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부족)
Gashi (tribe)시리즈의 일부(on) |
알바니아 부족 |
---|
![]() |

가시(Gashi)는 알바니아의 성씨이며 알바니아 북부의 주요 역사 부족 중 하나의 이름입니다.그곳은 역사적인 부족 지역으로, 자코바의 고지대에 위치해 있습니다.[1][2]가시 부족은 카눈의 변종인 카눈니 말 ë시스 ë ë 마드 ë를 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그들은 그들의 지혜로 산 부족들 사이에 알려져 있었습니다.[4]
지리학
가시는 알바니아 북부, 코소보, 마케도니아에 가장 널리 퍼져있는 알바니아 부족 중 하나입니다.그들의 부족 영토는 각각 알바니아의 트로포야 구와 코소보의 Gjakova 구에 해당합니다; 그것은 바즈람 커리 마을의 동쪽에서 코소보의 보투시 ë와 코샤레와 같은 마을까지 뻗어 있습니다.그들의 부족 지역은 서쪽으로 크라스니키 강, 남쪽으로 루자 고개 (카파에 루즈 ë), 남동쪽으로 모리나 강 (부족)과 접해 있는 루자이 강과 부시트리카 강의 계곡을 기반으로 합니다.가시 부족은 부타즈 동쪽 산 북쪽의 여름 목초지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5]
오리진스
가시는 역사적인 지역인 가지코바 고원을 중심으로 합니다.알바니아 트로포이 ë 구와 코소보 그자코바 시에 걸쳐 있는 말 ë시아에자코브 ë스).그들은 토플라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6]1907년 놉사 남작에 의해 기록된 전승에 따르면, 셸라쿠의 조상은 4형제 중 한 명인 "칸 가베티"(Can Gabeti)[7]라고 이름 붙여졌다고 합니다. 나머지는 가시, 토플라나, 메굴라의 시조).네 형제는 그들의 소유물을 나눈 쉴라쿠 지방에 살았습니다.가시 강과 토플라나 강은 결국 동쪽으로 이동했고, 가시 강은 니카즈 강과 레시니카 강 사이의 세르마에 처음 정착했습니다.세르마에 정착한 그들의 생활은 짧았고, 그들은 가톨릭 부족의 구성원들이 두 마리의 이맘을 죽인 후인 1660년경에 현재의 위치로 이주했습니다.페하의 베골리 베이는 그의 군대를 그 부족을 에워싸고 아나스라고 불리는 원주민들이 살고 있는 새로운 지역(그야코바의 고지대)으로 이동하도록 강요했습니다.[6]'아나스'라는 명칭은 여러 알바니아 부족 역사서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한 지역의 토착민들을 지칭하는 알바니아 용어이기 때문입니다.아나스는 슬라브족을 지칭하지 않습니다.[8]몬테네그로 출신의 정통 기독교인으로 알려진 가베티는 콜 ë 펩 푸라 가문의 조상이자 1900년경 마지막 남자 후손이 사망한 최초의 원주민들을 우연히 발견했습니다.놉스카 남작은 1524년경 혹은 그보다 조금 더 이른 시기에 토플라나 부족과 쉴라쿠 부족으로부터 가시가 분리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아마도 알바니아에서 오스만 제국의 첫 번째 전쟁의 결과일 것입니다.[10]그러나 토플라나와 숄라쿠와의 연관성은 유전적 결과로 뒷받침되지 않는데, 이것은 토플라나와 숄라쿠가 서로 관련이 있지만 가시와 혈연관계가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11]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시족은 트로포자 지역, 즉 크라스니크자 이전의 첫 번째 부족이었던 것으로 생각됩니다.15세기 후반 셀리마즈(게그 ë히센) 정착지에 살았던 프제트 ë르 스패니안의 아들인 레카(Leka)라는 가시족의 또 다른 조상에 대한 역사적 언급이 있습니다.그러나 분명한 것은 가시족은 전통적으로 3개의 주요 형제 집단 또는 더 작은 부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는 것입니다.
- 루자족, 주로 보투시 ë와 루자족의 거주자들은 16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풀트의 원래 가시 출신입니다.
- 늦어도 17세기 초에는 까코바 고원에 정착한 바르디족/바르디족.
- 17세기 초부터 짜코바 고원에 정착한 십샤니족.
지역 전설에 따르면, 보투시 ë의 가시의 아가가 더 많은 주변 부족들에 대한 보호 조치로 루자와 바르디와 십산의 바즈락을 통합하면서 가시 부족은 현재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고 합니다.
