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Gyeonggi Province경기도 경기도 | |
---|---|
한글 필사본 | |
• 한글 | 경기도 |
• 한자 | 京畿道 |
• 로마자 표기법 개정 | 경기도 |
• 맥쿠네라이샤워 | 경기도 |
![]() | |
좌표: 37°30'N 127°15'E / 37.500°N 127.250°E/ | |
나라 | ![]() |
지역 | 서울캐피탈 |
자본의 | 수원 |
세분류 | 28개 시, 3개 군 |
정부 | |
• 주지사 | 김동연 (민주적) |
• 입법부 | 경기의회 |
지역 | |
• 토탈 | 10,184 km2 (3,932 sq mi) |
• 랭크 | 5일 |
인구. (2020년 인구조사) | |
• 토탈 | 13,511,676 |
• 랭크 | 첫 번째 |
• 밀도 | 1,327/km2 (3,440/sq mi) |
지방 기호 | |
• 꽃 | 개나리 |
• 나무 | 은행 |
• 새 | 도브 |
GDP | |
• 토탈 | KR ₩ 547조 4,380억 달러(2022년) |
ISO 3166 코드 | KR-41 |
사투리 | 경기 |
블로그 | 공식블로그 |
웹사이트 | 공식 홈페이지 (영어) |
경기도 (한국어: 경기도, 한국어 발음:[kj ʌ̹ŋ.ɡi.do ̞])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방입니다.
우리나라 최대의 도시이자 수도인 서울은 이 지역의 중심에 있지만 1946년부터 지방급 특별시로 별도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인 인천은 도의 해안에 있고 1981년부터 도 단위의 광역시로 비슷하게 관리되고 있습니다. 3개의 관할 구역은 총칭 수도권으로 11,730km2 (4,530 평방 마일)에 달하며, 총 인구는 2,600만 명 이상이며, 2020년 인구 조사에서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50.25%)에 달합니다.
어원
그것의 이름인 경기는 "수도인 京와 畿(주변 지역)"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경기도는 "서울과 서울의 주변 지역"이라고 번역할 수 있습니다.[citation needed]
역사
경기도는 삼국시대에 한국이 삼국으로 나뉘었던 기원전 18년 이래로 정치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습니다. 백제(삼국의 하나)의 시조 온조왕이 하남 위례성에 정부를 세운 이후, 한강 계곡은 5세기 중반에 고구려에 흡수되었고, 553년(진흥왕 14)에 신라의 영토가 되었습니다.[nb 1] 이후 후대 신라의 9개 주 중 하나인 경기도의 현재 위치를 한산주라고 불렀습니다.
경기지역은 고려 태조가 개성에 도읍을 마련하면서 고려의 중심지역으로 부상하기 시작했습니다. 1018년(고려 현종 9)부터 이 지역은 공식적으로 "경기"라고 불렸습니다.

고려 이후 건국된 조선 시대에 조선 태조는 한양에 도읍을 정하고, 경기 지역을 동남 지역과 함께 광주, 수원, 여주, 안성 등으로 개편했습니다. 태종과 세종 때부터 경기지역은 지금의 경기도 행정구역과 매우 유사했습니다.
1895년에 행정 구역을 개편한 23부제가 시행되었습니다. 경기 지역은 한성(현대 서울), 인천, 충주, 공주, 개성으로 구분되었습니다.
일제 강점기에 한성부는 경기도에 편입되었습니다. 1910년 10월 1일에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게이조로 개칭되고 도청이 게이조에 놓였습니다.
광복과 건국 이후 경기도와 수도 서울은 분리되었고, 그 후 1946년 경기도의 일부 지역이 서울로 통합되었습니다. 또한, 현재 북한 황해북도의 일부인 38도선에서 나라들이 나뉘면서 개성은 북한의 영토가 되었고, 통제권을 바꾼 유일한 도시가 되었습니다.
1967년 경기도청 소재지가 서울에서 수원으로 이관되었습니다. 1981년 인천이 경기도에서 분리된 뒤 1995년 옹진군, 강화군 등 경기지역이 인천으로 편입됐습니다.
