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 고티에
Gene Gauntier![]() |
진 고티에 | |
---|---|
![]() | |
태어난 | 제네비브 가운티에 리겟 1885년 8월 26일 미국 미주리주 웰스빌 |
죽은 | 1966년 12월 18일 멕시코 쿠에나바카 | (81)
직업 | 시나리오 작가, 여배우 |
국적 | 미국인의 |
배우자 | 잭 J. 클라크(m.1912–div.1918) |
진 가운티에(Genevieve Gauntier Liggett, 1885년 8월 26일 ~ 1966년 12월 18일)[1]는 영화 산업의 선구자 중 한 명이었던 미국의 시나리오 작가 겸 배우였다. 1906년 중반부터 1920년까지 영화 속 작가, 감독, 여배우였던 그녀는 42편의 영화의 각본을 썼다. 87편의 영화에 출연했으며, 《할머니》(1909)의 감독으로 인정받고 있다.
전기
미주리주 캔자스시티에서 제임스 웨슬리와 아다 J. 가운티에 리겟 사이에서 제네비브 가운티에 리겟으로 태어난 그녀는 세 아이의 둘째 아이였다. 그녀의 오빠는 리차드 그린 리겟이었고 여동생은 스웨덴 억만장자 악셀 웬너-그렌과 결혼한 마르그리트 가운티에 리겟이었다. 가운티어는 캔자스 시티에 있는 동안 캔자스 시티 오리토리 학교에 다녔다. 1904년 그녀는 무대 생활을 시작했다.[2] 가운티어는 뉴욕으로 진출해 '제네 가운티어'라는 예명을 쓰고 라이브 극장에서 활동을 시작했으며, 주식회사 투어가 있는 연기직 사이사이의 영화에 처음 출연했다. 그녀는 1928년 자서전 "The Trailing the Trail"에서 기억했다.
"내 자금이 바닥나고 있었고, 막연하게나마 배우들의 새로운 오프닝-영화-을 생각했지만, 다른 합법적인 직업들처럼 그들을 경멸하며 바라보았고, 그 안에서 일하면 나의 위신이 낮아질 것이라는 확신을 느꼈다."
1906년 6월, 가운티에는 문자 그대로 그녀의 첫 스크린 과제에 던져졌는데, 그녀가 무모한 묘기에 고용되었을 때, 바이오그래프의 <페이마스터>를 위해 강에 던져진 담장으로 찍혔다. 그것은 1리엘러였는데, 그곳에서 그녀는 오랜 친구인 시드니 올콧과 프랭크 마리온을 처음 만났다.[2]
그 후 가운티어는 캔자스 시티 그랜드 오페라 하우스에서 조지 아데의 더 카운티 의장의 여자 주인공으로 무대에 복귀했다.[2]
칼렘 컴퍼니
1907년, 가운티어는 칼렘 스튜디오에서 일하면서 신생 무성 영화 산업에 더 많이 관여하게 되었다. 그녀는 스튜디오에서 "칼렘 걸"로 불리는 칼렘의 스타 배우가 되었고, 또한 수많은 영화 프로젝트에서 시드니 올콧 감독과 협력하여 가장 생산적인 시나리오 작가가 되었다.[3]
영화계를 떠난 후인 1924년, 가운티어는 칼렘에서의 시간을 크리에이티브 자유의 강렬한 결실이 있는 기간으로 회고했는데, 그때 그녀의 저작 통제와 영향력이 연기를 훨씬 넘어 확장되었다.
