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라르도 비안치

Gerardo Bianchi
제라르도 비안치

게라르도 비안치(Gerardo Bianchi, 1220/1225년 – 1302년 3월 1일)는 이탈리아의 교회인이자 교황 외교관으로 시칠리아 베스페르스 전쟁의 중요한 인물이었다.

인생

파르마의 교구인 가이나고에서 태어나 볼로냐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했고 파르마의 성당 지부의 성직자가 되었다.

그는 로마 퀴리아에서 교황 인노첸시오 4세 (1243년-1254년)의 목사와 찬송가 (1245년 출석)에서 각본가로 활동하기 시작했다.[1] 는 1277년 4월 30일 사도광복음 감사관(로타 감사관)으로 증명되었다. 추기경으로 승격할 당시 그는 프로토노타리우스 사도교 신자였다.[2]

1278년 3월 12일 구성원의 교황 니콜라스 3세는 9명의 추기경을 탄생시켰고, 그 중 그가 SS. XII 아포톨리의 추기경이라고 이름지은 제라르도 비안치를 만들었다. 1278년 7월 15일, 교황 니콜라스는 프랑스의 필립 3세에게 자신이 헤라르도 추기경을 툴루즈로 보내고 있다고 통지하고, 그곳에서 는 O, 히에로니무스 마시 추기경과 합류할 것이다.카스티야의 알폰소 왕과 평화를 가져오는 데 있어서, OP과 존의 장군.[3][4] 8월 5일, 그는 프랑스에 대한 그의 공사관에서 그가 원하는 어떤 종교적인 질서의 구성원들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받았다.[5] 11월 29일 교황은 두 왕의 뜻에 따라 세 명의 레가테에게 자신의 지시를 수정하여 가스코니에서 모임을 갖도록 하였다.[6] 1279년 6월 9일 교황 니콜라스는 평화 절차에 협조하지 않은 알폰소 왕을 엄벌로 위협했다.[7]

교황 니콜라스 3세(오르시니)는 1280년 8월 22일에 사망하였고, 비에르치 추기경은 1280년 9월부터 비테르보에서 열린 콘클라베에 참가하였다.[8] 니콜라스 3세는 1281년 2월 22일 프랑스 추기경 시몬 드 브리온에 의해 계승되었는데, 그는 마르틴 4세라는 이름을 얻었다.[9]

1281년 4월 12일 성토요일, 교황 마르틴 4세는 7명의 추기경을 새로 창설하고,[10] 제라르도 추기경을 주교 추기경으로 승진시켜 그에게 사비나의 교외지시를 배정하는 콘스탄토리를 열었다.[11]

시칠리아 왕국으로의 레가테

1282년 부활절에 팔레르모에서 발발한 안주왕 찰스(Charles of Anjou)의 섬 지배에 반대하는 반란인 시칠리아 베스페르스는 시칠리아 섬을 뒤흔들었다. 수천 명의 안젤빈과 그 섬의 다른 프랑스 주민들이 학살당했다. 외국인들을 추방한 도시들은 교황 마틴에게 대표자들을 보내 그의 보호 아래 그들을 데려가서 교회의 주권 바로 아래 자유도시로 인정해 달라고 간청했다. 추기경단에 강제로 당선된 찰스 왕의 지지자인 교황은 언제나 거절했다. 그 후 도시들은 아라곤의 페드로 왕에게 도움을 청했다.

1282년 6월 5일, 비안치 추기경은 시칠리아에서 교황령으로 임명되어 왕국을 평정하였다.[12] 8월에 그는 나폴리의 샤를 1세를 대신하여 포위된 메시나로 보내졌으나 아무런 효과도 없었다.[13] 1282년 가을 찰스 왕과 알폰소 왕이 서로의 차이점을 놓고 개인전에 도전하자, 교황 마틴은 찰스 왕에게 편지를 보내 자신의 언더파티를 수행하지 말아 달라고 간청했다.[14]

1283년 다시 시칠리아로 파견되어 시칠리아 베스페르스의 뒤를 이어 그곳에서 반란의 항복을 얻어냈지만, 그의 유일한 성공은 나폴리의 항복을 얻어낸 것이었다.[15] 그는 살레르노의 샤를르의 측근이었지만 로저 로저(Lauria)의 해상력이 캠페인을 좌절시켰다.[16]