지리학
경기도는 한반도의 서중부권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경 126도에서 127도 사이, 북위 36도에서 38도 사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면적은 한국 영토의 10%, 10,171 평방 킬로미터(3,927 평방 킬로미터)입니다.[2] 북쪽으로는 86km(53마일)의 휴전선, 서쪽으로는 413km(257마일)의 해안선, 동쪽으로는 강원도, 남쪽으로는 충청북도와 충청남도와 접하고 있으며, 중앙에는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이 있습니다. 도청 소재지는 수원이지만, 북부 지역의 행정 편의를 위해 일부 청사는 의정부에 있습니다.
기후.
경기도의 기후는 대륙성 기후로 여름과 겨울에 기온의 분화가 심하고 사계절 구분이 있습니다. 봄은 따뜻하고 여름은 덥고 습하고 가을은 시원하고 겨울은 춥고 눈이 옵니다. 연평균 기온은 11~13°C(화씨 52~55°F)로, 북동쪽은 산지의 기온이 낮고 남서쪽은 해안 지역이 더 높습니다. 1월 평균 기온은 경기만이 -4°C(25°F), 남한강 유역이 -4~-6°C(25~21°F), 북한강 유역과 임진강 유역이 -6~-8°C(21~18°F)입니다. 해안에서 내륙으로 갈수록 기온의 분화가 심해지고 더 높아집니다. 여름은 겨울에 비해 국지적인 차별성이 낮습니다. 내륙 지역은 경기만 지역보다 더 덥고, 가장 더운 지역은 평택으로 8월 평균 기온이 26.5℃(79.7℃)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연평균 강수량은 약 1,100밀리미터(43인치)로 강수량이 많습니다. 여름에는 비가 오고 겨울에는 건조합니다. 북한강 동북 내륙과 임진강 상류 지역의 강수량은 1,300~1,400mm(51~55인치)인 반면 해안 지역의 강수량은 900mm(35인치)에 불과합니다.
자연과 국립공원
경기도의 지형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한강에 의해 남쪽과 북쪽으로 나뉩니다. 한강 북쪽 지역은 산지가 주를 이루는 반면, 남쪽 지역은 평야지대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경기도의 구성은 동고서저(동고서저, 동고서저)로 대표되는데, 동고서저는 광주산맥과 차령산맥이 동쪽에서 뻗어 서쪽에서 고도가 떨어집니다. 김포, 경기, 평택의 들판이 서쪽으로 뻗어 있습니다.
경기도의 자연환경은 강, 호수, 산, 바다를 포함합니다.[citation needed] 황해로 유입되는 한강, 임진강, 안성천Fg(개천) 등이 대표적인 하천으로 경기평야, 연백평야, 안성평야 등이 하천 주변에 비옥한 밭 지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경기도에는 광주산맥과 차령산맥이 중국 쪽으로 뻗어 있습니다. 광주산맥의 명지산(1,267m(4,157피트), 국망봉(1,168m(3,832피트), 용문산(1,157m(3,796피트) 등 1,000m를 넘는 산들이 대부분입니다. 이 곳은 화강암이 발달한 지역으로, 화강암의 박락 효과로 인해 이상한 모양의 절벽과 깊은 계곡으로 가득합니다. 차령산맥은 경기도와 충청북도의 경계를 이루고 있지만 비교적 고도가 낮은 구릉지대입니다.
경기도에는 의정부에 북한산 국립공원이 있습니다. 도립공원으로는 축령산 자연휴양지, 남한산성 도립공원, 가평 연인산 도립공원, 물향기 수목원 등이 있습니다. 목록 외에도 동두천 소요산, 양평 용문산, 안양과 과천 관악산 등 잘 알려진 산의 풍경과 한강, 임진강 등이 경기도의 관광지입니다.
- 385m의 바위산 모락산.
인구.
