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거브너
George Gerbner![]() |
조지 거브너 | |
---|---|
![]() | |
태어난 | |
죽은 | 2005년 12월 24일 | 86)
배우자 | 일로나 쿠타스 (1946년 결혼) |
아이들. | 2 |
조지 거브너(1919년 8월 8일~2005년 12월 24일)는 커뮤니케이션 교수로 재배이론의 창시자였다.템플대, 빌라노바대, 펜실베이니아대 등에서 강의했다.[1][2]
사생활
조기생활과 교육
게브너는 1919년 8월 8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태어났다.[1]
고교생들의 전국 대회에서 헝가리 문학상 1등을 차지한 뒤 부다페스트 대학에 입학해 문학 인류학 학위(1937~1938)를 취득했다.[1][3]
그러나 유대계 혈통인 그는 나치 독일과 연합한 정부 산하에 있던 헝가리군에 징집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1939년(그 후) 파리로 도망쳤다.[2][4]당초 게르브너는 이복동생인 라슬로 베네딕이 할리우드 영화제작자였던 미국에 입국할 수 있는 비자를 얻을 수 없었으며 대신 먼저 멕시코, 그 다음 쿠바를 여행해야 했다.그는 마침내 하바나에서 뉴올리언즈까지 항해할 수 있게 되어 베네딕의 친구들로부터 그곳으로 가게 되었다.[2]
그 후, Gerbner는 뉴올리언스에서 캘리포니아까지 히치하이크를 했고,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대학교에 등록했고, 그곳에서 심리학과 사회학 학위를 받았다.[3]그는 곧 UC 버클리로 옮겨 저널리즘을 공부했고 그곳에서 1942년에 언론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3]졸업하자마자 그는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에서 카피 보이, 리포터, 카피 에디터, 장편 작가, 일간 칼럼니스트, 부재무 편집자로 잠시 일했다.[2][5]: 22
병역
게르브너는 미국의 입영 규정이 그 해 전 해의 느슨해지자 1943년 미 육군에 입대했다.(헝가리의 대미 전쟁 선언으로 '적외국인'으로 공식 인정받았다.)[1] 군대에서 조지아 주 포트 베닝에서 낙하산으로 훈련받곤 했다.이후 전략서비스국으로 이관되어 결국 이탈리아에 도착하게 되는데, 그곳에서 OSS의 비밀정보부에 가입하게 된다.독일의 전쟁 패배 이후 1945년 10월 게르브너가 오스트리아로 파견되어 헝가리 군인들의 대규모 야영을 조사하였는데, 그 중 게르브너가 체포하여 부다페스트로 돌아가 전범으로 재판을 받고 처형되도록 도운 헝가리 친나치 총리인 뫼메 스토제이가 있었다.[2]
게르브너는 부다페스트에 주둔하던 중 여배우 일로나 쿠타스를 만나 1946년 결혼해 두 아이를 낳았다.[2]
게르브너는 적진 뒤에서 근무한 공로로 청동성을 받았으며, 중위로 명예롭게 제대했다.[6]
대학원 연구 및 정치 활동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게르브너는 프리랜서 작가와 홍보 담당자로 일했다.로스앤젤레스로 돌아오면서 취직을 모색하던 그는 1947년 독립진보당과 미국진보시민회의의 신문 편집자로 자원했다.[1][5]: 22 게르브너는 미국의 반공 매카시대가 한창이던 시기에 있었던 다른 좌파 활동뿐만 [1]아니라 PCA와 IPP와의 연관성 때문에 캘리포니아의 하원 비미국 활동 위원회(HUAC)의 관심을 끌었다.[5]: 21–24 그는 PCA를 "공산주의자가 창조하고 통제하는 조직"이라고 인용한 HUAC에 앞서 증언하도록 불려질 것이다.[5]: 21
얼마 지나지 않아 게르브너는 존 뮤어 칼리지(현 패서디나 시립 칼리지)에서 저널리즘을 가르치기 위해 고용되었는데, 1948년부터 1951년까지 존 뮤어 칼리지(현 패서디나 시립 칼리지)에 머물렀다.[3][2]그리고 나서 그는 USC 교육대학(1954-56)의 교사 겸 연구원이 되기 전에 남캘리포니아 대학교 (USC) 시네마 학부 (1951–52)에서 연구를 수행했다.[3]
게르브너는 프리랜서 업무와 함께 엘 카미노 칼리지(1952~56)에서 저널리즘을 가르쳤고, USC에서 커뮤니케이션 교육학 석사(1951), 박사학위(1955)를 취득했다.[3]그의 논문 '소통의 일반이론'은 USC의 '최우수 논문'으로 상을 받았다.[2]
만년의 삶과 죽음
게브너는 2005년 11월 말 암 진단을 받았으며, 2005년 12월 24일 필라델피아 센터시티에 있는 자신의 아파트에서 사망했다.그는 총 2명의 자녀를 두었고 2001년 현재 5명의 손자가 있다.[6]
2010년과 2014년 사이 부다페스트에서는 고 게르브너 박사를 기리는 소통, 갈등, 공격 등에[7] 관한 회의가 주기적으로 열렸다.회의는 부다페스트 메트로폴리탄 대학의 졸란 로카 박사와 레베카 M 박사가 공동 주관했다.초리, 현재 프로스트버그 주립대학에 재학 중이다.