1284년 3월에 그는 멜피시에서 만난 시노드를 주재했다. 그 협의회의 통로는 1284년 3월 28일에 공포되었다.[17]

1285년 나폴리의 샤를 1세가 사망하자, 그는 시칠리아 왕국의 섭정을 아르투아의 로버트 2세와 공유하였다.[18] 그러나 실용적인 측면에서 볼 때, 구속 수감된 나폴리의 찰스 2세(전 살레르노 왕자)의 부인인 헝가리의 메리 여왕이 권력을 쥐고 있었다.[19]

그는 여전히 호노리우스 4세 (1285년-1287년) 휘하의 레가테와 리젠트였다.[20] 그는 1288-1289년 시칠리아-남이탈리아(트라니, 메사나)의 레가테로 계속 활동하였다.

프랑스.

1290년 교황 니콜라스 4세를 대신하여 베네데토 가에타니와 함께 외교 사절단으로 프랑스와 아라곤, 영국의 차이를 주로 해결하기 위해 프랑스에 있었다.[22][23] 제라르도 추기경의 파견은 1290년 3월 23일자 교황 니콜라스의 서한에서 필립 4세 국왕에게 발표되었다.[24] 1290년 6월, 그들은 라이온스에 있었고, 그곳에서 라이온스의 대주교와 성당 지부 사이에 논쟁 중인 라이온스 시의 시간적 관할권과 관련된 사건을 판결했다.[25] 10월 초, 그들은 대주교와 카논의 갈등을 해결하려는 의도로 랭스에 도착했다. 분쟁 중에 카논인들은 성당에서의 소송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철회했고, 장기 사용을 금지했었다. 두 추기경은 방문 중 보이콧을 중단했고, 분쟁 해결 명령을 내릴 때 대주교와 캐논스에게 두 추기경의 동상 두 개를 만들도록 요구했는데, 이 동상은 중요한 기념행사가 있을 때 성당의 높은 제단에 전시될 것이다.[26]

이듬해 그와 가에타니는 타라스콘 조약 체결에 참석하여 아라곤 십자군을 결론짓기 위해 협상을 벌였다.[27]

백 인 이탈리아

게라르도 비안치 추기경은 1294년 8월 9일 라티노 말라브란카 오르시니 추기경이 사망한 이후 신성한 추기경단 단장이었다. 그러나 'Dean'이라는 호칭은 시대착오적이다. 동시대인들은 그를 'Prior Coporum'이라고 불렀을 것이다. 1297년 S를 기리기 위해 제단을 봉헌하였다. 라테란 바실리카의 마리아 막달렌.[28] 그는 또한 라테란 바실리카 대성당(ca. 1299년-1302년)의 대주교였다.

1298년 4월 13일 교황 보니파스 8세 (1294년 ~ 1303년)는 S. 마르틴 드 보지스 (S. 마르티노 드 보치)를 기리기 위해 고향인 파르마에서 시스테르시아인들을 위한 수도원을 찾겠다는 계획을 수행하도록 제라르도 추기경에게 허락을 내렸다.[29] 1298년 10월 3일, 교황은 아직 파르마 근처에 수도사나 S. 레오나르도의 프리리오가 없는 게라르도 추기경의 수도원에 허가했다.[30]

1299년 7월 17일부터 1302년 1월 14일까지 제라르도 비안치 추기경은 다시 시칠리아 왕국으로의 레가테였다.[31] 추기경은 1299년 7월 20일 보니파스 8세에 의해 전권을 가진 시칠리아에서 레가테로 임명되어 다시 군림하게 되었다. 그가 맡은 임무는 시칠리아의 프레데릭 3세와 그의 반군들을 로마교회와 화해시키는 것이었다.[32] 그는 즉시 그의 임무를 어떻게 완수할 것인가에 대한 조언과 명령의 편지를 받았다.[33] 또한 S의 후배 추기경인 란돌포 브란카치오(Landolfo Brancacio)를 임명받았다. 페체리아에 있는 안젤로, 그의 일을 돕기 위해.[34] 1300년 2월 1일, 교황이 항의 서한을 보내는 레가테로 다시 등장하는 제라르도 추기경은 나폴리 샤를 2세의 어린 아들인 타란토의 왕자 필립이 교황 금지를 위반하여 메사나 해협을 건넜다.[35]