연도 | Pop. | ±% p.a. | ||
---|---|---|---|---|
1960 | 2,748,765 | — | ||
1980 | 3,703,761 | +1.50% | ||
1990 | 6,050,943 | +5.03% | ||
2000 | 8,984,134 | +4.03% | ||
2010 | 11,379,459 | +2.39% | ||
2015 | 12,479,061 | +1.86% | ||
2020 | 13,511,676 | +1.60% | ||
| ||||
출처: 도시인구[3] |
경기도는 대한민국의 근대화와 도시화로 인해 급격한 인구 증가를 보이고 있습니다. 인구는 1960년 2,748,765명에서 1980년 3,703,761명, 1990년 6,050,943명, 2000년 8,984,134명, 2010년 11,379,459명, 2020년 13,511,676명으로 증가했습니다.
2010년에는 4,527,282가구가 있었고, 가족당 평균 3명이었습니다. 남자는 6,112,339명, 여자는 5,959,545명이었습니다. 인구밀도는 1,119명/km로2 전국 평균 486명/km의2 거의 두 배에 달했습니다.
두 광역시(서울과 인천)를 제외하면 2010년 기준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은 수원(110만4681명)으로 고양(107만6179명), 성남(99만6524명), 용인(89만1708명), 부천(89만875명), 안산(75만3862명) 순입니다. 2010년 인구가 가장 적은 지역은 연천군(45,973명)이었고, 가평군(59,916명), 양평군(72,595명)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경제.
경기도는 제조단지의 서울의 중추로서 중공업(전자, 기계, 중화학공업, 철강), 경공업(방직), 농·축·수산업 등이 골고루 발달되어 있습니다. 최근 고임금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경제에서 제조업 비중이 줄었습니다. 경기도는 전통적인 산업구조를 개선하고 현대화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그 결과 U-JIN Tech Corp와 같은 혁신적인 중소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경기도는 평택항을 이용한 동북아 상업중심지로의 큰 도약과 함께 최첨단 IT산업, 디자인, 컨벤션, 관광 등 소프트 경쟁력과 관련된 서비스산업 육성에 아낌없이 투자하고 있습니다.[4]
이 외에도 이천 쌀, 이천/광주 도자기 등 지역 특산물로 유명합니다. 삼성전자 본사와 SK하이닉스 본사, NAVER 본사, 삼성SDI 본사, 파주 LG상사 LCD단지 등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유수의 기업들이 수원시 등 경기 남부지역에 모여 있습니다.[5]
행정구역


경기도는 28개 시(특별시: 7개, 보통시: 21개)와 3개 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6] 서울시 신도시 개발계획의 영향으로 많은 군이 시로 승격됐기 때문입니다. 특별시는 특히 경기도 남부지역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아래는 영문, 한글, 한자로 된 각 주체의 이름입니다.
# | 이름. | 한글 | 한자 | 인구(2015.5)[7] | 세분류 |
---|---|---|---|---|---|
— 특별시 — | |||||
1 | 수원 | 수원시 | 水原市 | 1,177,376 | 일반구 4 — 행정동 41번지 |
2 | 성남 | 성남시 | 城南市 | 974,580 | 3일반구 — 행정동 39번지 |
3 | 고양시 | 고양시 | 高陽市 | 1,041,706 | 3 일반구 — 행정동 46번지 |
4 | 용인 | 용인시 | 龍仁市 | 968,346 | 3 일반구 — 1읍 6면 23 행정동 |
5 | 부천 | 부천시 | 富川市 | 852,758 | 행정동36번지 |
6 | 안산 | 안산시 | 安山市 | 704,765 | 2 일반구 — 행정동 24번지 |
7 | 안양 | 안양시 | 安養市 | 599,464 | 2 일반구 — 행정동 31번지 |
8 | 남양주시 | 남양주시 | 南楊州市 | 640,579 | 5읍 4면 7행정동 |
9 | 화성 | 화성시 | 華城市 | 565,269 | 4읍 10면 10행정동 |