직업과 일
1956년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 샴페인 커뮤니케이션 연구소(1956–64)의 교수진이 되어 USC 시네마학과 객원교수로 게르브너를 만난 댈러스 스미테가 영입한 바 있다.[3]게브너는 이후 8년간 일리노이주에 머물렀다.[2]
1964년 게르브너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아넨버그 통신학교(1964–89) 학장이 되었고, 그 학교는 대학에 설립된 지 불과 5년 만에 학계에서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성장과 영향력을 관장하게 되었다.게르브너는 이 분야의 선도적 출판물이었던 학교 통신 저널의 편집자 겸 편집장을 지냈다.게다가 게르브너는 또한 최초의 세계 통신 백과사전을 만들었으며, 국제 통신[6] 백과사전 편집위원장으로서 미국 국회의사당에서 통신 연구자들과 실무자들을 한자리에 모이게 하는 통신 프로젝트인 워싱턴 프로그램을 설립했다.[2]1968년 게르브너는 문화지표프로젝트(CIP)를 설립해 대표를 맡아 텔레비전 프로그램 동향과 이러한 변화가 시청자의 사회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문서화했다.[2]
1986년에는 미국학술사회협의회(ACLS) 사회과학위원회(Commission on Communications and Society) 소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게르브너는 1989년 안넨베르크에서 25년 만에 당파심에서 은퇴해 펜실베이니아 최장수 학장의 U가 됐다.그는 연구를 계속했고 매스미디어 분석에서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가르쳤다.[2]
1991년에 그는 통신 매체의 다양성을 증진시키는 미디어 옹호 단체인 문화 환경 운동(CEM)을 설립했다.[2][8]1997년에는 템플 대학교의 벨 애틀랜틱 통신학 교수가 되어 CEM을 통해 계속해서 가르치고 연구하고 옹호하였다.[2]
이론적 작업
나는 의사소통이 정말로 행동이 있는 곳, 즉 정치적 행동, 사회적 행동, 문화적 행동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George Gerbner (August 19, 1992)[9]
1968년 게르브너는 문화지표프로젝트(CIP)를 설립해 대표를 맡아 텔레비전 프로그램 동향과 이러한 변화가 시청자의 사회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문서화했다.게르브너의 저널리즘 분야에 대한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공헌으로서 이 프로젝트는 3,000개가 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35,000개의 캐릭터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고 있었다.[2][8]CIP에게 그는 많은 양의 텔레비전을 보는 사람들이 세상을 위험하고 무서운 곳으로 인식하기 쉽다는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세계 신드롬을 의미하는 문구를 만들었다.[8]
게브너는 1981년 의회 통신 분과위원회 앞에서 다음과 같이 증언했다.
