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크리시

George Creasy
조지 크리시 경
Rear Admiral George Creasy TR2627.jpg
조지 크리시 경
태어난(1895-10-13)13 1895년 10월
바둘라, 스리랑카
죽은1972년 10월 31일 (1972-10-31) (77세)
영국 에섹스그레이트 호크슬리
파묻힌
세인트 피터와 세인트 폴 교회 묘지, 리틀 호크슬리
얼리전스영국
서비스/지점로열 네이비
근속년수1908–1957
순위해군 원수
보유된 명령포츠머스 사령부(1954-57)
홈 플리트(1952-54)
국기장교 잠수함(1944-46)
HMS 듀크 오브 요크 (1942–44)
HMS Codrington(1940)
HMS 그렌빌(1938–40)
전투/와이어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수상목욕 훈장 기사대십자사
대영제국 훈장
공로훈장
빅토리아 왕립 훈장 회원
오렌지 나사우 훈장(네덜란드)
폴로니아 레스티투타 훈장 지휘관 십자가(폴란드)
레지옹 도뇌르 훈장(Legion of Merital)

GCB, CBE, DSO, MVO, DL (1895년 10월 13일 ~ 1972년 10월 31일) 함대 사령관 조지 엘비 크레시 경은 영국 해군 고위 장교였다.1917년 헬리골랜드 바이트에서 작전 수행에 참여한 제1차 세계대전의 하급 장교로 근무한 뒤 어뢰 장교로 훈련했다.null

크리시는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는데, 처음에는 켄티시 노크에서 침몰한 HMS 그렌빌의 지휘관으로 있다가, 이후 구축함 HMS 코딩턴으로 옮겨졌고, 그곳에서 네덜란드의 줄리아나 왕세자비를 구출하고 나서 덩커크 대피에 참여했다.그는 제1해군주(海軍主)에 참모총장, 대잠전국장, 그 후 내무함대사령관의 국기대장을 거쳐 연합군원정대 해군사령관의 참모총장이 되어 해군작전계획과 집행에 참여하였다.노르망디 상륙을 하다그는 또한 전쟁 말기에 항복한 적 잠수함을 영국 항구에 들여온 책임을 지고 국기장교 잠수함을 지냈다.null

전쟁이 끝난 후 크레아스는 깃발 장교(공기)가 되었고, 극동을 거쳐 제5해군령과 해군참모차장(공기)이 되었다.그 후 그는 해군참모차장이 되었고, 당시 내무함대 사령관이 되었고, 마침내 포츠머스 총사령관이 되었다.null

해군 경력

초기 경력

레너드 크리시와 모드 크리시(네 엘비)의 아들로 태어난 크레시는 오스본 왕립해군대학다트머스 왕립해군대학에서 교육을 받았다.[1]1908년 9월 사관후보생으로 영국 해군에 입대하였고, 1913년 5월 15일 전함 HMS 컨커러에 임명되면서 중역으로 승진하였다.[2]null

제1차 세계 대전

크레아시는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으며, 초기에는 대함대의 HMS 컨커러에서 복무했으나 1915년 5월 15일 하리치 포스어뢰정 구축함 HMS 라이블리함으로 이양되었다.[2]1915년 11월 15일 준위성으로 승진한 뒤 1916년 2월 구축함 HMS 밀른으로 이양했다.[3][2]1917년 5월 15일 다시 중위로 진급한 [4]그는 같은 날짜에 구축함 HMS Nonsq의 중위가 되었고 그해 말 헬리골랜드 Bight에서 작전에 참가했다.[5]1918년 5월 포츠머스 광업학교에 입학한 뒤 1918년 11월 어뢰학교인 HMS 버논에서 롱코스를 시작했다.[2]null

전쟁 사이에

크레아시는 HMS 버논에서 시험을 성공적으로 통과했고 1920년 7월 대서양 함대의 구축함 HMS 말콤의 어뢰중위가 되었다.[2]그는 1922년 7월 HMS 버논의 지휘부 직원으로 입사했으며, 1924년 12월 15일 영국 해군대학에 입학한 뒤 중장으로 진급했다.[6]1926년 4월 지중해함대 제1순양함대대의 주력함인 순양함 HMS 프로비셔호에서 어뢰장교가 되었고, 1926년 10월 지중해함대의 주력함인 전함 HMS 워스파이트의 어뢰장교, 1928년 6월 대서양함대 HMS 로드니의 어뢰장교가 되었다.[2]1930년 6월 30일 사령관으로 승진한 그는 1930년 7월 포츠머스의 전술훈련학교에서 지휘부 요원으로 합류한 뒤 1932년 7월 대서양함대 총사령관의 참모(작전)가 되었다.[7][2]null

그 후 크리시는 1934년 7월, 호주 해군에 부속된 순양함 HMS 서섹스의 임원이 되었고,[8] 1934년 11월 21일 왕립 빅토리아 훈장(Royal Victorian Order)의 일원으로 임명되어 1935년 12월 31일 선장으로 승진하여 1936년 6월 해군참모차장(Ademirality)에서 계획 담당 부국장이 되었다.[9][2]이어 1938년 5월 지중해함대 제1 구축함 플로티야의 함장(파괴자)과 구축함 HMS 그렌빌의 지휘관을 맡았다.[2]null

제2차 세계 대전

크레아시가 내무함대 총사령관에게 국기 선장으로 지휘하는 요크 전투함 HMS 공작.