— 도시 — | |||||
10 | 의정부 | 의정부시 | 議政府市 | 431,149 | 행정동 15번지 |
11 | 시흥 | 시흥시 | 始興市 | 393,356 | 행정동17번지 |
12 | 평택 | 평택시 | 平澤市 | 453,437 | 3읍 6면 13행정동 |
13 | 광명 | 광명시 | 光明市 | 346,888 | 행정동18번지 |
14 | 파주 | 파주시 | 坡州市 | 416,439 | 4읍 9면 7행정동 |
15 | 군포 | 군포시 | 軍浦市 | 288,494 | 행정동11번지 |
16 | 광주 | 광주시 | 廣州市 | 304,503 | 3읍 4면 3행정동 |
17 | 김포 | 김포시 | 金浦市 | 344,585 | 3읍 3면 6행정동 |
18 | 이천 | 이천시 | 利川市 | 204,988 | 2읍 8면 4행정동 |
19 | 양주 | 양주시 | 楊州市 | 203,519 | 1읍 4면 6행정동 |
20 | 구리 | 구리시 | 九里市 | 186,611 | 행정동8번지 |
21 | 오산 | 오산시 | 烏山市 | 207,596 | 행정동 6번지 |
22 | 안성 | 안성시 | 安城市 | 181,478 | 1읍 11면 3행정동 |
23 | 의왕 | 의왕시 | 義王市 | 157,916 | 행정동 6번지 |
24 | 포천 | 포천시 | 抱川市 | 155,629 | 1읍 11면 2행정동 |
25 | 하남시 | 하남시 | 河南市 | 155,752 | 행정동 12번지 |
26 | 동두천 | 동두천시 | 東豆川市 | 97,407 | 행정동8번지 |
27 | 과천 | 과천시 | 果川市 | 69,914 | 행정동 6번지 |
28 | 여주 | 여주시 | 驪州市 | 110,560 | 1읍 8면 3행정동 |
— 군 — | |||||
29 | 양평 | 양평군 | 楊平郡 | 106,445 | 1읍 11면 |
30 | 가평 | 가평군 | 加平郡 | 61,403 | 1읍 5면 |
31 | 연천 | 연천군 | 漣川郡 | 45,314 | 2읍 8면 |
청구된
교통.
경기도는 한국의 수도인 서울과 두 번째로 붐비는 항구인 인천과 근접해 있어 교통 인프라가 매우 잘 발달되어 있습니다. 한국의 주요 국제 관문이자 가장 붐비는 공항인 인천국제공항과 두 번째로 붐비는 공항인 김포국제공항 모두에서 가깝습니다. 평택항에서의 수상 교통수단 이용도 높은 편입니다.
도로
도내 전역의 도로 포장률은 평균 86.5%입니다. 이 지역은 다음을 포함한 한국의 많은 고속도로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경부고속도로 1호선, 서울~부산
- 서해안고속도로 서울~목포 15호
- 35번 중부고속도로 서울-통영
- 제37호 제2중부고속도로 서울~용인
- 45호 중부내륙고속도로 양평~창원
- 50번영동고속도로 인천~강릉
- 서울~양양고속도로 서울~춘천 60호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100호
- 제110호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안양
- 경인고속도로 120호선, 서울-인천
- 130호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서울
레일
경기도는 코레일 통근, 표준, 고속(KTX)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한국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이 위치하고 있으며 경부선, 경의선, 중앙선, 호남선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경기도에는 수인·분당·경춘·신분당 통근철도와 경부·호남 고속철도의 역이 있습니다.
이 지역은 수도권 지하철과 수많은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남서쪽으로는 경기도를 지나 천안까지, 북쪽으로는 동두천까지 이어지는 1호선(옛 한국국유철도). 3호선은 북쪽으로 고양과 연결되고, 4호선은 남서쪽으로 과천, 안산과 연결됩니다. 7호선은 북쪽으로 의정부, 남쪽으로 광명과 연결되어 있고, 8호선은 남쪽으로 성남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의정부에는 1호선과 연결되는 자체 경전철인 U선이 있습니다.
김포~인천공항 간 AREX 노선의 짧은 구간이 경기를 통과하지만 도내에는 정류장이 없습니다.
