm Description and First Retrieval Results of O3, H2O, and HCl". Remote Sensing. 11 (17): 1991. Bibcode:2019RemS...11.1991L. doi:10.3390/rs11171991. ISSN 2072-4292.
  14. ^ a b c Chen, Liangfu (13 October 2016). Mission Overview GaoFen-5 (PDF). 12th Meeting of the CEOS Atmospheric Composition Virtual Constellation (PowerPoint presentation). Seoul, Korea.
  15. ^ Chen, L.; Tao, M.; Wang, Z. (1 December 2018). "The GaoFen-5 satellite for air pollution monitoring in China: first results and general performance". AGU Fall Meeting Abstracts. 2018: A51A–04. Bibcode:2018AGUFM.A51A..04C.
  16. ^ "TanSat". eoPortal.
  17. ^ Qie, Lili; Li, Zhengqiang; Zhu, Sifeng; Xu, Hua; Xie, Yisong; Qiao, Rui; Hong, Jun; Tu, Bihai (13 August 2021). "In-flight radiometric and polarimetric calibration of the Directional Polarimetric Camera onboard the GaoFen-5 satellite over the ocean". Applied Optics. 60 (24): 7186–7199. Bibcode:2021ApOpt..60.7186Q. doi:10.1364/AO.422980. PMID 34613006. S2CID 237688592.
  18. ^ Jones, Andrew (9 December 2022). "China launches hyperspectral Earth-imaging satellite to orbit (video)". Spac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