1302년 3월 1일 로마에서 사망하였고, 라테란 대성당에 안장되었다.[36]

참고 문헌 목록

  • S. 세그뮐러, 디 테티그케이트와 스텔룽 데르 카르디나젤 비스 파프스트 보니파즈 8세, 역사학캐논리스티슈 Untersticisch Unter such unttersuch und dargestellt (Freiburg I. B. 1896).
  • 베른하르트 파블리키, 파프스트 호노리우스 4세 아인 모노그래피(Minster 1896).
  • 오토 쉬프, 스터디엔 수르 게시히테 파프스트 니콜라우스의 4세 (베를린 1897년) (히스토리스체 스터디엔 5년)
  • 하인리히 핀케, 아우스타겐 보니파즈 8세. 펑드 und 포르스춘겐 (Münster I. W. 1902)
  • O. 카르텔리에리, 피터 아라곤은 시질리아니스체 베스퍼(Hielberg 1904년)를 죽는다.
  • R. 스턴펠드, "다스 콘클라브 폰 1280 und die Wahl Martins IV. (1281), 미테일룽겐 데스 인스티튜트 퓌르 외스테라이시체 게시치츠포르스충 21(1910), 페이지 1-53.
  • E. H. Rohde, Der Kampf um Sizilien in Den Jahren 1291-1302 (베를린과 라이프치히 1913)
  • 피터 허드, 콜스틴 V (1294년) (피터가 모로네를 토함): 데르 엥겔파파(Stuttgart, 1981년).
  • 스티븐 런시먼(1960), 시칠리아 베스퍼스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참조

