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라틴 큐브
Gelatinous cube젤라틴 큐브 | |
---|---|
첫 등장 | 원조 던전 & 드래곤즈 "화이트 박스" 세트 (1974년) |
정보 | |
유형 | 오오제 |
정렬 | 중립 |
젤라틴 큐브는 던전 & 드래곤즈 판타지 롤플레잉 게임에서 나온 가상의 괴물이다.유기물을 흡수하고 소화할 수 있는 투명한 젤라틴성 오수( cube水)의 10피트 정육면체로 묘사된다.
창조적 기원
《오류》는 판타지 소설에서 비교적 흔한 적대자인데, 《던전앤드래곤》의 《오류》 외에도 영화 《블롭》의 괴물,[1] 《드래곤 퀘스트》의 슬라임, 《파이널 판타지》의 플란 등이 그 예다.이러한 허구의 냄새는 아메배와 같은 미세한 유기체에서 영감을 얻었을지도 모르는데, 아메배와 마찬가지로 아메배와 같은 미세한 유기체는 아메배를 집어삼켜 유기 물질을 소비할 수 있다(포도세포증).[2]
젤라틴으로 된 큐브는 외부의 소스에서 영감을 받아 역할극 환경에 적응하기보다는 게리 기택스의 독창적인 발명품인데,[1] 이 모든 것이 1974년 상자형 세트의 몬스터 & 트레져스 책에 나온 미노타우르스와 드라이아드 같은 신화적인 괴물들이 그러했다.
양쪽 면에 10피트의 완벽한 큐브로서, 그것은 초기 던전 & 드래곤 모듈에서 어디에나 존재했던 표준인 10피트(3.0m) 길이의 던전 복도에 구체적이고 완벽하게 "적용"되어 있다.[1]
출판이력
젤라틴으로 된 이 큐브는 원래 던전 & 드래곤즈 "화이트 박스" 세트 (1974년)에 처음 등장했고,[3] 첫 보조제인 그레이호크 (1975년)에 등장했다.[4]
젤라틴 큐브는 던전 & 드래곤즈 기본 세트(1977, 1981, 1983)에 등장했다.젤라틴으로 된 이 큐브는 던전 & 드래곤즈 규칙 사이클로피디아(1991)에도 등장했다.[5]
젤라틴으로 된 이 큐브는 몬스터 매뉴얼(1977년)의 초판 어드밴스트 던전 & 드래곤스에 등장했다.[6]이 생물은 드래곤 #124 (1987년 8월)에서 더욱 발달하였다.[7]플레이어 캐릭터들이 마주치는 적수로 젤라틴 큐브를 포함시킨 초판 어드밴스트 던전 & 드래곤즈 모험에는 드래곤 #81에 실린 "안드릴의 폐허"가 포함되어 있다.[8]
젤라틴 큐브는 몬스트러스 컴펜디움 1권(1989년) 2판에 등장했고,[9] 몬스트러스 매뉴얼(1993)은 "오즈/슬림/젤리" 표제로 등장했다.[10]
oosze 항목 아래에서 젤라틴 큐브는 제3판 몬스터 매뉴얼(2000년), 3.5 [11]개정 몬스터 매뉴얼(2003년),[12] 제4판 몬스터 매뉴얼(2008년),[13] 몬스터 볼트(2010년),[14] 제5판 몬스터 매뉴얼(2014년)[15]에 등장한다.
기타출판사
이 젤라틴 큐브는 16-21페이지의 파이조 출판사의 책 던전 데네티즌스 재방문(2009년)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16]
생태학
젤라틴으로 된 큐브는 큐브 모양으로 생각지도 않고 젤라틴으로 된 투명한 물질이 흘러나오는 것처럼 보인다.입방체의 투명성과 희미하게 비치는 던전(Dunge)이 결합되어 있어 의심하지 않는 존재들을 집어삼킬 수 있는 놀라움의 요소를 갖게 되고, 오직 경계심 있는 모험가만이 입방체를 알아차릴 것이다.큐브는 던전 복도를 미끄러지듯 지나가면서 몸을 틀어서 물체 주위로 흐르게 하고 좁은 통로를 뚫고 들어갈 수 있게 한 뒤 공간이 확보되면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온다.큐브는 그것의 산성 소화액이 모든 유기물을 녹이고 그것의 결과로 소화할 수 없는 물질을 분비하면서 그것의 경로에 있는 모든 것을 흡수할 것이다.데이비드 M. 에왈트는 그의 저서 "다이스 앤 맨"에서 젤라틴으로 된 큐브를 "투명 젤리의 살아있는 덩어리인 던전 스캐빈저"[17]라고 묘사하고 있는데, 문학 및 영화 몬스터의 애쉬게이트 백과사전은 이 독특한 가공의 생태계에 잘 적응한 "둔건 청소 크루"라고 불렀다.[1]
리셉션
아마존닷컴의 타일러 린은 2009년 이 젤라틴 큐브를 "오스틴 파워스의 스팀롤러 장면과 정확히 같은 만남이 없다면, 우리는 젤라틴 큐브가 바닥에 붙지 않았거나 잠든 사람을 어떻게 죽였는지 볼 수 없다"고 말했다.사실, 우리는 던전 마스터즈 가이드가 다음과 같이 읽었다고 확신한다."그냥 비켜주면 안 되겠니?"라고 묻는 첫 번째 선수가 자동으로 젤라틴 큐브를 꺾는다.[18]비록 그 선이 의도적으로는 유머러스했지만, 젤라틴 큐브가 맞춤화된 게임의 표준 10피트 코리더에서는 이 옵션을 사용할 수 없다.[1]
io9의 Rob Bricken은 젤라틴 큐브를 5번째로 기억에 남는 D&D 몬스터로 명명했다.[19]
온라인 잡지 코믹스 얼라이언스의 크리스 심스는 이 젤라틴 큐브에 대해 D&D에서 "가장 위대한 몬스터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고 밝히면서 젤라틴 큐브를 "놀라운"[20]이라고 불렀다.