교육
경기도가 세계화 경제에 걸맞은 인재 양성을 위해 교육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양질의 교육을 위한 특목고 설립은 물론 평판이 좋은 대학의 지역 캠퍼스 개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파주에서 최대 규모의 영어 교육을 위한 국내 '영어마을'과 안산, 양평 마을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경기대학교
- 국가의
- 안성시
- 의왕시
- 한국교통대학교 (의왕캠퍼스)
- 사적인
- 안산시
- 안성시
-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
- 안양시
- 안양대학교
- 성결대학교
- 부천시
- 고양시
- 군포시
- 광주시
- 서울장신대학교와 신학교
- 화성시
- 협성대학교
- 신경대학교
- 오산시
- 포천시
- 포천차의과대학
- 대진대학교
- 평택시
- 평택대학교
- 성남시
- 시흥시
- 수원시
- 의정부시
- 한북대학교
- 양평군
- 용인시
학교
문화
역사적 랜드마크
경기도는 오랫동안 수도권으로서 많은 역사적 유물과 유적을 남겼습니다. 왕릉(릉이라고 함)은 구리의 동구릉, 남양주의 광릉, 홍릉, 유릉이 있습니다. 성(성)으로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수원화성, 남원산성, 행주산성, 강화산성, 독산산성이 있습니다. 불교 사찰의 경우 경기도 내에 '템플 스테이'를 경험할 수 있는 오래된 사찰들이 많습니다. 용인의 한국민속촌에서는 민속문화를, 파주의 판문점에서는 한국의 분단 현장을 볼 수 있습니다.
공연예술
경기도는 높은 수준의 문화생활을 즐기기 위해 굳이 서울에 가지 않아도 되도록 도 차원에서 많은 돈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수원에 있는 경기예술의전당과 용인에 있는 경기국악당에서도 공연이 있습니다. 현재 도가 운영하는 시설로는 용인 경기도립박물관, 용인 백남준아트센터, 안산 경기도립미술관, 광주 도자박물관 등이 있습니다. 장흥아트파크, 파주 헤이리 출판예술단지, 이천 도자기 박람회 등에서도 관람 기회가 마련돼 있습니다.
헤이리아트밸리
헤이리 아트밸리는 한국 최대의 예술타운입니다. 다양한 한국의 예술가들이 헤이리라는 문화의 마을을 건설했고, 그곳에는 여러 미술관과 박물관이 있습니다; 약 40개의 박물관, 전시회, 공연장, 서점이 있습니다.
종교
2005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경기도민의 34.3%가 기독교를 따르고 있으며(개신교 21.9%, 천주교 12.4%), 16.8%가 불교를 따르고 있습니다.[8] 51.1%는 대부분 종교가 없거나 토착종교를 따르고 있습니다.
스포츠

2002 한일 월드컵 경기가 수원 월드컵 경기장에서 열렸습니다. 경기도를 연고지로 하는 프로 축구팀으로는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 성남 FC가 있습니다.
한국 최고의 순종 경마장 서울 경주공원은 과천에 있습니다.
국내 스포츠 클럽
어소시에이션 풋볼
야구
농구.
- KBL (2)
- WKBL (4)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 안산 신한은행 S-Birds
- 구리 KDB생명 위너스
- 부천 외환은행하나
배구
아이스 하키
-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1)
구 스포츠 클럽
풋볼
- 안양 LG 치타스 (1996~2003, 안양→서울)
- 부천 SK (1996 ~ 2005, 부천 → 제주)
- 부천 FMC 베스트 (2010, 해체)
- 안산HFC
- 고양KB국민은행
- 남양주 유나이티드
농구.
관광업
오락.
- 용인시 에버랜드 테마파크
- 용인시 한국민속촌
- 용인시 처인구에 있는 문화방송(MBC) 드라마, 해를 품은 달, 주몽, 선덕여왕, 동이와 같은 사극의 촬영지입니다. 전통 민속 경기, 역사적인 궁중 의상, 활쏘기 등을 포함한 관람 투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9]
- '한류 열풍'을 소재로 한 한류월드 테마파크가 고양에 조성 중입니다.