크리시는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했으며, 초기에는 1940년 1월 켄티시 노크에서 침몰한 HMS 그렌빌의 지휘관으로 근무했다.[2]이후 구축함 HMS 코드링턴으로 이양되어 1940년 5월 네덜란드 줄리아나 황태자 구출작전을 지휘한 뒤 그 달 말 던커크 대피작전에 참가했다.[2]그는 1940년 7월 11일 이 두 번의 작전 동안 기술과 진취성으로 공로훈장을 받았다.[10]1940년 6월 제1해군주 참모총장, 1940년 9월 대잠전 소장이 되었다.1942년 5월 12일 네덜란드 오렌지-나사우 훈장(황태자비를 구출한 죄로)에 임명되었고,[11] 1942년 9월 요크 전함 HMS 듀크에서 내무함대 총사령관의 국기대장이 되었다.[12]null

크레아스도 1942년[13] 12월 22일 폴로니아 레스티투타 제3종, 1943년 1월 1일 대영제국 훈장 사령관에 임명되었다.[14]null

1943년 7월 8일 후방 제독으로 진급한 크레시 사령관은 1943년 12월 연합군 원정대의 해군 총사령관으로 나아가 1944년 6월 노르망디 상륙을 위한 해군 작전인 해왕성 작전의 기획과 실행에 참여했다.[15][12]1944년 7월 25일 상륙작전으로 '목욕의 동반자'로 임명되었고,[16] 1944년 10월 기갑 장교 잠수함이 되었고, 극동 지역을 둘러본 후, 전쟁 말기에 항복한 적 잠수함을 영국 항구로 들여온 책임을 맡았다.[12]1946년 5월 28일 미군 공로대장으로 임명되기도 했다.[17]null

1952년 HMS 리버풀에 탑승한 로데릭 맥그리거 제독과 다른 해군장교들과의 회의에서 왼쪽에서 세번째인 크리시 제독.

후기 경력

전쟁이 끝난 후 1947년 2월 극동함대 기관(공기)으로 임명되었고 1948년 1월 4일 부사관으로 승진한 그는 1948년 9월 제5해군주임과 해군참모차장(공기)이 되었다.[18][12]1949년 1월 1일 배스 기사단장으로 진급한 그는 1949년 11월 해군참모차장으로 부임했다.[19][12]1951년 1월 15일 완전 제독으로 진급한 는 1952년 1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내무함대 사령관 겸 총사령관이 되어 처음에는 항공모함 HMS Indomablet에서, 그 다음에는 전함 HMS Vanguard에서 자신의 깃발을 휘날렸다.[20][12]null

크리시는 1953년[21] 6월 1일 바스 훈장 기사 대십자사로 진급된 뒤 1954년 9월 포츠머스 사령관, 나토 연합군 총사령관 채널 사령관이 되었다.[12]1955년[22] 4월 22일 함대 제독으로 진급했다가 1957년 퇴역했다.[5]null

은퇴 및 가족

1924년 크리시는 모니카 프랜시스 울라토른과 결혼했다. 그들은 딸과 아들이 있었다.[1]null

은퇴 후 크리시는 에식스부중위가 되었다.[23]또한 영국 왕립 군단 에식스 지부장을 맡아 어업사격에 관심을 가졌다.[1]1972년 10월 31일 에섹스의 그레이트 호르케슬리에 있는 자택에서 사망하였고, 성당에 안장되었다.피터와 세인트 폴 교회 묘지 리틀 호케슬리.[12]null

참조

  1. ^ a b c "George Creasy".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Retrieved 17 August 2014.
  2. ^ a b c d e f g h i j k 히스코트, 페이지 55
  3. ^ "No. 29368". The London Gazette. 16 November 1915. p. 11323.
  4. ^ "No. 30551". The London Gazette. 1 March 1918. p. 2637.
  5. ^ a b "George Creasy". Liddell Hart Centre for Military Archives. Retrieved 17 August 2014.
  6. ^ "No. 33003". The London Gazette. 19 December 1924. p. 9244.
  7. ^ "No. 33621". The London Gazette. 1 July 1930. p. 4109.
  8. ^ "No. 34147". The London Gazette. 2 April 1935. p. 2230.
  9. ^ "No. 34238".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31 December 1935. p. 15.
  10. ^ "No. 34893".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9 July 1940. p. 4257.
  11. ^ "No. 35554".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8 May 1942. p. 2066.
  12. ^ a b c d e f g h 히스코트, 56페이지
  13. ^ "No. 35833".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18 December 1942. p. 5569.
  14. ^ "No. 35841".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29 December 1942. p. 7.
  15. ^ "No. 36096". The London Gazette. 16 July 1943. p. 3232.
  16. ^ "No. 36624".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21 July 1944. p. 3461.
  17. ^ "No. 37582".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24 May 1946. p. 2559.
  18. ^ "No. 38189". The London Gazette. 27 January 1948. p. 662.
  19. ^ "No. 38493".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31 December 1948. p. 2.
  20. ^ "No. 39136".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30 January 1951. p. 548.
  21. ^ "No. 39863".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26 May 1953. p. 2942.
  22. ^ "No. 40487". The London Gazette. 24 May 1955. p. 3011.
  23. ^ "No. 41645". The London Gazette. 27 February 1959. p. 1400.

원천

  • Heathcote, Tony (2002). The British Admirals of the Fleet 1734 – 1995. Pen & Sword Ltd. ISBN 0-85052-835-6.

외부 링크

군청
선행자 깃발 장교 잠수함
1944–1946
성공자
선행자 제5해군주
1948–1949
성공자
선행자 해군참모차장
1949–1951
성공자
선행자 사령관, 홈 플리트
1952–1954
성공자
선행자 포츠머스 총사령관
1954–1957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