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반니 리스타

Giovanni Lista
Giovanni Lista(2009), Photo Paolo Aldi.

조반니 리스타는 1943년 2월 13일 이탈리아에서 카스티글리오네 라고(Perugia)에서 태어난 이탈리아의 미술사학자미술평론가로서 파리에 거주하고 있다. 1920년대 예술문화계, 특히 퓨처리즘 분야의 전문가다.

전기

그는 1970년 2월 파리에 영구 정착할 때까지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대학에서[specify] 공부했다.

대학에서 강의하던 중 1974년 CNRS(National Centre for Scientific Research)의 연구원이 되었다.[1] 데니스 베이블트와 루이 마린이 지휘하는 연구소와 인연을 맺은 뒤 1992년 연구부장에 임명됐다.

그는 1988년에 리뷰 리지아, 서류 서어 라트(Ligeia, Art Dossiers)를 설립했다.이름은 플라톤이 인용한 그리스 사이렌의 신화에서 따온 것이다.

AIA(국제미술평론가협회)와 SGDL(프랑스문인협회)의 회원으로서 1989년 프랑스에서 발행된 연극·예술·사회과학 분야 최우수 에세이 조르주 자마티상을 수상했으며, 이탈리아에서 발행된 영화·사진 분야 최우수 에세이와 주베 로즈 영화 평론가상을 모두 수상했다. 2002년 이탈리아에서 출판된 최고의 문학 전기 에세이 수상, 2010년 베네치아 아카데미 은메달 수상(키노트 스피치)은 베네치아 아카데미 디 벨 아르티에서 행해졌다. 2011년 4월 프랑스 문화부 장관 Fredéric Mitterrand는 그에게 예술 및 편지 훈장 Chevalier라는 칭호를 수여했다. 2011년 6월, 조르지오 나폴리타노 이탈리아 대통령은 그에게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훈장 체발리에 칭호를 수여했다.

예술 비평에 대한 기여

1973년부터 1988년 사이에 리스타는 필리포 토마소 마리네티, 루이지 루솔로, 움베르토 보시오니의 저술과 함께 프랑스에 이탈리아 아방가르드를 소개하고 누설한 여러 모음집과 문집을 발표하여 퓨처리스트들의 희곡, 이론문헌, 선언문 등을 종합하여 번역하였다. 동시에 그는 페르난드 레거, 로버트 들라우나이, 마르셀 뒤샹, 자크 빌론, 프란시스 피카비아, 레이몬드 뒤샹 빌론, 장 메칭거 등의 작품에 대한 독창적인 접근법을 개발하여 "프랑스 큐보-퓨쳐리즘"[2]으로 불렸다.

1976년 그는 퓨처스주의 창시자의 정치적 사상을 분석하기 시작하면서 마리네티의 첫 전기를 출판했다. 그는 퓨처리스트 운동의 정치적 진화를 연구한 후 플로렌스 미래학자들이 공식화한 '퓨처리즘'과 '마리네티즘'의 구별을 탐구하고 수용하게 되었다. 그는 산업 변혁에 따른 사회적 심리적 트라우마 감각에 초점을 맞춰 미래학자들의 근대성향의 태도를 견인하는 데 기여했다.[3] 그는 미래주의 정치사상의 다양한 단대주의적 접근방식을 비판했고 1980년 에세이 "예술과 정치: 이탈리아의 좌익 미래론" (이탈리아어로) 이렇게 해서 그의 미래 이념의 역사학적 재구성을 완성했다. 후에 리스타는 퓨처리즘과 아나키즘의 관계를 탐구했고, 특히 마리네티의 운동과의 관계를 추적했다.[4]

