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르주 이베토
Georges Yvetot조르주 루이 프랑수아 이베토 | |
---|---|
루마니테의 조르주 이베토 (1913년 5월 27일) | |
태어난 | 프랑스 파리 | 1868년 7월 20일
죽은 | 1942년 5월 11일 프랑스 파리 | ) 73세)
국적 | 프랑스어 |
직업 | 타이포그래퍼, 전투적 활동가, 노동조합 활동가 |
조르주 루이 프랑수아 이베토(Georges Louis Francois Yvetot, 1868년 7월 20일 ~ 1942년 5월 11일)는 프랑스의 타이포그래퍼, 아나르코 신디컬리스트, 반유대주의자였다.그는 제1차 세계대전(1914~18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Fédération des Bourses de travel(노동자회의 연합)의 사무총장과 Confédération générale du travel(CGT – 노동총동맹)의 사무차장을 지냈다.그는 전쟁 기간 동안 저자세를 유지했고, 1918년 CGT 지도부에서 해임되었다.전쟁 후에 그는 많은 무정부주의 저널에 기고했다.그는 제2차 세계 대전(1939–45년) 동안 가난하게 죽었다.
초년
조르주 루이 프랑수아 이베토는 1868년 7월 20일 파리에서 노르만 출신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그는 아버지가 겐다르메인 미네임스 막사에서 태어났다.그의 어머니는 돌아가셨고, 그의 아버지는 젊었을 때 돌아가셨다.그는 1880년부터 1887년까지 타이포그래퍼로 훈련했던 고아 도제자들을 위해 기독교 교리의 형제들과 오토일 센터에 의해 길러졌다.그는 폐결핵에 걸렸고 따라서 군 복무를 할 필요가 없었다.1887년부터 1894년까지 그는 기준 이하의 임금을 받으며 라 패트리(La Patrie)의 타이프 세터로 일했다.[1]
전쟁 전 조합장
이베토트는 페르난드 펠루티에의 영향으로 무정부주의자가 되었는데, 그는 오비에르 데 듀스 몬데스의 타이포그래퍼로서 도왔다.그는 펠루티에가 죽었을 때 쁘띠 소아르에서 일하고 있었고, 1901년 5월 22일 그의 뒤를 이어 페데레이션 데 부르스(Fédération des Bourses)의 사무총장으로 취임하였다.[1]그는 사회주의자인 장 알레마네와 폴 브루스의 도움으로 임명되었다.[2]그는 제1차 세계 대전(1914–18)이 시작될 때까지 모든 의회에서 약간 다른 직함으로 이 직책에 재선되었다.공격적인 행동과 외모는 그에게 '불독'이라는 별명을 갖게 했다.그는 무정부주의자로 피에르죠프 프루덴의 추종자였으며, 신디칼리스트가 된 후에도 계속 그러했다.그는 1901년 9월 니스에서 열린 제9차 회의에서 페데레이션 데 부르스가 CGT와 합병하는 것을 매우 꺼렸다.[1]
1902년 9월 CGT의 몽펠리에 대회부터 부르스 부문의 서기는 자동으로 GCT의 서기가 되어, 직함으로는 노동조합 지도부에서 2위를 차지하였다.이베토트는 니스(Nice)에서 열린 CGT 대회(1901년 9월), 알제리르스(Algiers 1902년 9월), 부르주스(Bourges 1904년 9월), 아미앙스(Amiens 1906년 10월)에서 버즈 연방 또는 섹션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그는 수감된 이후 1908년 10월 마르세유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다.툴루즈(1910년 10월)와 르아브르(1912년 9월)에서 열린 CGT 회의에 참석했다.이 두 의회에서 그는 또한 Voix du Peuple에 대해 보고했다.이베토는 전후 여러 국제회의에서 프랑스의 노동조합주의를 대표한다.[1]
1902년 12월, 이베토는 동료 무정부주의자 헨리 베일리, 파라프 자발, 알버트 리버타드, 에밀 얀비온과 함께 리그 반비무장주의자의 창시자 중 한 명이었다.이는 경찰의 강도 높은 감시의 대상이었던 국제반비군인협회(AIA)의 프랑스 섹션이 되기 위해서였다.[3]AIA는 사회주의자들, 신디칼리스트들, 아나키스트들을 포함한 모든 정치적 성향을 가진 노동자들에게 개방되어 있었다.이베토트는 AIA 회보에 "반비군주의 선전보다 더 시급한 것은 없다…….그렇기 때문에 AIA는 정치집단 밖, 경제집단 밖에서도 진정 존재감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4]1904년 6월 26일~28일 AIA는 암스테르담에서 창립대회를 열었고, 12명의 프랑스 대표단이 참가하였다.L'Enemi du Peuple'은 지난 공개 회의에 4,500명이 참석했다고 보도했지만, 이것은 아마도 과장된 것일 것이다.의회는 무정부주의자들이 지배하고 있었지만 신디칼리스트와 공산주의자도 포함시켰다.병역거부가 AIA 전략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이 뜨거웠다.이베토트와 미겔 알메레이다(에우제네 비고)가 프랑스 섹션을 이끌고 AIA 위원회에 앉았다.[4]
