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케트만
George Kettmann
조지 빌헬름 케트만 또는 조지 케트만 주니어(1898년 12월 12일 암스테르담 ~ 1970년 2월 10일 로센달)는 네덜란드의 시인, 작가, 언론인, 출판인으로 네덜란드에서 나치즘을 선전하였다.아내와 함께 그는 네덜란드 나치 최고 출판사인 드 암스테르담셰 쿠르카메르를 설립했다.1941년까지 안톤 무서트의 운동인 네덜란드 국가사회주의운동(NSB) 주간지 볼크 엔 베이더랜드(인민과 조국)의 편집장을 지냈다.
인생과 경력
케트만은 사업가의 장남으로 1930년 금융위기로 회사가 망할 때까지 아버지를 위해 일했고, 그 후 언론인으로 일했다.[1]그는 1932년 8월 2일에 NSB에 가입했다.10월 12일 그는 마고 워셔싱크와 결혼했다;[2] 그들은 그가 입당하기 직전인 [3]7월 14일이나 21일, 새로운 völkisch 이데올로기를 장려하기 위한 목적으로 출판사, De Amsterdamsche Keurkamer를 시작했다.[4][5] 이 이념은 곧 특별히 국가사회주의자가 되었다.1939년에 그 회사는 히틀러의 마인 캄프의 네덜란드어 번역을 출판했다.[6]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해에는 회사를 경영하는 것 외에 NSB의[7] 전국 주간지 볼크 엔 베이더랜드(1941년까지)를 편집하여 산문, 시, 에세이를 집필, 출판하여 엄청난 에너지를 보였다.세월이 흐르면서 안톤 무서트와의 관계는 악화되었는데, 케트만이 무서트가 나치즘의 진실하고 혁명적인 본질을 파악할 수 없다고 비난했기 때문이다.이것은 결국 그가 1942년 3월 7일 네델란체 SS에 합류하게 되었다.1942년 9월 무서트는 그를 NSB에서 추방했다; 케트만은 너무 급진적인 나치라고 여겨졌다.그는 동부전선에 전쟁특파원으로 갔다.[4]
전쟁이 끝난 후 케트만은 1948년 벨기에로 피신하여 체포되었다.[8]네덜란드에서 그는 다음과 같은 혐의로 기소되었다.
- 독일군에 입대해서
- 적과 국가사회주의, 반유대주의,
- 국가사회주의와 반유대주의를 미화하는 글과 시를 쓰고 출판한 것.
그는 징역 10년을 선고받았다.1955년 석방된 후 그는 어떠한 정치 활동도 자제했다.그는 그의 나치 이데올로기를 잃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시를 몇 권 출판했다.[8][9]
이념적으로 그는 이탈리아식 파시즘(1931–1933)에서 네덜란드식 나치즘(1933–1940), 독일 중심의 나치즘(1940–1942)으로, 마지막으로 유럽에서 하나의 위대한 게르만 제국(1942–1945)을 염원하는 가장 급진적인 SS 이념으로 진화했다.독일의 패배 후 그는 1933-1940년 시대의 그의 사상으로 돌아왔다.
선택한 작품
- 1928 - 드 글란젠데 드라드 데어 고든.소설이다.
- 1930 - 드 브람 데르 스테덴.공동저자: 루 르 카벨리에.소설이다.
- 1931년 - 마안 헵탄 닭.소설이다.
- 1933년 - 디 오사블루히트 반엔 올리만.소설이다.
- 1935년 - 데 종 리우, 버젠시.
- 1936년 - '옴 윌 밴 헤트 레븐, 쿤스트 앙 보석샤프'에세이.
- 1938년 - 헤트 에르프 아안 지.시.
- 1940 - Om de nieuwe cultuur.에세이.
- 1942년 - 종그로엔 옴 덴 조타실시.
- 1943 - 드 스니우에 부풀었다.시.
- 1944년 - 녹색의 복수.소설이다.
