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인 누타치
Giant nuthatch거인 누타치 | |
---|---|
![]() | |
태국의 지상에 있는 명목상의 아종인 시타 마그나 마그나(Sitta magna magna)의 개인이다. | |
과학적 분류 ![]() | |
왕국: | 동물계 |
Phylum: | 척색 동물문. |
등급: | 조류 |
주문: | Passeriformes |
패밀리: | 씨티과 |
속: | 시타 |
종: | S. 마그나 |
이항식 이름 | |
시타마그나 램지, 1876년 | |
![]() | |
거대 뉴타치 분포 |
거대한 뉴타치(Sitta magna)는 시타과에 속하는 새의 일종이다.그것은 길이가 19.5 cm (7.7 in)인 nuthatch들 중 가장 크다.그것은 푸르스름한 회색이며, 앞면(왕관부터 위쪽 등)은 밝은 회색으로, 뒷면의 어두운 나머지 부분과 대조된다.그 새는 매우 두꺼운 두 개의 검은 눈썹 선과 옅은 회색 밑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하얀 뺨과 목구멍을 가지고 있고, 배 한 개 정도는 버프와 계피로 씻겨져 있다.네오타치는 긴 부리와 꼬리를 가지고 있다.암컷은 더 둔한 눈매와 왕관, 네프, 그리고 등 아래쪽 사이의 대비를 덜 하는 윗부분으로 수컷과 구별할 수 있다.호출은 강력하고 단순한 패턴의 반복으로 이루어진다.이 종은 나무의 줄기와 가지, 특히 소나무에서 먹이를 채취하고 곤충과 열매를 잡아먹는다.3월경 나무 구멍에 둥지를 틀고 입구를 가리지 않고 둥지를 틀며 둥지에는 새끼가 3마리 정도 있다.
이 거대한 뉴타치는 중국 남서부에서 미얀마, 태국 북서쪽, 그리고 아마도 라오스의 북서쪽 먼 곳에 분포한다.그것의 위도 분포는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중국의 경우 1000m에서 최소 3350m(132,000인치)까지 다양하다.솔밭, 특히 산등성이에 있는 벤게트 파인즈(피누스 케시야)는 참나무-체스넛 숲 사이에 있다.S. m. 마그나와 S. m. 리게아라는 두 아종이 구별되는데, 주로 부리의 길이와 폭이 다르다.거대한 뉴타치는 서식지의 파괴로 위협을 받고 있으며, 매우 국지적이다.개체수가 평가하기 어렵고 과대평가된 것으로 보여 2013년 국제자연보전연맹(International Union for Natures)이 '취약성'에서 '멸종위기성'으로 지위를 변경했다.
분류학
이 거대한 뉴타치는 1876년 영국의 자연주의자 로버트 램지에 의해 현재의 이항명인 시타 마그나로 묘사되었다.[2]한스 에드먼드 울터스는 1975~1982년 시타속(Sitta)을 소제네라(Subgenera)로 분할할 것을 제안했다.거대한 뉴타치는 시타(시타)에 위치한다(리네우스, 1758).[3]국제 조류학회의와 앨런 P에 따르면, 피터슨, 두 개의 아종이 있다.[4][5]
- 1938년 미국의 조류학자 허버트 기턴 디그난이 리장에서 채집한 성인 남성으로부터 묘사한 S. m. 리게아(Deignan, 1938년)는 중국 중남부에 분포한다.[6][4]
- 명목상의 아종인 S. m. m. magna(람세이, 1876년)는 카야 주([7][8]미얀마 주), 중앙 미얀마, 중국 남부, 태국 북서부의 유형 물질에서 설명된다.[4]
S. m. 리게아는 명목상의 아종보다 평균 4 mm 짧고 횡방향으로 더 가느다란 지폐를 가지고 있지만, 이 두 아종은 아마도 윈난에서 중간 등급일 것이다.[9]