- 주요 배역을 연기하는 것 외에 맨 반쪽짜리만 빼고는 내가 출연한 오백여 장의 그림 하나하나가 다 썼다. 나는 장소를 고르고, 감독하고, 시험을 통과하고, 시드니 올콧과 공동 감독을 하고, 자막을 자르고 편집하고, 자막을 썼고, 광고 문제의 많은 부분을 자막으로 썼고, 모든 것을 합쳐서, 일주일에 평균 1 릴을 만들었다. 그것은 그 당시 작품이었다. 그러나 창의적인 작품들이 흔적을 타오르게 했다. 우리는 항상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했고 각각의 작은 성공이나 놀라움은 우리의 열정을 채웠다. 올콧씨와 나는 우리 위에 아무도 없었다. 나는 거의 시나리오도 제출하지 않았고 해외에서도 제출하지 않았다. 칼렘은 영사실에서 첫 번째 주행을 보기 전까진 우리 사진이 뭔지 몰랐어 우리는 칼렘에 대한 순수한 사랑과 충성심 때문에 목숨을 걸고(그리고 여러 번번이 그랬을 것이다. 4년 동안 같은 친구들이 함께 있었고 우리는 오칼렘족으로 알려졌고, 나중에는 동양 투어 동안 엘칼렘족으로 알려지게 되었다.[4]
칼렘에서 가운티에가 놀라운 범위의 창조적 의사결정을 한 것은 "산업계의 새로운 질서가 그것에 대해 의무적으로 요구하는 동안 여성의 비교적 완전한 참여를 선호했던 산업 초기의 창조적 혼란"[5]을 반영한다. 1912년까지 가운티어는 칼렘에서의 새로운 조건에 환멸을 느끼게 되었고, 자신의 회사인 진 가운티어 피처 플레이어를 시작하기 위해 떠났다.[6]
저작 및 저작권
톰 소여는 가운티에가 작사, 제작 또는 판매한 300편이 넘는 시나리오 중 첫 번째 시나리오였다. 1907년, 그녀는 미국 남북전쟁에 관한 최초의 영화인 61년의 날들의 대본을 썼다. 같은 해 그녀는 각본을 쓰고 첫 번째 벤허 영화에 출연했다. 이 영화는 이틀 만에 각색되었다.[2]
"나는 벤 허와 친숙하지 않았고 책을 읽는 것만으로도 이틀이 걸릴 것이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나의 자신감은 무제한이었고 나는 약속했다. 게다가 거의 이틀 밤을 꼬박 새워 대본을 예정대로 제출했는데...그때까지만 해도 최고의 구경거리와 돈벌이가 됐지." [2]
당시 작가 보호를 위한 저작권법이 없었고, 영화산업이 어떻게 모든 것을 침해했는지 자서전에 썼다. 벤허, 하퍼 앤 브라더스의 제작 결과, 저자의 사유지(General Lew Wallace)는 칼렘 컴퍼니, 영화 특허 컴퍼니, 가운티어를 저작권 침해 혐의로 고소했다. 결국 미국 저작권법의 문제를 모든 시간 동안 해결한 이 소송은 법원 제도를 통과하는데 수년이 걸렸지만 마침내 미국 대법원이 하퍼스와 월리스의 손을 들어주고 영화사를 상대로 판결을 내렸다.[7]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건티에는 1912년작 <Manger to the Cross>에서 작사, 연출을 했는데, 터너 클래식 무비스가 예수 그리스도의 삶을 다루는데 가장 중요한 무성영화로 간주하고 있으며, 미국 국립 영화 등록부에서 보존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독립회사