- 1949 - 트위스팔트의 레벤: 나겔라텐 게쉬리프텐 반 에네 국가-사회주의자.자서전.게시된 Hilversum:플래너, 1999년 에드윌렘 휴버트, 루이스 페론의 소개.플래노리크스 37호 ISBN978-90-73202-40-5.
- 1956 - 데 발라드 판 데 도데 바이킹시.
- 1957년 - 마누엘얀 반 데 월크라는 필명으로 출판되었다.소설이다.
- 1962년 - 제테릭스 반 알레세제엔.얀 반 데 월크라는 필명으로 출판되었다.시.
- 1969년 - Man brouw kind.시.
참조
- ^ J.J. Kelder, De Nieuwe orde en de Nederlandse letterkunde, 1940-1945 Catalogue of an exhibition at the National Library of the Netherlands, 13 September–1 November 1985, The Hague: Koninklijke Bibliotheek, 1985, ISBN 978-90-6259-063-6, p. 45 (in Dutch)
- ^ 디데리쿠스 기즈베르투스 판 에펜, 네델란드의 패트리샤트 36 (1950) 페이지 360 (네덜란드어)
- ^ 기록 보관소 외 성경책 63-64 (1992년) 페이지 382 (네덜란드어)
- ^ a b Maarten Cornelis van den Toorn, Wij melden u den nieuwen tijd: een beschouwing van het woordgebruik van de Nederlandse nationaal-socialisten, Aan het woord 6, The Hague: SDU, 1991, ISBN 978-90-12-06593-1, p. 37 (in Dutch) (21 July)
- ^ 켈더, 페이지 43 (7월 14일)
- ^ 아돌프 히틀러, Mijn kamp, tr.스티븐 바렌즈 암스테르담:암스테르담슈 커카머.
- ^ 세계 정치 지침서, 1938년 뉴욕 주립대학 빙엄턴 외교 관계 위원회.뉴욕 비교정치연구센터: 맥그로힐, 1938, 페이지 138.
- ^ a b 제룬 듀울프, 저항의 정령: 나치 점령기 동안의 네덜란드 클랜데스틴 문학 뉴욕 로체스터: 캠든 하우스, 2010, ISBN 978-1-57113-493-6, 페이지 63, 노트 18.
- ^ Faschismus und europaische Litatur, ed. 파스키스무스와 에우로페이스타인 우겔빅 라르센과 로널드 스피어스와 함께 베아트리체 샌드버그, 베른: 랭, 1991년 ISBN 978-3-261-04379-5, 페이지 316(독일어)
원천
- 윌렘 휴버트슈리히버 투센 다드 엔 게다흐테, 레벤 엔 베르켄 판 조지 케트만 주니어 (1898–1970)가 엥 비블리오그라피를 만났다.헤이그: Stichting Bibliographia Neerlandica, 1987.ISBN 90-713-08-5(네덜란드어)
- 프랭크 판 덴 보고드"조지 빌헬름 케트만 (1898–1970)"In: Een stoottroep in de Letteen, 'Groot Nederland', de SS en de Nederlandse literatur(1942–1944).헤이그: Stichting Bibliographia Neerlandica, 1987.ISBN 90-713-07-7(네덜란드어)
- 윌렘 휴버트"케트만."인: Biograpisch woordenboek van Nederland, deel 3.에드 J. 채리테헤이그: 네데를란세 게시데니스 연구소, 1989. 페이지 322–324.ISBN 90-5216-006-6(네덜란드어)
- 제라드 그로네벨드"카렐리에의 케트만"인: Kriegsbericter, Nederlandse SS-oorlogsverslaggevers 1941-1945.Nijmegen: Vantilt, 2004. 페이지 305–317.ISBN 90-77503-09-9(네덜란드어로)
- 조지 케트만과 마고 워셔싱크Uitgeeberij "De Amsterdamsche Keurkamer".보관소 1926-53.암스테르담: NIOD: Institut voor Oorlogs-, 홀로코스트- 대량학살.OCLC 665957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