이 종과 다른 뉴시치의 관계는 오랫동안 불분명했다.미국 조류학자 찰스 시블리와 버트 먼로의 푸른 누타치(S. 아즈레아)와 아름다운 누타치(S. 포모사)와 비슷하다고 생각되었지만, 후자의 두 종은 대부분 열대성이고 밝은 색이다.사이먼 해랩은 이 거대한 뉴타치를 유라시아누타치(S. europaea)와 그것의 팔레스타치 종 콤플렉스와 연결시킬 것을 제안했다.[10]2014년 에릭 파스케와 동료들은 뉴타치 21종의 핵·미토콘드리아 DNA를 기반으로 한 유전체를 발표했다.거대한 뉴타치는 그 후 백양자 누타치(S. carolinensis, S. carolinensis)와 관련이 있는 반면, 후자의 종은 형태학적 문자에 의해 프르제발스키의 뉴타치(S. przewalski)와 연관되어 있었는데, 이 것은, 그러나 시타속에서는 완전히 기저로 보인다.[11]
아래의 단순화된 클래도그램은 Packert 및 동료의 계통 생성학적 분석에 기초한다(2014).[12]
| ||||||||||
| ||||||||||
설명

그것들은 짙은 청록색이며, 왕관, 네잎, 윗 맨틀은 훨씬 옅은 회색이며, 다소 검은 줄무늬가 있으며, 성별에 관계없이 개인들 사이에 다양하다.왕관은 맨틀의 꼭대기까지 뻗은 두 개의 두꺼운 검은색으로 액자에 씌워져 있다; 옆모습으로 보면, 그 새는 심지어 검은 머리를 가진 듯한 인상을 줄 수 있다.그것들은 옅은 회색이며, 뺨과 목이 거의 하얗고, 배는 시나몬으로 다소 씻겨진다.밑단 커버는 루퍼스하며, 흰색 점이 크다.[13]홍채는 갈색 또는 헤이즐로, 지폐는 검은색이며, 하등 라이터, 푸르스름한 흰색 또는 푸르스름한 라일락 반을 가지고 있다.발과 발가락은 회백색의 슬레이트, 녹색의 갈색 또는 연한 노란색의 슬레이트 갈색이며 뿔색, 짙은 갈색 또는 회색의 슬레이트 발톱이다.[9]
성적 이형성증이 있다: 수컷은 깊은 검은 안구 스트립(예상적으로 윤이 나는 푸른색)과 오프-흰색 볼과 목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나머지 아랫부분은 창백한 회색에서 옅은 회색으로 배와 통풍구 중앙에 약간의 완충 색조가 있다.암컷의 윗부분도 수컷의 윗부분과 다소 차이가 있는데, 목덜미와 맨틀의 윗부분은 버프가 살짝 배어 있고 맨틀의 아랫부분은 수컷보다 가벼워, 나팔과 대비를 적게 한다.이 어린이는 암컷과 닮았지만 왕관 미늘이 있고, 윗부분은 푸른색보다 회색이며, 눈 이목구비가 더 둔하다.[13]겉옷에는 따뜻한 갈색의 프링글이 달려 있고, 날개깃은 어른의 깃털이 털링으로 닳아 없어지면 신선하다.[13][9]성인은 5월 초순에 번식기가 지나면 풀몰트를, 11~12월에 번식기가 되기 전에는 부분몰트(특히 목과 나페)를 겪는다.[9]
이 거대한 뉴타치는 길이가 19.5cm(7.7인치)로 뉴타치 중 가장 크다.[13]그것의 큰 크기는 거대 누타치를 상당히 독특하게 만들지만, 이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밤발 누타치(Sitta Nagaensis)와 혼동할 위험이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는 비록 붉은 색의 옆구리와 훨씬 작은 검은 색 안구 스트립을 가지고 있고, 나머지 윗부분보다 칼로트와 윗 맨틀이 가볍지 않다.[13]윈난 누타치(S. winnensis)는 윈난 남부의 자이언트 누타치와 같은 서식지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훨씬 작으며, 눈썹이 흰색이다.[14]
생태와 행동
발성
거대한 뉴타치는 우렁찬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9]흔히 코르비드, 특히 유라시아 까치(Pica pica)의 수다를 연상시키는 소리지르는 울음소리를 내는데, 이는 영문학에서 gd다다다, dig-er-up 또는 get-up으로 다양하게 번역되어 빠르게 반복되는 세 가지 거친 음으로 구성되어 있다.때로는 이 수다스러움이 더욱 정교하고 멜로디하여, 첫 음이 마르지 않고 마지막 음이 강하고 따끔거리는 키드르 구나 게데 구에서 일련의 모티브가 되기도 한다.음표도 거칠어질 수 있고, 일부 게임새의 부름을 연상시키는 반복적인 구-드-드-드-드-드르(gu-dr, gu-dr)가 될 수 있다.거대한 뉴타치에도 어린아이의 트럼펫 소리를 연상시키는 나아콜이 있다.그 노래는 맑고, 휘파람을 불거나, 계속 불규칙한 간격으로 반복되어 그 노래를 연상시키지만, 더 크게 나무 개구리의 소리일 수 있다.[13]