텔레비전 시청과의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연관성은 폭력과 위험의 '만능의 세계'에서 높아진 생활 감각이다.두려운 사람들은 더 의존적이고, 더 쉽게 조작되고, 통제되고, 더 쉽게, 더 쉽게, 더 쉽게, 그리고 더 쉽게, 그리고 더 쉽게, 강인하고, 강경한 조치와, 강경한 자세에 민감하다....그들은 탄압이 그들의 불안감을 완화시켜준다고 약속한다면 그것을 받아들이고 심지어 환영할지도 모른다.그것이 폭력이 많은 텔레비전의 더 깊은 문제다.[10]
1987년 "텔레비전의 과학:게브너는 황금시간대 TV가 많은 프로페셔널이 묘사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모든 전문가들 중에서, 과학자들은 조금 더 부정적인 시각으로 묘사되는 것 같았다.과학자들은 "다른 전문가들보다 더 세련되고 강한" 것으로 묘사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런 것들이 나쁜 것은 아닐지 모르지만, 그들은 전체 직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어울리지 않는 특성인 경향이 있다.비록 게버가 TV가 과학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발명하지 않았다고 언급하지만, 그것은 그 분야를 소외시킨다.[11]
명예
날짜 | 수상/명예 | 제시자 |
---|---|---|
1946/7 | 청동별[6] | 미국 육군 |
1970 | 명판[12] | 리처드 티어스, 미국 홍보 협회 대표, 필라델피아 지부 |
1976 | 윈스턴 처칠의[13] 34권 전집 | 월터 H. 안넨버그 영국 주재 미국대사를 대신한 그레이스 햄블린. |
1979 | ICA 동료가 되었다. | 국제 통신 협회 |
1988 | 연례 강연 시리즈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George Gerbner Communications 강의 | 셸던 해크니 전 대통령과 마이클 아이켄 전 펜실베이니아주 U.S. |
1991 | 웨인 A.커뮤니케이션 장학금[14] 공로 대니얼슨상 |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커뮤니케이션 대학교 |
1996년 8월 | 폴 J. 도이체만상[15][16] | 오스카 간디 주니어가 이끄는 AEJMC. |
1982 | 프리셉터상[17] | 필라델피아의 텔레비전, 라디오 및 광고 클럽 |
선택한 게시물
기사 및 수필
- 1976년. "텔레비전과 함께 사는 것:래리 그로스와의 폭력 프로필"통신 26(2):172–99. doi:10.1111/j.1460-2466.196.tb01397.x
- 1985. "매스 미디어 담화: 문화지표의 구성요소로서의 메시지 시스템 분석." T. A. 반다이크가 편집한 담화 및 커뮤니케이션의 13~25쪽.뉴욕: 월터 드 그루터 베를린.
- 1985. "어린이 텔레비전: 국가적 망신"소아실록 14(12):822–23 및 826–27.
- 1986. "텔레비전과 함께 사는 것: 마이클 모건, 낸시 시뇨리엘리와 함께한 "재배 과정의 역동성".J. 브라이언트와 D가 편집한 미디어 효과에 대한 관점 17-40 페이지 질만.뉴저지 힐스데일: 로렌스 얼바움 어소시에이츠.S2CID 53682668(2007)이다.
- 1986. "행동 및 의사소통의 상징적 맥락" R. L. Rosnow와 M이 편집한 행동과학의 상황설과 이해 251–68 페이지.게오르고디뉴욕: 프라거 출판사.
- 1987. "대중매체에서의 폭력과 테러에 관한 연구: 낸시 시뇨리엘리와 함께 "A An An An Annotated Bibliography". 페이지 1-163.
- 1987. "텔레비전 포퓰리즘 브루:세 개의 B."Et Cetera 44(1):3–7.
- 1988. "정보화 시대의 이야기들" B. D. Ruben이 편집한 정보와 행동의 페이지 3-12.뉴브런즈윅, NJ: 트랜스퍼레이션 북스.
- 1988. "지속성과 변화: 통신 시대의 교차 문화 통신 연구."C가 편집한 포스트 산업 사회 2의 세계 공동체 220~31쪽.아카데미설=우석출판사.
- 1991. "아메리칸 미디어에서의 러시아인의 이미지와 '새로운 시대'." 비욘드 냉전의 31-35 페이지: E. E. E. Dennis, G. Gerbner, Y. N. Zassoursky가 편집한 소련과 미국의 미디어 이미지.뉴베리 파크: SAGE 출판물.
- 1994. "텔레비전과 함께 성장:래리 그로스, 마이클 모건, 낸시 시뇨리엘리(Nancy Signorielli)와 함께하는 경작의 관점." 미디어 효과 17-41 페이지: J. 브라이언트와 D.가 편집한 이론과 연구의 진보.질만.뉴저지 힐스데일: 로렌스 얼바움 어소시에이츠.
책들
- 1988. 대중 매체의 폭력과 테러: 낸시 시뇨렐리와 함께 '주석을 단 서지학'이요뉴욕: 그린우드 프레스.미리보기.
- 1989. 정보격차: 마샤 시퍼트와 제니스 피셔와 함께 컴퓨터와 다른 새로운 통신기술이 힘의 사회적 분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 1991. 냉전 너머: Ebrette E와 함께 소련과 미국의 미디어 이미지. 데니스와 야센 N. 자소르스키.뉴베리 파크: SAGE 출판물.