문학과 영화 몬스터의 애쉬게이트 백과사전은 젤라틴으로 된 큐브를 D&D 게임의 "아이콘 몬스터" 중 하나로 불렀다.[21]
Levi R. Bryant는 젤라틴이 들어간 이 큐브를 "괴롭고도 위험한"이라고 부르며, "많은 사람들을 지하감옥으로 채운다"[22]고 말한다.
다른 매체에서
젤라틴으로 된 정육면체들이 펜들턴 워드의 텔레비전 시리즈 어드벤처 타임에 등장했다.[21]그들은 또한 NetHack과 [23]Baldur's Gate: Dark Alliance를 포함한 몇몇 비디오 게임에도 출연한다.[24][25]
젤라틴으로 된 큐브가 2020년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영화 Onward에 등장한다.이 영화의 크레딧에는 베오드와 젤라틴 큐브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 '해안의 마법사'들에게 감사를 표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26]
참조
- ^ a b c d e Weinstock, Jeffrey, ed. (2014). The Ashgate Encyclopedia of Literary and Cinematic Monsters. Ashgate Publishing. p. 193.
- ^ de Rituerto, Blanca Martínez; Sparrow, Joe (2019). Dungeons and Drawings: An Illustrated Compendium of Creatures. Kansas City, Missouri: Andrews McMeel Publishing.
{{cite book}}
: CS1 maint: 작성자 매개변수 사용(링크) - ^ Gygax, Gary, 그리고 Dave Arneson.던전 & 드래곤즈 (3권 세트) (TSR, 1974년)
- ^ Gygax, Gary, Robert Kuntz.보충제 I: 그레이호크(TSR, 1975)
- ^ 올스턴, 애런, 스티븐 E 스헨드, 존 피켄스, 도리 와트리.던전 & 드래곤즈 규정 사이클로피디아 (TSR, 1991년)
- ^ 기갑스, 게리몬스터 매뉴얼(TSR, 1977)
- ^ Ed Greenwood (August 1987). "The Ecology of the Gelatinous Cube". Dragon. No. 124. TSR. pp. 56–57. ISSN 0279-6848.
- ^ Melluish, Ian (January 1984). "The Ruins of Andril: An AD&D adventure for 4-8 characters, levels 8-11". Dragon. No. 81. TSR. pp. 41–56. ISSN 0279-6848.
- ^ 요리사, 데이비드 "Zeb" 외몬스트러스 컴펜디엄 1권(TSR, 1989년)
- ^ 스튜어트, 더그, 에드괴물 설명서(TSR, 1994)
- ^ 윌리엄스, 스킵, 조나단 트윗, 몬테 쿡.몬스터 매뉴얼(코스트의 마법사, 2000)
- ^ 요리사, 몬테, 조나단 트윗, 스킵 윌리엄스.몬스터 매뉴얼(코스트의 마법사, 2003)
- ^ 멜, 마이크, 스티븐 슈베르트, 제임스 와이어트.몬스터 매뉴얼 (해안 마법사, 2008)
- ^ 톰슨, 로드니, 보너 로건, 그리고 세넷, 매튜.몬스터 볼트 (코스트의 마법사, 2010)
- ^ 말, 마이크, 크로포드, 제레미, 퍼킨스, 크리스토퍼몬스터 매뉴얼 (코스트의 마법사, 2014)
- ^ 클린턴 부머, 제이슨 불먼, 조슈아 J. 프로스트, 니콜라스 로게, 로버트 맥크레리, 제이슨 넬슨, 리처드 펫, 숀 K 레이놀즈, 제임스 L.서터, 그리고 그렉 A. 본던전 데네티즌스 재방문 (Paizo, 2009)
- ^ Ewalt, David M. (2013). Of Dice and Men: The Story of Dungeons & Dragons and the People Who Play It. Scribner. p. 138. ISBN 978-1-4516-4052-6.
- ^ "15 Idiotic Dungeons and Dragons Monsters". Cracked.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June 2009.
- ^ Bricken, Rob (September 16, 2013). "The 10 Most Memorable Dungeons & Dragons Monsters". Io9. Retrieved January 20, 2016.
- ^ Sims, Chris (October 19, 2012). "Ask Chris #125: The Greatest Monsters in 'Dungeons & Dragons'". Comics Allian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1, 2012. Retrieved November 10, 2012.
- ^ a b Weinstock, Jeffrey, ed. (2014). The Ashgate Encyclopedia of Literary and Cinematic Monsters. Ashgate Publishing. p. 194.
- ^ Bryant, Levi R. (Oct 2012). "Substantial Powers, Active Affects: The Intentionality of Objects". Deleuze Studies. 6 (4): 529–543. doi:10.3366/dls.2012.0081. Retrieved 2020-04-21.
- ^ Yu, Derek (2016). Spelunky. Los Angeles, CA: Boss Fight Books. ISBN 9781940535111.
- ^ Stahl, Ben (February 16, 2001). "Baldur's Gate: Dark Alliance". GameSpot. CNET Network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6, 2001.
{{cite web}}
: CS1 maint : 부적합한 URL(링크) - ^ Bishop, Sam; Zdyrko, Dave (November 26, 2001). "Baldur's Gate: Dark Alliance". IGN. IGN Entertainm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11, 2002.
{{cite web}}
: CS1 maint : 부적합한 URL(링크) - ^ Zachary, Brandon (March 6, 2020). "Onward Features an Infamous Dungeons & Dragons Monster". CBR.com. Retrieved 9 March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