행동과 식이요법
거대한 뉴타치는 대부분의 다른 뉴타치들과 마찬가지로, 특히 자주 뒤집히지만, 일반적으로 작은 종의 속보다 덜 동요한다.주로 짧은 거리를 직선으로 날며 윙비트를 휘날리며 한 가지에서 다른 가지로 떨어지면서 나비처럼 넓은 날개가 보인다.더 먼 거리에서는 나무딱따귀를 연상시키는 축 처진 비행을 한다.이 nuthatch는 보통 혼자서 또는 쌍으로, 보통 소나무로 검색한다.[9]그것은 보통 줄기와 큰 가지를 탐험하지만, 곤충을 위해 더 얇은 나뭇가지 위에서 사냥하는 것이 관찰되었다.[9][15]위 내용물에 대한 연구는 식이요법이 딱정벌레, 레피도프테라, 개미와 같은 열매와 절지동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5]
사육
거대 뉴타치의 재생산에 관한 자료는 매우 단편적이다.1933년 4월 4일, 남부 샨 주(州)에서 어리고 반신반의하는 세 마리의 둥지가 발견되었다.그것은 나무 줄기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구멍에 위치해 있었고, 개구부는 지상 2m 이상 위에 하늘을 향했고, 다른 뉴타치처럼 진흙으로 찔리지 않았다.1983년 4월 8일, 태국 북서부에서 3마리의 부화한 새끼가 있는 또 다른 둥지가 발견되었다.높이 8m, 두께 25cm 정도의 속이 빈 오크나무에 위치해 있었고, 둥지 입구는 땅에서 약 3m 떨어진 곳에 있었다.[9][15][16]1998년, 태국에서 또 다른 둥지가 보고되었는데, 3월 말에 벤게트 소나무의 몸통에서 발견되었고 부화한 새끼가 들어 있었다.[15]
분포 및 서식지

이 거대한 뉴타치는 주로 소나무 숲을 감상하지만, 작은 나무에서 다른 나무로 먹이를 찾아다니며 더 개방적인 환경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태국에서는 참나무 숲과 밤나무 숲 가운데에서 발견되는데, 이 가운데 산등성이 꼭대기에는 성숙한 대형 벤게트 파인(Benguet Pine)이 자주 발견된다.It lives at medium to high altitudes: in China, it generally inhabits forests well above 1,000 m (39,000 in), up to at least 3,350 m (132,000 in); in Myanmar, it is reported from 1,220 m (48,000 in) to 1,830 m (72,000 in), and in Thailand from 1,200 m (47,000 in) to 1,800 m (71,000 in).[17]
이 거대한 뉴타치는 중국 중남부에서 태국 북서부에 걸쳐 서식한다.[4]중국에서는 북쪽, 남부 쓰촨과 구이저우(특히 싱이)에서 발견된다.더 남쪽으로 종은 윈난의 큰 지역에 살고 있으며, 북쪽의 율롱산과 리장으로부터 솽바이와 마일의 시안인 달리바이족 자치주, 그리고 남쪽의 다이족 자치주까지 살고 있다.미얀마에서는 샨 주의 많은 부분에 서식하며, 만달레이 지역의 모곡 언덕에서 북서쪽으로, 마이킨야도를 중심으로 중서부에서, 남쪽에서 나트 타웅 산에서 분포가 끝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1950년 이후 보고가 더 드물어졌고, 이 나라의 종의 분포가 줄어들었을지도 모른다.