  1. ^ 피터 허드, "비안치, 게라르도", 디지오나리오 비오그라피코 데글리 이탈리아어 10 (1968년)
  2. ^ 콘라두스 에벨, 위계리시아 카톨리카 메디 아에비 1세 편집자 아르테라(Monasteri 1913), 페이지 10, n. 1. 로렌초 카르델라, 암기자의 추기경 산타 로마나 치사 2세(Roma 1793), 페이지 16.
  3. ^ 1279년 5월 16일, 히에로니무스 추기경이 로마에 돌아왔고, 프랑스인 총서인 포타스트 2세, 21582호에 참석할 수 없을 정도로 병세가 악화되었다.
  4. ^ 아우구스투스 포타스트, 레게스타 폰티프쿰 로마노룸 2세(베를린 1875), 21359호. 아우구스티누스 티이너(ed.), 시저리스 바론리 S.R.E. 추기경 안날레스 에클레시아스티치 토머스 22(Bar-le-Duc 1870), 1278년, § 24, 페이지 424.
  5. ^ 포타스트 2호, 21386호.
  6. ^ 포트스타스 2호, 21488-21490호
  7. ^ 포타스트 2호, 21598호.
  8. ^ 1280년 9월 Sede Bullete and Conclave of 1281년 2월(Dr. J. P. Adams)
  9. ^ 1754-1756페이지.
  10. ^ 콘라두스 에우벨, 위계리 카톨리카 메디 아에비 1세 편집기 (Monasteri 1913), 페이지 10.
  11. ^ 루도비코 안토니오 무라토리, 르룸 이탤리카에 각본 토머스 3타수 1타(밀란 1723), 페이지 609.
  12. ^ Les Registres de Martin 4세 (파리 1901), 페이지 101, 번호 270. 런시먼, 245페이지
  13. ^ 런시먼, 페이지 247–8.
  14. ^ 아우구스투스 포타스트, 레게스타 폰티프쿰 로마노룸 2세(베를린 1875), 21955호.
  15. ^ 데이비드 샌더슨 챔버스, 교황, 추기경 전쟁: 르네상스와 초기 현대 유럽(2006년), 22페이지, 구글 북스.
  16. ^ 런시먼, 페이지 270.
  17. ^ J. D. Mansi, Sacrorum Conciliorum nova et amplissima collectio Vol. 24 (Venice 1780), pp. 569-576. P. Herde, "Die Legation des Kardinalbischofs Gerhard von Sabina während des Krieges der Sizilischen Vesper und die Synode von Melfi (28 März 1284)," Rivista di storia della Chiesa in Italia 21(1967), pp. 1-53.
  18. ^ 아우구스투스 포타스트, 레제스타 폰티쿰 로마노룸 2세 (Berlin 1875년) No. 22213 (1285년 2월 16일) 필립 그리슨, 루시아 트라바이니, 중세 유럽 코인지: 피츠윌리엄 박물관, 캠브리지, 14권(1999), 217쪽, 구글 북스동전의 카탈로그가 있다.
  19. ^ 재니스 엘리엇, 코델리아 워르, 산타 마리아 도나 레지나 교회: 14세기 나폴리에서의 예술, 우상화, 후원자(2004년), 페이지 46, 구글 북스.
  20. ^ 포타스트 22499 (1286년 7월 15일) 아우구스티누스 티이너(에디터), 카이사리스 S. R. E. 추기경, 오드. 레이날디 외 자크 라데르치이 안날레스 에클레시아스티치 토머스 비게시무스 테르티우스 1286-1312(바리두시스: 루도비쿠스 게린(1871년), 1286년, § 15, 페이지 5-6.
  21. ^ E. 랭글로스, 레지스트레스 니콜라스 4세, I, 406호, 페이지 72호, 617-618호, 706-707호(1289년 3월 19일), 포타스트 22630호(1288년 4월 1일)
  22. ^ 카타니는 카디널스 대학과 로마 퀴리아에 대한 프랑스의 관심을 변함없이 지지했다. Finke, Aus den Tagen Bonifaz 8세, 페이지 11-12.
  23. ^ W. Vanhamel, Gent의 Henry: 사망 700주년 기념 국제 콜로키움 진행 (1293년), 페이지 386; 구글 북스. 하인리히 핀케 "다스 파리에르 내셔널콘질 1290을 토해낸다. Ein Beitrag Jur Geschichte Bonifazz 8세 랑데 Pariser Universitet" 뢰미셰 Quartalschrift für christliche Altttumskünde und für Kircheneschicht 9(1895년), 172년-182년. Finke, Aus den Tagen Bonifaz 8세, 페이지 9-24.
  24. ^ 포트캐스트, II, 23225; cf. 23246.
  25. ^ E. 랭글로스(편집자), 니콜라스 4세 토메 3세(파리 1892), 번호 6949-6950, 페이지 929.
  26. ^ 아고스티노 팔라비치니 바글리아니, 교황의 몸 (시카고 2000), 222-223쪽.
  27. ^ 루이지 토스티 (Eugene Joseph Donnelly, 번역가), 교황 보니파스 8세와 히스 타임즈의 역사 (1998년), 54–55 페이지; archive.org.
  28. ^ 빈첸초 포셀라, 인프레트리시오니 델레 치세 로마 8세 (로마 1876년), 15페이지 17번. 그는 'Gerardus de Parma, 성공회 사비넨시스'라고 불린다.
  29. ^ 포타스트, 2번, 24657-24658번 레오폴트 자나우셰크, 오리진움 시스테르시엔시움 1권(비엔나: Alfred Hoelder, 1877), 267 no. DCXCIII.
  30. ^ 포타스트, 2번, 24731번
  31. ^ Conrad Eubel, Aergitia catholica medi aevi I, editio altera (Monasteri 1913), 페이지 10n. 1.
  32. ^ 레지스트레스보니파이스 8세, 번호 3359-3392.
  33. ^ 레지스트레스보니파이스 8세, 번호 3393-3401번.
  34. ^ 3402-3404번 레기스트레스보니파이스 8세
  35. ^ 포타스트, 2번, 24903번.
  36. ^ 로렌초 카르델라, 암기지의 추기경 델라 산타 로마나 치사 2세 (로마 1793) 페이지 17. 빈첸초 포셀라, 인프레트리시오니 델레 치세 로마 8세 (로마 1876년), 17페이지 20번.

외부 링크

  • Miranda, Salvador. "BIANCHI, Gerardo (ca. 1220/1225-1302)".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OCLC 53276621.
  • CERL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