기술적으로는 CGT와 연계되지 않았지만, AIA는 본사를 CGT 건물로 이전했고, 같은 회원이 다수 있었다.[2]CGT 회원들은 모두 이베토의 비타협적인 반군사주의를 공유하지는 않았다.이에 루이 니엘은 1905년 "전쟁의 경우 오늘 총파업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5]고 썼다.니엘은 더 반동적인 나라로부터 파멸의 위협을 받았을 때 자기 나라에서 이루어졌던 자유를 위해 싸울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다.이베토는 이를 거부하면서 "노동자들은 개 기질을 가지고 있다면 애국자가 될 수 있다"[6]고 노골적으로 말했다.1906년 아미엔스 회의에서 이베토 CGT 의회가 지도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비애국적 동의안을 통과시키는 데 성공했다.[1]
이베토는 강제적인 중재에 반대하며 파업의 자유를 요구했다.이베토트는 항상 노동조합주의가 정당으로부터 독립하는 것을 강하게 옹호했고, 사회당과의 어떠한 합의에도 반대했다.그는 종종 그의 선전으로 체포되어 유죄판결을 받았고, 감옥에서 여러 기간을 보냈다.[1]그리하여 1906년 이베토트에서는 루이 그랜디어와 구스타브 헤르베가 반유대주의 활동으로 투옥되었다.[7]이베토트는 '수두 솔닷(The Sou du Sandat)'이라는 조직을 운영했는데 이론상으로는 젊은 신디칼리스트들이 군대에 징집될 때 소액의 돈을 보내주면서 그들을 도왔다.경찰은 이 단체의 목표가 부대 내 혁명 선전을 확산시키는 것으로 보고 있다.1913년 봄, 징집병들은 군복무 기간 연장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고, 1913년 7월 1일 이베토와 다른 CGT 지도자들이 체포되었다.이들은 풀려났으나 1914년 3월 26일 결석 상태에서 재판을 받았고, 이베토트는 징역 1년에 벌금 100프랑을 선고받았다.전쟁이 발발했을 때 상소는 계류 중이었다.[8]
1914년 7월 28일 이베토와 신디칼리스트 리더 레온 주호, 조르주 두물린, 알퐁스 메르하임은 살레 와그람에서 회담을 가졌고 CGT 남부위원회는 "현 상황에서 CGT는 어떤 전쟁에도 절대적으로 반대한다는 것을 모두에게 상기시킨다.전쟁은 어떤 문제의 해결책이 아니다.그것은 인류 재앙 중 가장 무서운 재앙으로 남아 있다.전쟁으로 쓰러지다!평화 만세!"[9]며칠 후 프랑스는 전쟁 중이었다.많은 CGT 지도자들은 애국심의 급증에 영향을 받았으며 독일의 침략에 대한 공화당의 자유방어를 적극적으로 지지했다.[10]
만년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이베토는 직함을 유지했지만 노조 활동을 포기하고 타이프 세터로 취직했다.얼마 지나지 않아 에트레타트의 전국 전쟁고아인협회 지도부를 수락하고, 아이들을 돕는데 전념했다.그는 1915년 중앙 열강이 유고슬라비아를 점령했을 때 유고슬라비아 고아들을 모으기 위해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로 갔다.1918년 CGT의 지도부에서 해임되었다.[1]
전쟁 기간 동안 이베토는 그와 연관된 평화주의 운동과는 별개로 더 이상 전투적이지 않았다.그는 프랑스와 벨기에에서 많은 무정부주의 정기간행물들을 도왔다.여기에는 르 컴뱃 (1926-1929), 라 콘페테 뒤 통증 (1934-1935), 라 파트리 휴메인 (1931-1939), 르 라푸트 (1921-1922), 라 레뷔 아나키스트 (1929-1936), 르 세메르 (1923-1936)가 포함되었다.그는 Le Journal과 l'Information의 교정자로 일했다.1918년 5월 1일 교정자 노조에 가입하여 1920년부터 1932년 사이에 조합 위원회에서 활동하였다.그는 1921년부터 1925년까지 연합의 총서기였다.[1]
제2차 세계 대전 전야(1939–45)에 이베토트는 즉시 평화라는 제목의 선언문에 서명했다.그는 건강 때문에 기소되는 것을 피했다.그는 전쟁이 시작된 후 CGT에서 더 이상 활동하지 않았다.1940년에 그는 심각한 수술을 받고 직장을 잃었다.그는 궁핍에 가까워졌다.그는 1942년 3월에 창설된 연합군 폭격으로 피해를 입은 노동자 가족을 도운 코미테 오브리에 드 secues immédiat의 잠시 회장직을 맡았다.그것은 협력주의 단체로 널리 여겨졌다.조르주 이베토는 1942년 5월 11일 파리에서 갑자기 사망했다.그는 1942년 5월 15일 화장되었고 그의 유골은 200명이 참석한 의식으로 페레 라차이즈 묘지에 안치되었다.[1]