1912년 12월, 가운티어는 칼렘 컴퍼니를 떠나 오랜 협력자 시드니 올콧과 배우 남편 잭 클라크와 함께 독립한 진 가운티어 피처 플레이어스 컴퍼니를 시작했다.[6] 그녀는 이 기간 동안 독자적인 회사를 설립하기 위해 다수의 여성 무성 영화 스타들 중 한 명이었다. 빅터 컴퍼니의 플로렌스 로렌스, 시그널 필름 컴퍼니의 [8]헬렌 홈즈, 플로라 핀치 컴퍼니(1916-1917), 필름 프롤릭 픽처 컴퍼니(1920), [9]젬 모션 픽처 컴퍼니의 마리온 레너드 등이 그 뒤를 이었다.[10] 1914년 초, 시드니 올콧은 자신의 시드 올콧 인터내셔널 피처스를 시작하기 위해 가운티어의 회사에서 프로듀서직을 사임했다. 그가 가운티에와 사이가 틀어지게 된 원인은 아직 불분명하다.[5] Gene Gauntier Feature Players Company는 1915년까지 계속되었다.[6]
Notable works include, The Civil War-era (1912), A Daughter of the Confederacy (1913) (adapted from Wallace Reid's stage play), Mystery of Pine Camp (1913), When Men Hate (1913), For Ireland's Sake (1914), A Daughter of Old Ireland (1914), and The Eye of the Government (1914).[2]
가운티어는 자신의 회사가 제작한 많은 영화를 쓰고 주연을 맡았으며, 올콧은 이 기간 동안 메인 감독으로 인정받고 있다. 가운터 피처 플레이어스는 칼렘의 경쟁자가 되었고, 가운티에가 유니버설 픽처스와 계약을 맺고 할리우드로 옮기자 결국 잊혀졌다.[2]
영화계 퇴출
1920년 35세의 나이로 42편의 각본을 쓰고 87편의 영화를 공연한 후, 가운티어는 사업에서 손을 뗐다. 가운티에는 1924년 포토플레이와의 인터뷰에서 "나는 지치고 열정을 잃었는데, 그 없이는 물론 진보를 할 수 없다. 사진에서의 나의 일은 너무 어려웠고, 힘이 빠지고, 고단해졌고, 특히 그 작품들이 생산되는 새로운 방식이 되어 버렸다[...] 내가 조사한 모든 것을 숙달한 후, 나는 새로운 조건하에서 일할 수 없었다. 국내 비극이 마지막 손길이었고 좋은 옛날의 즐거운 추억을 간직할 수 있는 동안 빠져나올 수 있어서 기뻤다고 말했다.[11]
개인생활 및 만년
1912년, 가운티어는 배우 잭 J. 클라크와 결혼했다.와 결혼했다. 그들은 1918년에 이혼했다.[citation needed]
가운티에는 누이 마르그리트(Marguerite)가 독일에서 훈련하고 일했던 오페라 가수였던 유럽으로 자주 항해를 나갔다가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그곳에서 발이 묶인 자신을 발견했다. 영화 제작을 떠난 후, 그녀는 1919년 캔자스 시티 포스트에서 영화와 드라마 비평가로 일하다가,[5] 자서전 《Blillight the Trail》을 쓰면서 몇 년 동안 머물렀던 유럽에서 살기 위해 돌아왔다. 이 작품은 1928~29년 미국 잡지 '우먼스 홈 컴패니언'에 연재됐으며, 원고는 뉴욕 현대미술관 영화도서관에 전시돼 있다. 가운티에는 1929년 양배추와 할레킨스, 1933년 스포츠 레이디 등 두 편의 소설도 집필했다.
진 가운티에는 1966년 멕시코 쿠에나바카에서 8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녀는 그녀의 여동생인 마거리트와 그녀의 처남인 악셀 웬너-그렌과 가까운 스웨덴의 헤링게 슬럿에 스웨덴에 묻혔다.[citation needed]
1914년, 6월 11일은 국제 영화 박람회에서 "가운티에 데이"로 선언되었다.