[15][18]그것은 이웃한 미얀마와 윈난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아마도 라오스의 북서쪽 극지방에 존재할 것이다; 2013년에, 이 종을 유치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서식지에서 행해진 검색은 성공하지 못했을 것이다.[18]마침내 태국의 북서쪽에 살고 있으며, 특히 도이앙캉, 도이파홈폭, 도이치앙다오, 도이쿤탄산, 럼남파이 야생동물 보호구역, 매홍손 등에서 보고되어 왔다.[17]1980년대 초 도이 인타논에서 보고되었지만, 이 산에는 이 종과 관계가 있어 보이는 큰 소나무 숲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밤나무로 만든 누타치(S. 나가엔시스)와 혼동될 수 있다.[15]1960년대에 있었던 태국의 도이 수텝푸이 국립공원에서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9]
보존 및 위협
이 종은 미얀마에서 "희귀하지 않다"고 설명되어 왔으나 1950년 이후 기록이 감소했는데, 이는 그 범위가 감소했음을 나타낼 수 있다.거대한 뉴타치는 중국에서 드물게 인구가 감소하고 있지만 윈난에서는 상당히 확립되어 있다.대부분의 숲에서 대규모 벌목이 금지되었지만, 소나무 송진과 땔감을 위한 벌목은 고목 파괴의 주요 원인으로 남아 있다.[18]태국에서는 드물고 특히 국지적이다.1800m(7만1000여 in) 이하의 이 나라에서 발견되는데, 대부분의 서식지가 경작과 땔감용으로 파괴되고 있는 소나무가 주로 대상이다.[19]이 거대한 뉴타치는 전에 살아있는 동물 시장에서 목격된 적이 있지만 밀렵은 한계적인 위협일 가능성이 있다.반면 윈난이 2013년 이전에 겪었던 4년간의 가뭄은 이 종의 생식 성공률을 떨어뜨렸을 가능성이 크다.[18]
윈난에는 800~2000명의 성숙한 개인이 있는데, 이는 기록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가장 큰 하위 인구에서 성숙한 개인은 6~50명에 불과하다.전 세계 인구는 총 1,500~3,800명으로 구성되며, 그 중 1,000–2,499명이 성숙하다.이 종은 2012년 국제자연보전연맹(International Union for Nature of Nature)에 의해 '취약성'으로 여겨졌으나, 그 수가 이전에 추정되었던 것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2013년에는 거대한 뉴타치가 '멸종위험성'으로 간주되었다.[1][20]게다가, 인구는 아마도 감소하고 있고 점점 더 분열되고 있을 것이다.[18]2009년 한 연구는 두 가지 시나리오를 모델링하여 기후 변화가 아시아의 여러 종의 뉴타치 분포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예측하려고 노력했다; 거대한 뉴타치 분포는 2040년에서 2069년까지 18.0에서 24.0%로 감소할 수 있었다.[21]
이 종은 중국과 태국의 많은 보호 지역에 존재하며, 2007년 윈난에 대중 인식 프로그램이 설립되었다.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은 이 종을 더 잘 보호하기 위해 거대한 뉴타치의 정확한 분포, 개체수, 서식지에 대한 추가 연구를 제안한다.후자의 보호가 특히 중요하며, 건강한 소나무 받침대 가운데 보호구역을 설정하고 이들의 착취를 통제할 필요가 있다.[18]
참조
- ^ a b BirdLife International (2020). "Sitta magna".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0: e.T22711228A177660236. doi:10.2305/IUCN.UK.2020-3.RLTS.T22711228A177660236.en. Retrieved 12 November 2021.
