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오르기 플라이로프

Georgy Flyorov
게오르기 니콜라예비치 플라이오로프
RUSMARKA-1660.jpg
게오르기 N의 우표 인식. 플라이로프(1913–1990)
태어난(1913-03-02)2 1913년 3월 2일
죽은1990년 11월 19일 (1990-11-19) (77세)
휴게소모스크바 노보데비치묘지
국적러시아어
모교레닌그라드 폴리테크닉 연구소
로 알려져 있다.자발적 핵분열 발견, 소련의 원자폭탄 프로젝트
수상사회주의 노동의 영웅 (1949)
과학 경력
필드핵물리학
기관공동 원자력 연구소
USSR 과학 아카데미
저명한 학생유리 오가네시안

Georgy Nikolayevich Flyorov (also spelled Flerov,[1] Russian: Гео́ргий Никола́евич Флёров, IPA: [gʲɪˈorgʲɪj nʲɪkɐˈlajɪvʲɪtɕ ˈflʲɵrəf]; 2 March 1913 – 19 November 1990) was a Soviet nuclear physicist who is known for his discovery of spontaneous fission and his contribution towards the physics of thermal reactions. 게다가, 그는 2차 세계대전이 한창일 , 소련에서 원자폭탄 프로젝트를 시작하라는 그의 편지를 조셉 스탈린에게 보낸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1]

2012년, 114 원소는 그의 이름을 가진 공동 원자력 연구소의 연구소를 따서 플레로비움으로 명명되었다.[2]

전기

플라이로프는 로스토프온돈에서 태어나 레닌그라드 폴리테크닉 연구소(현재 위대한 베드로로 알려져 있다)에 다녔다. 페테르부르크폴리텍대학)열물리학, 핵물리학을 전공했다.

그는 1940년 콘스탄틴 페트르자크와의 자발적 핵분열을 발견했다.

그는 1942년 4월 공군 소위로 스탈린에게 편지를 쓰고 미국, 영국, 독일핵분열 분야 내에서 눈에 띄는 침묵을 지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플라이로프가 "지연하지 않고 우라늄 폭탄을 만들라"[4]고 외친 것은 결국 소련의 원자폭탄 개발로 이어졌다.

1970년대에 그는 두 가지 전환 금속 원소인 해저기와[5] 보륨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6]

1957년 두브나에 있는 원자력 공동연구소의 주요 연구소 중 하나인 플라이로프 핵반응 연구소(FLNR)를 설립하고, 1989년까지 그곳의 소장을 지냈다. 또한 이 기간 동안 소비에트 과학 아카데미의 과학 평의회 의장을 맡았다.

명예 및 상

참조

  1. ^ a b "Georgy N. Flerov".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10 December 2019.
  2. ^ Brown, Mark (6 June 2011). "Two Ultraheavy Elements Added to Periodic Table". Wired. Retrieved 6 June 2011.
  3. ^ Kean, Sam (12 July 2010). The Disappearing Spoon: And Other True Tales of Madness, Love, and the History of the World from the Periodic Table of the Elements. Little, Brown. pp. 86–. ISBN 978-0-316-08908-1.
  4. ^ 코크란 TB 외 연구진(1995) 스탈린에서 옐친에 이르는 러시아 폭탄 제조 2010년 12월 14일 웨이백 기계보관. 천연자원방위협의회
  5. ^ Oganesyan Yu.Ts.; Tret'yakov Yu.P.; M'inov A.S.; Demin A.G.; A.A. Pleve A.A.; Tret'yakova S.P.; Plotko V.M.; Ivanov M.P.; Danilov N.A.; Korotkin Yu.S.; Flerov G.N. (1974). "Synthesis of neutron-deficient isotopes of fermium, kurchatovium, and element 106". JETP Letters. 20 (8): 265. Bibcode:1974JETPL..20..265O. 러시아어 원판.
  6. ^ Oganesyan Yu.Ts.; Demin A.G.; Danilov N.A.; Ivanov M.P.; Il'inov A.S.; Kolesnikov N.N.; Markov B.M.; Plotko V.M.; Tret'yakova S.P.; Flerov G.N. (1976). "Experiments on the synthesis of element 107". JETP Letters. 23 (5): 277. Bibcode:1976JETPL..23..277O. 러시아어 원판.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