부분 필모그래피
- 여배우로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 소녀들이 집을 떠나는 이유 (1904) (스테이지플레이)
- 뉴욕의 마천루 (1906)
- 해동-백인의 비극(1906)
- 페이마스터 (1906)
- 벤 허 (1907) (스크린저 전용, 줄여서 출연 가능)
- 에반젤린(1908)
- 웨이 다운 이스트 (1908)
- 주홍글씨 (1908)
- 헐다의 연인(1908)
- 돌리, 서커스 퀸 (1908)
- 계란의 로맨스 (1908)
- 더 맨 인 더 박스 (1908)
- 톰슨의 밤 외출 (1908)
- 스테이지 러슬러(1908) (확인되지 않음)
- As You Like It(1908)
- 핸드프린트에 의해 배신됨(1908)
- 소녀와 무법자 (1908) (확인되지 않음)
- 말괄량이 길들이기(1908)
- 크래커의 신부 (1909)
- 소녀 스파이: 남북전쟁의 사건 (1909)
- 산속의 법칙 (1909)
- The Wayward Daughter (1909)
- 술의 노예 (1910)
- 훈련된 간호사의 로맨스 (1910)
- 잃어버린 남자 (1910)
- 계모(1910)
- 남부 연합 스파이 (1910)
- 소녀 스파이 더 어드 어드벤처 (1910)
- A Lad from Old Iland (1910) (또한 시나리오 작가)
- 빅스버그 이전의 걸스파이프 (1910)
- 포라거(1910)
- 남부의 가장 용감한 소녀 (1910)
- 소녀 스파이 러브 로맨스 (1910)
- 백로 사냥꾼 (1910)
- 나바조의 신부(1910)
- 캐스터웨이즈 (1910)
- 아동의 신앙(1910)
- 딕시의 딸(1910)
- A 콜로니얼 벨 (1910)
- 운명의 변태(1910)
- 사악한 예술가 또는 잘못된 소녀(1910)
- 에드나 레슬리의 심장(1910)
- A Lad from Old Iland (1910)
- 세스의 유혹(1910)
- 리틀 슈리발트 메이든(1910)
- 이방인(1910)
- 적의 사랑을 위하여(1911)
- 허첨의 형제 (1911년)
- 로비 앤 더 레드스킨스 (1911년)
- 여동생 (1911년)
- 개방로1911번길
- 아일랜드 허니문 (1911년)
- 64년(1911년)의 작은 병사
- 전쟁 시간 탈출 (1911년)
- 쏘밀 영웅 (1911년)
- 잊을 수 없는 라스(1911년)
- 올드 플로리다 (1911년)
- 피들레 레퀴엠(1911년)
- 데드 리턴(1911년)
- 카니발 (1911년)
- Blooming Time (1911년)
- To the Aid of Stonewall Jackson (1911년)
- 딕시 벨의 로맨스 (1911년)
- 특수 메신저 (1911년)
- 로리 오모어(1911년)
- 콜린 번(1911년)
- 발리데이빗의 피셔녀(1911)
- 아라나포그 (1911년)
- 헝클어진 삶(1911년)
- 소녀 스파이 사건(1911년)
- 스톤월 잭슨에게: 소녀 스파이의 이용 (1911년)
- Colleen Bawn(1911) (또한 시나리오 작가)
- 오닐(1912년)
- 그의 어머니 (1912년)
- 부랑자(1912년)
- 에린 섬에서 멀리 떨어져(1912년)
- You Remember Ellen (1912년)
- 리베라 선장의 포상(1912년)
- 상황의 피해자(1912년)
- 뉴올리언스의 벨(1912년)
- 사막의 전투 더비시(1912년)
- 아프리카 암흑가의 선교사 (1912년)
- 사막의 먼지 (1912년)
- 베두인(Bedouin)에게 붙잡힘(1912년)
- 사막의 비극 (1912년)
- 아라비아 비극 (1912년)
- 미망인 승리(1912년)
- 하렘의 죄수 (1912년)
- 다운 투 더 에이지 (1912년)
- 관리에서 십자가로, 또는 나자렛 예수(1912) (역시 시나리오 작가)
- 아일랜드의 시장 (1912년)
- 쇼룬(1912년)
- 제임스타운의 부인들 (1913년)
- 페기 부인의 탈출(1913년)
- 연합군의 딸 (1913년)
- 파인 크릭 캠프의 미스터리 (1913년)
- 남자들이 미워할 때 (1913년)
- 최면술사의 힘 (1913년)
- Ku Klux Klan의 손아귀에서 (1913년)
- 아일랜드 사케 (1914년)
- 정부의 눈 (1914년)
- 에린에게 돌아오기(1914년)
- 출생권을 위한 투쟁 (1914년)
- 거짓 증거(1914년)
- 트와일라잇 (1914년)
- 동생의 아내(1914년)