- 국립현대미술관과 동물원이 있는 과천 서울대공원 *스키와 골프장
- 이천온천
- 과천[10] 공원을 달리자
- 이 곳은 방탄소년단의 멤버인 인기 있는 글로벌 KPOP 스타 진이 이 지방 출신으로 KPOP 팬들 사이에서도 알려져 있습니다.[citation needed]
미식가
경기도는 예로부터 이천 쌀, 양평 한우, 수원 소갈비와 우리나라 궁중요리, 서해안의 신선한 수산물로 만든 수산물 별미로 유명했습니다.
축제
지역 | 축제명 | 기간 | 주요내용 | 스폰서/감독 |
---|---|---|---|---|
수원 | 화성문화제 | 10월 | 정조대왕 퍼레이드, 화령전 헌다래, 혜경궁 홍씨 환갑연찬 재현, 과거 재현(조선시대 과거) 전국주부풍경축제, 전통깃발놀이, 문화예술축제, 국제음식축제, 화성그리기 | 수원시 화성시 문화축제위원회 |
KBS 드라마 페스티벌 | 8~10월 | KBS매직, 스튜디오투어, 디지털영상기계, 공영방송, 사극 재구성, 전국 아마추어 영상경연대회 | 수원시, KBS | |
성남 | 성남글로벌민속예술축제 | 그럴지도 모른다 | 12개국 400여명의 공연자가 참여하는 글로벌 포크댄스, 음악, 의류 축제 | 성남/경평인터내셔널(주) |
성남문화예술제 | 5~6월, 9~10월 | 국제/무용/음악/연극/영화제, 미술/그림전, 시민작곡대회, 시민노래자랑 | 성남시, 성남시 미술관 및 회원 | |
모란 5일 민속제 | 4월 | 전통민속예술공연, 민요무대, 현대적인 취향의 예술공연 | 모란5일민속축제위원회 | |
성남아트빌리지 연꽃축제 | 7월. | 연꽃과 자연 문제집 전시, 연꽃음식과 향토음식 코너 | 연꽃축제위원회 | |
안양 | 안양문화예술제 | 5월 중순 | 예술, 음악, 무용, 연극 등 문화예술행사 | 안양문화원과 예술의집 안양분원 |
안양시민축제 | 10월 | 볼거리/놀거리/사먹는거리가 가득한 지역축제 | 안양시/안양시민축제위원회 | |
고양시 | 고양행주문화제 | 4월 | 승전거리 퍼레이드, 민속경연, 행주대첩 추모제 및 제례 | 고양시/고양문화원 |
부천 | 복사골예술제 | 그럴지도 모른다 | 학생·시민작곡대회, 거리축제, 이미지·그림 구독, 예술제, 시민노래자랑, 댄스경연대회, 어린이 가족뮤지컬, 연극경연대회, 음악경연대회, 시민영화경연대회, 시민사진경연대회 | 한국미술협회 부천지부 |
안산 | 단원예술제 (김홍도 축제) | 9월. | 미술대회 : 미술청약대회, 미술감상교실, 거리미술대회 안산 김홍도 축제: 단원 홍보관, 골동품 생필품 전시, 마당놀이, 미술체험, 전통음식점 | 안산시·단원예술제위원회 |
별망성예술제 | 9월. | 별망성 축제, 별초무 공연, 불꽃놀이, 청소년 놀이 축제, 전국 음악 축제, 기타 예술 행사 | 안산시/안산미술관 | |
성호문화제 | 그럴지도 모른다 | 성호 예찬예배, 전국문화제 공연, 경기민요합창단 공연, 성호사상 학술대회, 기타 행사 | 안산시/안산문화원 | |
안산거리예술제[11] | 그럴지도 모른다 | 안산 거리 예술 축제는 2005년 안산에서 시작하여 매년 5월에 열리는 공연 예술의 일환으로 거리 예술 축제입니다. | 안산시/안산문화광장 일대 | |
의정부 | 통일예술제 | 6월. | 전시, 전통무용 공연, 한마음 시민노래자랑, 작곡경연, 현대예술초청 | 아트어셈블리 의정부점 |
회룡문화제 | 10월 | 궁중 퍼레이드 재현, 전시, 용춤, 마당극 | 의정부문화원 | |
의정부국제음악제 | 그럴지도 모른다 | 해외 단체 초청/공연, 대학생 쇼케이스 행사, 전시회 | 의정부예술의전당 | |
남양주시 | 다산문화제 | 9~10월 | 다산목민상 수여, 문학경연, 전통민속공연 체험행사 | 남양주시/남양주문화원 |
남양주 야외공연축제 | 8월 | 국내외 유명 연주자 초청/공연, 청소년 회식마당, 체험행사 | 남양주시 | |