역사
1485년 오스만 제국의 페트리슈판일리의 나히혜에 위치한 바자리 레포비차 정착지에서 가시의 수호자로서의 모습이 증명되고 있습니다.정착지에는 30가구가 살고 있었는데, 그 중에는 다음이 있습니다.므리야는 가시의 아들이고, 니콜라는 가시의 아들입니다.[13]로버트 엘시(Robert Elsie)에 따르면, 역사 문서에서 이 부족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634년 프란치스코회 사제 보나벤투라 디 팔라졸로(Bonaventura di Palazolo)의 교회 보고서에서 가아시(Gaasi)로 언급되었습니다.[14]로버트 엘시(Robert Elsie)는 가시족이 트로포이 ë 지역에 살았던 최초의 북부 알바니아 부족이라고 강조했습니다.
1638년 프랑 바르디(Frang Bardhi)에서 풀트(Pult) 마을을 방문했을 때 가시 부족과 그들의 기원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바르디는 97채의 집과 866명의 기독교인 거주자가 있는 가시 마을을 기록했습니다.그는 모든 가정이 가시족에 속했고, 95명이 가시족의 성을 가지고 있었다고 진술했습니다.이 시점에서 가시족은 자신들의 조상을 4대까지 추적할 수 있었습니다.[15]
가시 부족은 가시가 풀트 교구의 중심지였던 17세기 내내 지속적으로 기록되었습니다.보고에 따르면 Gashi와 Krasniqja 부족은 Pjet ë르 보그다니가 두 부족 사이의 24개의 피의 불화를 겨우 화해시켰던 1680년까지 서로 빈번하게 갈등을 겪었다고 합니다.1689년, 가시 부족의 지도자들은 바티칸에 편지를 써서 사무적이고 물질적인 지원을 더 많이 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이 편지는 알바니아어로 가장 오래된 문서 중 하나입니다.[17]

1683-1699년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동안, 가시와 그 지역의 다른 가톨릭 부족들은 오스트리아인들을 지원했고, 따라서 오스트리아인들이 패배한 후 오스만 제국에 의해 처벌을 받았습니다.[18]1690년부터 1693년까지, 가쉬 마을은 페하의 파샤에 의해 불타버렸고, 그 마을의 인구는 코소보의 라프 지역으로 추방되었습니다.[19]그럼에도 불구하고, 1693년에서 1697년에 루스 ë와 보투시 ë의 가쉬 마을이 문서에 나타나듯이, 몇몇 가족들은 원래의 영토로 돌아가거나 박해를 면했습니다.1716년, 가시 부족은 켈멘디, 풀트, 샬라, 미르디타 부족 지역과 함께 두카긴의 타히르 파샤가 수행한 징벌적 작전의 표적이 되었습니다.
1845년 5월, 레 ş드 파샤가 무기를 가질 권리를 불법화하자, 가시 부족은 크라스니키와 비티치의 가지코바 고지 부족뿐만 아니라 가지코바 지역의 2,000명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습니다.반군은 약 8,000명에 달하며, 오스만 수비대를 자코바에서 몰아냈습니다.[21]오스만 제국은 반란을 진압했지만, 이 지역을 효과적으로 지배하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습니다.[22]1862년 오스만 제국은 막샤르 파샤에게 12개 사단을 파견하여 짜코바 고지에서 탄지마트 개혁을 시행했습니다.미크 소콜리와 비낙 알리아의 지휘 아래, 가시, 크라스니키, 비티치, 니카즈 메르투르 부족은 부잔 근처에서 저항을 조직했습니다.반군은 마크 룰라가 이끄는 샬라군에 의해 강화되었습니다.격렬한 전투 끝에, 그들은 오스만 군대를 물리치고 고지에서 쫓아냈습니다.[23]알리 이브라와 하시 브라히미가 이끄는 가시 부족은 몬테네그로의 녹쉬크 전투에 참여하여 알바니아 프리즈렌 동맹이 수적으로 우세한 몬테네그로 군대를 물리쳤습니다.
보투시 ë의 술레이만 아가 바투샤는 가시 부족의 족장으로 20세기 초에 그들의 지도자였으며 오스만 제국에 대항한 많은 봉기에 참여했습니다.