- 작은 반란군 (1914년)
- 유혹의 불꽃을 통해 (1914년)
- 더 우먼 하이터의 아기 (1915년
- 얼스터 라스 (1915년)
- 숲의 처녀(1915년)
- 진 오브 더 노스랜드 (1915년)
- 밀수꾼 라스 (1915년)
- 마녀의 금 (1920)
스크립트
- 소녀들이 집을 떠나는 이유 (1907)
- 톰 소여(1907)
- 61년(1907)의 날들
- 벤 허 (1907) (Regie: Sidney Olcott 등)
- 임진왜란(1908)
- 히아와타 (1908)
- As You Like It (1908) (Regie: Kenean Buel)
- 에반젤린(1908)
- 웨이 다운 이스트 (1908) (Regie: Sidney Down East (1908)
- 워싱턴 앳 밸리 포저 (1908)
- 주홍글씨 (1908) (Regie: Sidney Olcott)
- 헐다의 연인 (1908) (리지: 월리스 맥컷천)
- 돌리, 서커스 퀸 (1908)
- 달걀의 로맨스 (1908) (Regie: Wallace McCuts천)
- The Wayward Daughter (1909)
- 소녀 스파이: 남북전쟁의 사건 (1909)
- 술의 노예 (1909)
- 잃어버린 남자 (1910)
- 훈련된 간호사의 로맨스 (1910) (Regie: Sidney Olcott)
- 계모(1910) (레지: 시드니 올콧)
- 남부 연합 스파이 (1910) (Regie: Sidney Olcott)
- 포라거(1910) (레지: 시드니 올콧)
- 카스타웨이즈 (1910) (Regie: Sidney Olcott)
- 올드 아일랜드 출신 청년(1910) (레지: 시드니 올콧)
- 리틀 슈리발트 메이든(1910) (레지: 시드니 올콧)
- 빅스버그 전 걸스파이프(1910) (레지: 시드니 올콧)
- 헝클어진 삶 (1911) (Regie: Sidnegiey Olcott)
- Last Day of School (1911) (Regie: Sidney Olcott)
- 소녀 스파이 사건(1911년)
- 아일랜드 허니문 (1911년) (Regie: Sidney Olcott)
- 쏘밀 영웅 (1911) (Regie: Sidney Olcott)
- 피들레 레퀴엠(1911) (레지: 시드니 올콧)
- 서머 몰의 사랑 (1911) (Regie: Sidney Olcott)
- 특수 메신저 (1911) (레지: 시드니 올콧)
- 로리 오모어(1911) (Regie: Sidney Olcott e Robert G. Vignola - 단편 영화)
- 콜린 번(1911년) (레지: 시드니 올콧)
- 킬라니의 프란시스칸 프리아스 (1911년) (레지: 시드니 올콧)
- 아라-나-포그(1911) (레지: 시드니 올콧)
- 더 리벤지 마크 (1912년) (레지: 시드니 올콧)
- 숀 루(1912년) (레지: 시드니 올콧)
- My Hielan' Lassie (1912) (Regie: Sidney Olcott)
- 킬라니 방문(1912년) (Regie: 시드니 올콧)
- 더 오닐 (1912년) (리지: 시드니 올콧)
- 그의 어머니 (1912년) (Regie: Sidney Olcott)
- 에린 섬에서 멀리 떨어져(1912년) (레지: 시드니 올콧)
- You Remember Ellen (1912) (Regie: Sidney Olcott)
- 사막의 싸움 더비시 (1912년) (레지: 시드니 올콧)
- 룩소르, 이집트 (1912년) (레지: 시드니 올콧)
- 아프리카 암흑가의 선교사 (1912년) (레지: 시드니 올콧)
- 이집트에서 포토플레이 만들기(1912년) (레지: 시드니 올콧)
- 아라비아 비극 (1912년) (Regie: Sidney Olcott)
- 베두인스에게 붙잡혔다(1912년)(레지: 시드니 올콧)
- Widdle a Widdle (1912년) (Regie: Sidney Olcott)
- 다운 투 더 에이지 (1912년) (Regie: Sidney Olcott)
- 나일강을 따라 (1912년) (레지: 시드니 올콧)
- 푸아허의 사면 (1912년) (Regie: Sidney Olcott)
- 고대 이집트 사원 (1912년) (레지: 시드니 올콧)
- 관리에서 십자가로 (1912년) (Regie: Sidney Olcott)
- 케리 고우(1912년) (레지: 시드니 올콧)
- 아일랜드의 시장 (1912년) (Regie: Sidn Olcott)