1978년 그는 미래학자들의 우편물 혁신을 창안하고, 1920년대 전위주의자들의 우편 예술 발명을 선언하면서 새로운 역사학 유물인 "미래론적 우편 예술"을 설립했다. 같은 해에, 그는 퓨처리스트 사진술과 퓨처리스트들이 여러 출판물과 일련의 전시물(파리, 모데나, 쾰른, 도쿄, 뉴욕, 런던, 플로렌스)을 바친 새로운 기술 매체와의 문제적 관계를 연구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퓨처리스트 미학의 특수성을 규정했다.광성능, 광합성, 광합성, 광합성 등의 분야에서의 ic의 정교화, 몇 가지 부정적인 것의 샌드위치. 그는 또한 마리네티와 관련 미래학자들이 사진술의 잠재력에 대해 인간의 삶 전체를 보여줄 수 있는 가능성을 경시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5]

1982년 그는 퓨처리즘을 조직했다. 현실의 실재 경험을 중심으로 한 추상미술에 대한 미래주의 공헌을 탐구한 파리의 추상화와 모더니티 전시.

1982년, 그리고 1984년, 그는 미래주의 화가인 자코모 발라(Giacomo Balla)의 작품 총 2권 분량의 카탈로그를 출판했고, 이후 주요 회고전을 조직했다(Milan, 2008).

1983년, 《De Chirico》와 《Avant-Garde》에서, Lista는 이탈리아와 프랑스 예술가들의 관계에 관한 미발표 서간문서를 모았다. 그는 또한 제1차 세계 대전 중 전위 예술 문화의 진화에 대한 조르지오치리코의 역할을 연구했다. 나아가 그는 다른 에세이를 데 치리코에게 바치는 한편, 형이상학적 예술에 대한 화가의 저술에 대한 비판적인 판을 발간하기도 했다.

1983년 파리의 이탈리아 문화 연구소인 Hhtel Gallifet에서 그는 미래학 서적 전시회를 조직했는데, 이 전시회는 미래학자들의 혁신의 범위를 책, 책, 전형, 책, 기계, 그래픽 구성, 단어 자유판, 그림 시 등의 분야에서 밝혔다.

1985년 그는 보시오니의 죽음 이후 기간을 규정하기 위해 이탈리아에서 사용되는 "제2의 미래론" 공식을 거부하는 합성어인 퓨처리즘을 출간했다. 그는 미래 운동에 관한 여러 연구들의 10년에 의한 역사학 분류를 제안한다. 즉, 첫 10년 동안 플라스틱 동력학에서 시작하여 1920년대를 위한 "기계 예술"과 1930년대의 "역학"으로 계속된다. 다음으로, 그는 기계미술의 창시자인 비니시오 팔라디니에 관한 에세이를 발표함으로써 기계미술의 시학을 확장시켰다.

1989년, 그는 에세이 "미래적인 장면"으로 극장과 관련된 미래학자의 모든 단계에서 플라스틱 예술과 극장의 삼투성을 탐구했다.

1994년 그는 로이 풀러에게 전기 에세이를 바쳤는데, 그는 멀티미디어 댄스를 이 운동의 미래주의 미학에 대한 기대감으로 분석했다. 그는 또한 영화 몽타주 로이 풀러와 그녀의 모방자들을 감독했는데 풀러의 폭과 독창성을 드러냈다. 같은 해에 그는 조각가 Medardo Rosso에 대한 에세이를 출판했고, 인상주의 조각에 대한 그의 이론적 저술을 모았다.

1997년 《현대무대: 20세기 후반(1945~1995) 세계 공연예술백과사전, 그는 극본의 범위를 넘어서는 현대적 이미지 문화 안에서 다양한 시각적 형태의 경관 창작에 대해 조사한다. 그는 오페라, 발레, 댄스, 서커스, 인형극과 같은 전통적인 범주 외에도 멀티미디어 엔터테인먼트, 무용극, 예술가 극장의 새로운 표현들을 나열한다.