1912년 알바니아 봉기 동안, 가시 부족은 크라스니키 부족 (바즈람 커리가 이끄는)과 하스 지역 근처의 프루쉬 고개 전투에서 하스와 비티키 부족과 합류했습니다.피비린내 나는 전투로 오스만 투르크는 큰 패배를 당했고, 이로 인해 반군은 많은 탄약, 무기, 기관총, 대포를 보유하게 되었습니다.수백 명의 사망자, 부상자, 전쟁 포로 등 터키인들에게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전쟁 포로들은 무장을 해제하고 석방되었으며, 이 봉기가 알바니아와 아나톨리아 농민들을 속이기 위해 억압으로부터 해방시키려는 시도였다고 들었습니다. 그들은 놀랐고 그들이 말한 것을 믿었으며, 마을로 돌아왔을 때 사실상 Gjakova의 전체 수비대의 사기를 떨어뜨렸습니다.이 전투는 알바니아인들의 독립운동의 사기를 향상시켰습니다.[26]
가시브라더스
가시족은 전통적으로 가지코바 고원에 있는 세 개의 형제 집단 - 루자족, 바르디족, 바르디족, 십샤니족 - 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루자족은 가시족으로서 처음 형성되었을 때 바르디족과 십샤니족과 혈연 관계가 없었습니다.
루자
전설에 따르면, 17세기의 오래된 가시 부족의 알바니아인 인구가 계속해서 살고 있는 자코바 고원에는 두 마을(루자와 보투샤)이 있다고 합니다.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대한 그들의 끊임없는 저항으로 인해, 가시 부족은 반복적으로 군사 원정을 통해 처벌을 받았고, 이것은 1690년에서 1743년 사이에 인구가 그들의 초기 정착지에서 이탈하고 이슬람으로 점진적으로 개종하게 만들었습니다.루자의 현재 거주자들은 그들의 조상을 15세대까지 기억하고 있는데, 그들 중 처음 3-4세대는 가톨릭 이름을 가지고 있고, 나머지는 이슬람교도입니다.[27]보투샤와 데샹에서도 이슬람교 이름을 가진 10-11세대 정도가 기억되는 반면, 가톨릭 이름을 가진 이전 세대들은 기억되고 있습니다.[28]루자와 보투샤는 모두 1693년에서 1694년 사이에 풀트 교구 밖의 몇몇 마을을 방문한 가톨릭 사제들에 의해 언급됩니다.1697년, 루자 자체는 12개의 가톨릭 가정의 마을로 언급되고 있으며, 가시 부족의 씨앗으로 언급되고 있습니다.[29]옛 마을인 가쉬가 점차 포기되면서 주민들의 대부분은 코소보의 여러 지역으로 이주했고, 일부는 루즈 ë와 보투시 ë 마을 내의 가코바 고원에 머물 수 있었습니다.
바르디/바르드하즈
가시 강과 트로포자 강 사이에 거주했던 바르디족/바르디족은 브라힘, 알리, 그리고 메미 바르디의 세 아들을 둔 바르디 아가라고 불리는 알바니아인의 후손으로 여겨집니다.세대별 계산에 의하면 약 400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보이는 이 세 형제는 이슬람교도였습니다.1698년의 보고서에서 바르다즈족은 이미 부족으로 언급되어 있으며 발보나 강에 있는 4개 마을 68가구에 분포되어 있습니다.그들은 많은 카톨릭 여성들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남자들은 모두 이슬람교도였습니다.[30]그들은 처음에 이름과 종교 면에서 가시 부족과는 별개의 부족이었습니다. (이 시기에 가시 부족은 여전히 가톨릭 신자였기 때문입니다.).그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전설들이 있지만, Rrok Zojzi가 수집한 전설은 주요한 이론들 중 하나입니다. 이 전설은 바르드 아가가 몬테네그로의 원래 알바니아계 부족인 쿠치 출신이며, 그 이후 슬라브족에 의해 동화되었다고 말하고, 또 다른 전설은 바르드 아가가 코소보 출신이라고 말합니다.바르드 아가는 아들들과 함께 오늘날 바르디/바르드하이트 족이 살고 있는 고스투란 지역에 정착했다고 전해집니다.[31]
십샤니
십샤니족은 트로포자 강과 모리나 고개 사이 지역에 사는 가시 부족의 한 구성 요소입니다.전설에 따르면 십샤니족은 알바니아인 칼 캄베리의 후손으로, 게그 ë, 부스 ë, 파프 ë 칼라 등 3명의 아들을 두었는데, 이들은 약 14-15세대 전에 살았습니다.삼형제의 지리적 기원은 완전히 확실하지 않지만 게가즈, 부샤이, 파파즈는 십샤니족의 정착지이며, 부족의 첫 두 세대는 가톨릭 신앙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세대의 계산으로 볼 때, 오늘날의 영토에서 십샤니족의 확산은 17세기부터 시작되었다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구전에서 또 다른 언급은 칼 캄베리가 가시의 자임을 위해 일했다는 것입니다. 이 경우에는 알리 바르디(바르디의 아들)입니다.지금은 과부가 된 칼 캄베리는 알리 바르디의 딸과 결혼했습니다.십샨은 알리 바르디의 알투닐리 지아멧의 일부였기 때문에, 그는 그 부부를 그곳에 보내어 살도록 했습니다.