선택한 게시물
- Pelloutier, Fernand; Yvetot, Georges (1896). L'organisation corporative et l'anarchie: plan de conférence. bibliothèque de l'"Art social.
- Yvetot, Georges (1902). Vers la grève générale. H. Girard.
- Yvetot, Georges; Gohier, U. (1905). La vache à lait. (Lettre à un Saint-Cyrien). Préf. d'U. Gohier. Internationale antimilitariste.
- Yvetot, Georges (1905). Nouveau manuel du soldat. La patrie, l'armée, la guerre. Fédé. des Bourses du Travail.
- Yvetot, Georges (1906). Rapport sur l'établissement du viaticum des bourses présenté à la Conférence des bourses à Amiens, les 15-16 octobre 1906. impr. du Progrès de la Somme.
- Yvetot, Georges (1908). A.B.C. syndicaliste. Groupe de propagande par la Brochure.
- Lorulot, André; Yvetot, Georges (1909). Le Syndicalisme et la transformation sociale. Librairie internationaliste.
- Vernet, Madeleine; Thomas, Albert; Yvetot, Georges (1911). Les sans-famille du prolétariat organisé. L'Avenir Social.
- Yvetot, Georges (1912). Le syndicalisme: Les intellectuels et la C.G.T. La publication sociale.
- Yvetot, Georges (1913). La Triple action de la C.G.T. Le Réveil.
- Yvetot, Georges; Séverine (1913). Ma pensée libre. Conférence écrite à la Prison de la Santé et lue à l'Université Populaire par Séverine, le lundi 3 novembre 1913. L'Université Populaire.
참조
원천
- Cecil, Hugh; Liddle, Peter (2003-04-01). Facing Armageddon: The First World War Experience. Pen and Sword. ISBN 978-1-4738-1397-7. Retrieved 2014-12-03.
- Dubief, Henri (2014). "Yvetot, Georges (1868-1942)". Maitron.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10-19. Retrieved 2014-12-02.
- Goldman, Emma; Falk, Candace; Pateman, Barry; Moran, Jessica M. (2005). Emma Goldman: Making speech free, 1902-1909.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22569-5. Retrieved 2014-12-02.
- Miller, Paul B. (2002-03-14). From Revolutionaries to Citizens: Antimilitarism in France, 1870–1914. Duke University Press. ISBN 0-8223-8058-7. Retrieved 2014-12-03.
- Papayanis, Nicholas (1985). Alphonse Merrheim.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ISBN 978-94-009-5155-6. Retrieved 2014-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