- 1992. 이미지 승리: 하미드 모우야나, 허버트 L과 함께한 페르시아만의 미디어 전쟁, 세계적인 관점. 실러.아발론 출판사.미리보기.
- 1993. 모우야나, 카알레 노르덴강과 함께하는 글로벌 미디어 토론.노우드, NJ: 캐블렉스.미리보기.
- 1996. 보이지 않는 위기: 모우야나, 실러와 함께, 거대기업의 미디어 통제가 미국과 세계에 무엇을 의미하는가.뉴욕: 루트리지.미리보기.
- 2002. 주류와의 대결: 마이클 모건이 편집한 <조지 게브너의 작품 선택>.뉴욕: 피터 랭.서평.
증언
- 1992. 텔레비전 폭력 관련 — 범죄 및 형사 사법 소위원회(하원 법사위원회)[18]
- 1950. 게르브너의 공산주의 단체와의 연관성에 대해 - 캘리포니아 상원 교육[5] 조사 위원회
- 1981. 폭력 및 TV에 관한 연구 결과 — 전기통신, 소비자 보호 및 금융 분과위원회(에너지 및 상업 위원회)[19]
- 1998. 텔레비전의 폭력에 대하여 — 상원 상업, 과학, 교통[20] 위원회
- 1998-1999.시험 전문가로서 — Michael Carneal의[21] 재판
- 1999-2000.시험 전문가로서 — Pacitti vs. 메이시[22]
참조
- ^ a b c d e f 사순절, 존 A. 1995."George Gerbner와 인터뷰." 85-98 페이지 "A Different Road Taken".웨스트뷰 프레스.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생물학."조지 게브너 아카이브펜실베니아 대학교의 아넨버그 커뮤니케이션 스쿨.2009.
- ^ a b c d e f g h 조지 거브너, 교육과정 비테, [1964년]
- ^ Joseph Turow (2006년 6월 1일), "산업 민속", "The American Interest".2018년 6월 24일 회수.
- ^ a b c d e https://web.asc.upenn.edu/gerbner/Asset.aspx?assetID=719[bare URL PDF]
- ^ a b c d 게브너, 조지2001년 2월 15일.조지 게브너, 전기 정보.
- ^ 의사소통, 갈등, 공격성
- ^ a b c "George Gerbner, 86, Researcher Who Studied Violence on TV, Is Dead". The New York Times. January 3, 2006. Retrieved May 3, 2010.
- ^ 사순절, 존 A. [1992] 1995."George Gerbner와 인터뷰." 85-98 페이지 "A Different Road Taken".웨스트뷰 프레스.
- ^ Oliver, Myrna (29 December 2005). "George Gerbner, 86; Educator Researched the Influence of TV Viewing on Perceptions". Los Angeles Times. Retrieved 8 October 2014.
- ^ "SCIENCE ON TELEVISION: How It Affects. Public Conceptions". Issues in Science and Technology. Spring 1987. Retrieved January 27, 2017.
- ^ https://web.asc.upenn.edu/gerbner/Asset.aspx?assetID=2641[bare URL PDF]
- ^ "윈스턴 경의 작품들."필라델피아 이브닝 게시판.1976년 10월 22일
- ^ https://web.asc.upenn.edu/gerbner/Asset.aspx?assetID=2642[bare URL PDF]
- ^ https://web.asc.upenn.edu/gerbner/Asset.aspx?assetID=2646[bare URL PDF]
- ^ https://web.asc.upenn.edu/gerbner/Asset.aspx?assetID=2647[bare URL PDF]
- ^ https://web.asc.upenn.edu/gerbner/Asset.aspx?assetID=2645[bare URL PDF]
- ^ https://web.asc.upenn.edu/gerbner/Asset.aspx?assetID=2538[bare URL PDF]
- ^ https://web.asc.upenn.edu/gerbner/Asset.aspx?assetID=483[bare URL PDF]
- ^ "Senate Committee on Commerce, Science, and Transportation, 1998 - George Gerbner Archive".
- ^ "Michael Carneal Case, 1998-1999 - George Gerbner Archive".
- ^ "Pacitti vs. Macy, 1999-2000 - George Gerbner Archive".
외부 링크
![]() | 위키호테는 다음과 관련된 인용구를 가지고 있다:조지 게브너 |
- 아넨베르크 통신학교 조지 게버의 참고 문헌
- 템플타임즈의 벨 애틀랜틱 교수직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