분배

Gjakova의 고지대에 있는 그들의 핵을 제외하고, Gashi 부족에서 비롯된 형제들과 가족들은 코소보, 세르비아, 북마케도니아, 그리고 북부 알바니아의 전통적으로 알바니아인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발견됩니다.가시 부족은 코소보의 모든 지방에 존재합니다.어떤 가족들은 Gashi Gurit이라고 밝히고, 다른 가족들은 Gash라고 합니다.코소보의 많은 가시 가문들은 카라브레그 마을, 베시아나의 돕 ë르돌, 크리섹, 라파슈틱 ë 에페르메, 라파슈틱 ë 에 포쉬트메, 라루샤, 루보벡, 프리슈티나의 므라모르, 라디셰프 ë 등과 같은 그가코바 고원에서 온 기억과 기원을 보존하고 있습니다.코소보에서 가시의 존재에 대한 가장 오래된 자료 중에는 앞서 언급한 1697년의 보고서가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페야의 파샤에서 쫓겨난 120호의 가시 마을은 지금 코소보 지역에 있는데, 그 곳에서 8년 동안 살고 있는 라프라는 곳에 있습니다. 성직자가 없고 가톨릭 사제의 부족으로 인해 터키인(무슬림)이 되기 시작했습니다."[33]그럼에도 불구하고, 코소보의 다른 많은 가시 가문들은 Gjakova의 고지대 출신의 전통이 없습니다.몇 세기에 걸쳐 가족들이 자신들의 기원을 잊어버린 경우도 있지만, 역사적으로 카시족이 오기 전에 코소보에 거주했다가 그 후에 합류한 알바니아 가족들이 실수로 부족의 혈통을 주장하는 경우도 많습니다.그러므로 코소보에 있는 알바니아 가족의 가시 부족 계열은 알바니아 북부 출신과 반드시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며 사실상 코소보에서 기원한 지역 알바니아 가족일 수도 있습니다.[34]
타 부족과의 관계
1879년 8월 술탄의 명령에 따라 평화를 이룰 때까지 가시 부족은 샬라 부족과 갈등을 빚었습니다.[35]가시족은 둘 다 서쪽에서 왔다는 점에서 스스로를 크라스니키족과 관련이 있다고 여겼고, 놉사 남작은 가시족이 원래 토플라나족과 관련이 있다고 기록했습니다.[6]
정착지
주목할 만한 사람들
- 코소보의[36] 현 대통령 브요사 오스마니
- 게릴라 전사 쇼테 갈리카
- 저항 운동가이자 알바니아 민족 각성의 혁명 지도자인 술레이만 아가 바투샤.
- 실레이만 셀리미, KLA 사령관, 정치인
- 코소보의 영웅, 알바니아 외교관, 활동가, 장군, 자샤르 살리후
- 이브라힘 가시(Ibrahim Gashi), 코소보 알바니아 학자이자 철학자
- 슈켈젠 가시 프로축구선수
- 알바니아계 미국인 래퍼 가시
참고문헌
- ^ a b 엘시 2015, 페이지 6.
- ^ Fishta & Elsie 2005, 페이지 420.
- ^ Sellers, Mortimer; Tomaszewski, Tadeusz (23 July 2010). The Rule of Law in Comparative Perspectiv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 210. ISBN 9789048137497.
- ^ 엘시 2015, 페이지 170.
- ^ 엘시 2015, 166-167쪽
- ^ a b c 엘시 2015, 페이지 168.
- ^ 엘시 2015, 133, 145, 168쪽
- ^ "High Albania".
- ^ 엘시 2015, 페이지 133.
- ^ a b 엘시 2015, 169쪽.
- ^ "Fisi Gashi". Rrenjet.
- ^ Malaj, Ibrahim (2004). Tropoja ne breza. Tirane: Dardania.
- ^ "Cadastral register of the Shkodra sanjak 1485".
- ^ 엘시 2015, 페이지 167.