- 콘웨이, 케리 댄서 (1912년) (레지: 시드니 올콧)
- 아일랜드, 억압받는 자들 (1912년) (Regie: Sidney Olcott)
- 쇼룬(1912년) (레지: 시드니 올콧)
- 제임스타운의 부인들 (1913년) (레지: 시드니 올콧)
- 페기 부인의 탈출 (1913년) (Regie: Sidney Olcott)
- 옥토툰(1913년) (Regie: Sidney Olcott)
- 유명한 사례 (1914) (Regie: 조지 멜포드)
- 노스랜드의 진 (1915년) (Regie:잭 J. 클라크)
참조
- ^ http://www.sidneyolcott.com/GB_Blog_Gauntier_Cuernavaca.htm
- ^ a b c d e f g Tracy (2016). "Outside the System: Gene Gauntier and the Consolidation of Early American Cinema". Film History. 28 (1): 71. doi:10.2979/filmhistory.28.1.03. ISSN 0892-2160. S2CID 148252931.
- ^ "Gene Gauntier goes abroad for features". Pittsburgh Daily Post. p. 21. Retrieved September 17, 2017 – via Newspapers.com.
- ^ Smith, Frederick James. "Unwept, Unhonored and Unfilmed". Photoplay. July 1924: 67 & 101 – via Lantern.
- ^ a b c "Gene Gauntier – Women Film Pioneers Project". wfpp.cdrs.columbia.edu. Retrieved 2018-11-06.
- ^ a b c Smith, Frederick James (July 1924). "Unwept, Unhonored and Unfilmed". Photoplay. July 1924: 102.
- ^ Decherney, Peter (1 September 2013). Hollywood's Copyright Wars: From Edison to the Internet. Columbia University Press. pp. 47–54. ISBN 978-0-231-15947-0.
- ^ Smith, Frederick James (July 1924). "Unwept, Unhonored and Unfilmed". Photoplay. July 1924: 103–104.
- ^ Gaines, Jane M. (2012). "Pink-Slipped: What Happened to the Women in the Silent Film industry?" in The Wiley-Blackwell History of American Film. Blackwell Publishing Ltd.
- ^ "Marion Leonard – Women Film Pioneers Project". wfpp.cdrs.columbia.edu. Retrieved 2018-11-06.
- ^ Smith, Frederick James (July 1924). "Unwept, Unhonored and Unfilmed". Photoplay. 1924 July: 67 &101.
- 시드니 올콧과 관리에서 십자가로 제작 '스타더스트와 그림자: 얼리 할리우드의 캐나다인'의 찰스 포스터에 의해. 캐나다 토론토: 던던 프레스, 2000년
- 트레일을 타오르는 것. 《여성의 집동행》의 진 고티에에 의해, 제55권, 제11호, 1928년 11월, 15-16, 132, 134.
- Tony Tracy, Outside the System: 진 고티에와 초기 미국 영화관 통합, 영화사, 제28권, 제1권(2016), 페이지 71–106
- 미쉘 데리엔, 시네마 irlandais, Aux 종이접기: Sidney Olcott, Le Premier Oeil, TIR 2013. ISBN 978-2-917681-20-6(프랑스어)
외부 링크
- IMDb의 Gene Gauntier
- 여성 영화 개척자 프로젝트에서 진 고티에
- 아일랜드에서 가운티어 촬영
- (프랑스어) Jene Gauntier Sidney Olcott 전용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