광명 | 구름산 예술제 | 10월 | 전국음악제, 미술전시회, 그림전시회, 작곡경연대회, 학생음악경연대회, 연극공연, 전국음악경연대회 | 아트어셈블리 광명점/각 협회 |
오리문화제 | 그럴지도 모른다 | 이원익 선생의 생애와 사상을 주제로 한 강연, 마당놀이, 그림그리기, 뮤지컬, 단축마라톤, 가면댄스 공연 | 광명문화원 | |
시흥 | 물왕예술제 | 그럴지도 모른다 | 전국 음악마당 축제, 문학예술행사, 시민노래자랑 | 아트어셈블리 시흥지사/시흥시청 |
연성문화제 | 10월 | 소년극, 작곡경연, 공개음악회, 토템 손질 및 봉사 | 시흥문화회관/시흥시청 | |
군포 | 군포시민 대축제 | 4월 | 가면 퍼레이드, 거리 전시, 마을 음악회, 실버 페스티벌, 사진 콘테스트 | 군포문화정보과 |
철죽동산축제 | 4월 | 전시회 및 콘서트 | ||
구리 | 구리 한강 유채꽃 축제 | 그럴지도 모른다 | 나비 날아라, 콘서트, 시민가수대회, 미술, 백일장, 사진대회, 청소년 락 콘서트 | 구리/한국미술협회 구리지부 |
구리 코스모스 축제 | 9월. | 전야제, 중국예술서커스, 노천영화감상, 웃는사진촬영, 체험행사 | 구리/한국미술협회 구리지부 | |
하남시 | 하남이성문화제 | 9월. | 공영방송 명소, 도립극단 공연, 시민공연, 시민참여마당 | 하남시청/하남문화회관 |
의왕 | 의왕백운예술제 | 10월 | 의왕의 옛길을 걷다 보면 나는 예술인입니다 행사 : 작곡경연대회, 스케치대회, 동화낭송대회, 인형극, 풍경놀이, 전통완구만들기, 기타연주 | 의왕백운예술제위원회 |
안성 | 안성남사당바우두데기축제 | 9월. | 예술과학경연대회, 엿장수놀이, 가면극, 줄타기 공연, 바우덕이 홍보관, 6야드 거리놀이, 일반놀이, 마당놀이, 민속시장, 우시장 리메이크 | 안성 |
안성 죽산국제예술제 | 6월. | 무용, 음악, 창작공연, 세계적으로 유명한 예술가들과 함께하는 아방가르드 전시, 예술가들과 함께하는 나만의 제품 만들기, 영화 경연대회 | 주식회사 스마일스톤 | |
죽산어린이축제 | 그럴지도 모른다 | 어린이 1일 2회 공연, 체험 | 축제단 무천 | |
양주 | 양주전통문화예술축제 | 그럴지도 모른다 | 무형문화재 및 전통민속예술 공연 | 양주축제위원회 |
양주문화제 | 10월 | 전통민속예술공연 및 참여행사, 단위행사 | ||
오산 | 독산성문화예술제 | 9월. | 문화행사 공연, 시민참여마당 등 예술행사 | 오산시/오산문화회관 |
여주 | 세종문화대축전 | 10월 | 주민음악회, 한글 백일장, 여제여행, 전시회, 전국 사진 공모전 | 여주시, 여주문화원 아트어셈블리 여주점 |
여주 도자기 박람회 | 그럴지도 모른다 | 도자기 판매행사, 전통오븐 점화, 전시/공연행사 및 체험행사 | 여주, 여주 도자기 박람회 | |
여주유물전시회 | 10월 | 농산물전시회, 우수상품판매, 국제고구마요리경연대회, 영농체험행사(고구마투어) | 여주유물전시위원회 여주농업기술센터 | |
명성 황후 기념일 | 10월 | 영산제사, 혜원굿 | 여주시, 여주문화원 | |
파주 | 율곡문화제 | 9월. | 자운강당 추향제, 예술과학심포지엄, 유교퍼레이드 재건, 율곡·한시 백일장, 토속작가초청, 서예경연대회 | 파주시/파주문화원 |
파주어린이책한마당 | 10월 | 출판물 전시 및 판매, 책 문화 한마당, 세미나 게임 한마당, 체험 및 스터디 | 파주시, 파주출판단지 | |
헤이리 축제 | 10월 | 헤이리마을 미술·플라스틱 제품 전시, 건설관광, 공연, 타악, 댄스, 연극, 클래식 재즈, 공방 교실 | 파주시, 파주건설위원회, 헤이리축제위원회 | |
파주예술제 | 그럴지도 모른다 | 음악공연, 민족음악공연, 문학세미나, 문학글짓기대회, 미술협회 회원전 | 파주시/파주미술관 | |
동두천 | 동두천 락페스티벌 | 8월 | 국내, 국내 및 해외 록 음악 공연을 선보이는 다일 콘서트 이벤트. | 소요산관광리조트 동두천 |
분할제안
자매결연
미국 유타주
일본[12] 아이치 현