- ^ Peters, James Lee (1967). Raymond A. Paynter Jr. (ed.).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Vol. XII. Museum of Comparative Zoology. p. 144. OCLC 605148103.
- ^ Matthysen, Erik (2010). The Nuthatches. London: A & C Black. ISBN 978-1-4081-2870-1. OCLC 727646681.
- ^ a b c d "Nuthatches, Wallcreeper, treecreepers, mockingbirds, starlings, oxpeckers – IOC World Bird List". IOC World Bird List – Version 11.2. Retrieved 26 Dec 2021.
- ^ "World Birds Taxonomic List: Genera and species with citations". Zoonomen Nomenclature Resource Page. 1 Mar 2002. Retrieved 26 Dec 2021.
- ^ Deignan, Herbert Girton (1938). "A new nuthatch from Yunnan". Smithsonian Miscellaneous Collections. 97: 1–2.
- ^ Wardlaw Ramsay, Robert George (1876).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Vol. XII.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pp. 676–677. OCLC 755254041.
- ^ Peters, James Lee (1967). Raymond A. Paynter Jr. (ed.).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Vol. XII. Museum of Comparative Zoology. p. 128. OCLC 1041806638.
- ^ a b c d e f g h i Harrap, Simon (1996). Christopher Helm (ed.). Tits, Nuthatches and Treecreepers. Illustrated by David Quin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171. ISBN 0-7136-3964-4.
- ^ Harrap, Simon (1996). Christopher Helm (ed.). Tits, Nuthatches and Treecreepers. Illustrated by David Quin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171–172. ISBN 0-7136-3964-4.
- ^ Pasquet, Eric; Barker, F. Keith; Martens, Jochen; Tillier, Annie; Cruaud, Corinne; Cibois, Alice (April 2014). "Evolution within the nuthatches (Sittidae: Aves, Passeriformes): molecular phylogeny, biogeography, and ecological perspectives". Journal of Ornithology. 155 (3): 755–765. doi:10.1007/s10336-014-1063-7. S2CID 17637707.
- ^ Pasquet, Éric; Barker, F Keith; Martens, Jochen; Tillier, Annie; Cruaud, Corinne & Cibois, Alice (April 2014). "Evolution within the nuthatches (Sittidae: Aves, Passeriformes): molecular phylogeny, biogeography, and ecological perspectives". Journal of Ornithology. 155 (3): 755. doi:10.1007/s10336-014-1063-7. S2CID 17637707.
- ^ a b c d e f Harrap, Simon (1996). Christopher Helm (ed.). Tits, Nuthatches and Treecreepers. Illustrated by David Quin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169. ISBN 0-7136-3964-4.
- ^ Harrap, Simon (1996). Christopher Helm (ed.). Tits, Nuthatches and Treecreepers. Illustrated by David Quin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143. ISBN 0-7136-3964-4.
- ^ a b c d e f "GIANT NUTHATCH Sitta magna". Birdbase. Retrieved 2 January 2020.
- ^ D. Round, Philip (1983). "Some recent bird records from northern Thailand". Natural History Bulletin of the Siam Society. 31: 123–138. Retrieved 2 January 2020.
- ^ a b Harrap, Simon (1996). Christopher Helm (ed.). Tits, Nuthatches and Treecreepers. Illustrated by David Quin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170. ISBN 0-691-01083-8.
- ^ a b c d e f "Giant nuthatch (Sitta magna) - BirdLife species factsheet". BirdLife International. Retrieved 2 January 2022.
- ^ Harrap, Simon (1996). Christopher Helm (ed.). Tits, Nuthatches and Treecreepers. Illustrated by David Quin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170–171. ISBN 0-7136-3964-4.
- ^ K. Charonthong & N. Sritasuwan (2009). "Behavior of the Giant Nuthatch (Sitta magna)". Research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4 (11): 1142–1147.
- ^ Menon, Shaily; Islam, Zafar-ul; Peterson, A. Townsend (2003). "The Raffles Bulletin of Zoology". Projected climate change effects is nuthatch distribution and diversity across Asia. Vol. 57. pp. 569–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