- ^ Zamputi, Injac (1963). Reports on the situation of northern and central Albania in the XVII century. Tiranë: State University, Institute of History and Linguistics.
- ^ Palnikaj, Mark (2020). Klerikë atdhetarë. Tiranë. p. 32.
{{cite book}}
: CS1 유지 관리: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 Bartl, P; Camaj, M (1967). Ein Brief in albanischer Sprache aus Gashi vom Jahre 1689. München.
{{cite book}}
: CS1 유지 관리: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 Historia e popullit shqiptar. Tiranë: Akademia e Shkencave të Shqipërisë. 2002.
- ^ Palnikaj, Mark (2020). Relacione për gjendjen e Shqipërisë në shek. XVII-XVIII. p. 69.
- ^ Palnikaj, Mark (2022). Dioqeza e Pultit në dokumentat e arkivave të Vatikatit. Relacion i Misionit Françeskan në Pult, f.193, 1693/1694. Tiranë: Arte Graphic. p. 193.
- ^ Theodor Ippen (1916), Robert Elsie (ed.), Nineteenth-Century Albanian History, translated by Robert Elsi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1-08
- ^ Hannes Grandits; Nathalie Clayer; Robert Pichler (2011), Conflicting Loyalties in the Balkans: The Great Powers, the Ottoman Empire and Nation-Building, Library of Ottoman Studies, vol. 28, Tauris Academic Studies, p. 196, ISBN 978-1848854772
- ^ Malaj, 2003, p.72
- ^ Schmitt, Oliver Jens; Frantz, Anne (2020). Politik und Gesellschaft im Vilayet Kosovo und im serbisch beherrschten Kosovo 1870–1914. Vienna: Austrian Academy of Sciences. pp. 292, 50, 233, 410, 411.
- ^ Bello, Hasan (2018). "KRYENGRITJA E VITIT 1910 SIPAS DISA RAPORTEVEKONSULLORE". KOSOVA. 43: 78.
- ^ Elsie, Robert; Destani, Bejtullah D. (2018). Kosovo, a documentary history : from the Balkan wars to World War II. London: Bloomsbury Publishing. p. 79. ISBN 9781838600037.
- ^ Malaj, Ibrahim (2004). Tropoja ne breza. Tiranë: Dardania. pp. 207–214.
- ^ Qorraj, B (2017). Fisi si lidhje sociale në zonën e Dukagjinit: Rasti i fisit Gash në të dy anët e kufirit shtetëror Kosovë-Shqipëri.
- ^ Palnikaj, Mark. Relacioni i Fra Egidio D'Armento,1967. p. 69.
- ^ Palnikaj, Mark (2022). Dioqeza e Pultit në dokumentat e arkivave të Vatikatit. Tirane. p. 193.
{{cite book}}
: CS1 유지 관리: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 Malaj, Ibrahim (2004). Tropoja ne breza. Tiranë: Dardani. pp. 265–270.
- ^ Malaj, Ibrahim (2004). Tropoja ne breza. Tiranë: Dardania.
- ^ Palnikaj, Mark (2020). Relacione për gjendjen e Shqipërisë në shek. XVII-XVIII.
- ^ "Fisi Gashi". Rrenjet.
- ^ Đorđe Mikić (1988). Društvene i ekonomske prilike kosovskih srba u XIX i početkom XX veka. Srpska akademija nauka i umetnosti. p. 40. ISBN 9788670250772. Retrieved 4 June 2013.
- ^ Vjosa Osmani (2019) https://www.youtube.com/watch?v=sp0M18nGxg4&ab_channel=PodujevaPRESS그녀의 출신지는 포두예보의 라파슈티카 마을입니다.두 라파슈티카의 마을 사람들은 모두 가족이며 가시 부족에 속해 있습니다.https://www.poreklo.rs/2020/04/11/poreklo-prezimena-selo-gornja-lapastica-podujevo/ https://www.poreklo.rs/2020/04/09/poreklo-prezimena-selo-donja-lapastica-podujevo/
원천
- Elsie, Robert (30 May 2015). The Tribes of Albania: History, Society and Culture. I.B.Tauris. ISBN 978-1-78453-401-1.
- Fishta, Gjergj; Elsie, Robert (2005). The Highland Lute. I.B.Tauris. ISBN 978-1-84511-118-2.
- Kaser, Karl (2012). Household and Family in the Balkans: Two Decades of Historical Family Research at University of Graz. LIT Verlag Münster. ISBN 978-3-643-5040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