가나가와 현
랴오닝 성
노르트홀란트, 네덜란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고텡 주
멕시코 주
미국 버지니아 주
파라과이 알토 파라나 주
퀸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스페인 카탈루냐 주
미국 플로리다 주
광둥성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허베이 시
산둥 시
중화민국 타이완 성
말레이시아 파항
참고문헌
- ^ "2022년 지역소득(잠정)". www.kostat.go.kr.
- ^ 위치와 자연환경 (in Korean). Gyeonggi Provin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rch 2014. Retrieved 18 March 2013.
- ^ "South Korea: Provinc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2-03-21. Retrieved 2022-03-12.
- ^ "평택시, 정부에 평택항 경쟁력 강화 방안 건의". m.hankooki.com (in Korean). 2021-02-20. Retrieved 2021-02-20.
- ^ "현대차 삼성SDI 시총 7위 경쟁 치열…네이버·카카오 가세". 이데일리 (in Korean). 2021-02-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2-12. Retrieved 2021-02-20.
- ^ "Administrative Map". Gyeonggi Provin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April 2013. Retrieved 22 March 2013.
- ^ "Population". Gyeonggi Provin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March 2011. Retrieved 22 March 2013.
- ^ a b 2005년 인구조사 - Wayback Machine에서 종교 결과 아카이브 2015-09-04
- ^ Lee, Cin Woo (16 March 2012). "Beyond Seoul: 19 reasons to explore Korea". CNN G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April 2012. Retrieved 6 May 2012.
- ^ "KRA RACING Life and Love KRA". www.kra.co.k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01-03. Retrieved 2018-05-10.
- ^ "ANSAN STREET ARTS FESTIVAL 2018". www.ansanfest.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5-10. Retrieved 2018-05-10.
- ^ ベルギー3地域と「友好交流及び相互協力に関する覚書」を締結 (in Japanese). Government of Aichi Prefectu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August 2017. Retrieved 15 May 2017.
메모들
외부 링크

- 공식 홈페이지 (영어로)
- 공식블로그 (영어로)
- 경기도 투자 – 영어
- 경기관광안내 – 영어
- DMZ – 영어
- KINTEX – Wayback Machine에서 영문 아카이브 2012-10-11
- 고양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