2001년에 그는 퓨처리스트 영화 연구와 씨름하고 3대 회고전을 조직하여 그 발견을 진전시켰다. (로베레토, 바르셀로나, 파리, 2001–2009). 같은 해, 그는 퓨처리즘이라는 책을 출판했다. 그가 미래주의를 정체성의 가장 높은 발현으로 여기는 창조와 아방가르드(Avant-garde[definition needed])는 국가의 단합이 이루어진 이후 이탈리아 현대 미술에 수정과 자양분을 주었다.

2003년에는 《검은 정자》(이탈리아어로)를 출간하여 에로스와 글쓰기의 깊은 연관성에 대해 큰 의문을 제기하였다.

2005년 그는 다다이즘의 프로테아적 성격을 넘어 다다이즘의 이념적 근원으로서의 철학적 자유관을 보여주며 에세이 「자유와 자유주의자」를 발표하였다.

2009년에 그는 밀라노에서 미래주의 운동의 창시 100주년을 기념하는 회고전을 열었다[clarification needed]. 그는 활동가 모델, 진행 중인 연구, 예술의 덧없는 시화를 강조하면서, 그의 이전의 미래주의 역사학 체계화를 시작했다.

2011년 그는 고대 로마 시대부터 이탈리아 땅의 정체성의 상징인 스텔라 베네리스 신화의 기원과 역사에 관한 철저한 에세이 '스텔라 디탈리아'(이탈리아의 스타)를 출간했다. 그것은 이탈리아의 전통적인 우화적 표현에 관한 광범위한 우상화 설정(예술 작품, 기념물, 삽화, 포스터, 장식물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머리에 별을 얹은 벽화 왕관을 쓴 드레이핑된 여성이다.

2002년과 2013년 사이에 그는 두 편의 수필을 발표했는데, 하나는 미래 에어로 페인팅에 큰 역할을 한 화가 엔리코 쁘람폴리니에 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비트루비아인"에 관한 것이며, 퓨처리스트, 입체 퓨처리스트, 표현주의자, 그리고 또한 신고전주의 예술가에 의한 재해석이었다.피스토레토, 남준파케, 디터 아펠트, 온타니, 아놀드 스킵과 같은 현대 예술가들과 30대의 "질서로의 회귀"의 ts.[clarification needed]

He also scrutinised Antoine Bourdelle's Proto-Cubism, Auguste Herbin's abstract art and Alberto Magnelli; the theatrical innovations of Luigi Pirandello, Pierre Albert-Birot, Emile Malespine; and the dialectical repercussions and reversals of the formal ideas of Futurism as they appear in the authors, artists and neo avant-garde movements of the 20세기: 루치오 폰타나, 알베르토 부리, 프랭크 게리, 외젠 이오네스코, 아르테 포베라, 포시아 비시바, 프로세스 아트, 공연, 이미지 테아테레.

주요 작품

  • 마리네티 퓨처리즘, Ed. 1977년 로잔의 L'a'ge dhomme.
  • 1979년 파리의 장-미셸 플레이스 에디테우르 라트 우편 미래학자. ISBN978-2-85893-025-8
  • 르 리브르 미래학자, Ed. 파니니, 모덴-파리, 1984년 ISBN 88-7686-035-5
  • I futureisti e al fotografia: 크레아지오네 fotografica e mimagine quotidiana, Edizioni panini, Modena, 1985년.
  • 2006년 런던의 미래론, 아트 데이터. ISBN 0-948835-05-2
  • 1989년 파리 C.N.R.S.의 라센 미래학자. ISBN 2-222-04191-0
  • 데 치리코 라방가르드, 에드. 1990년 로잔의 L'a'ge dhomme. ISBN 2-8251-2413-3
  • 1994년 파리의 Ed. L'échope, D'dun 조각가 Medardo Rosso (1858–1928), Ed. L'echope, Paris. ISBN 978-2-84068-043-7
  • Marinetti, l'anarchiste du Futureisme(생물학), Ed. Séguier, 1995년 파리.
  • La Scene moderne - 백과사전 몬다이얼 데스 아츠 드 아츠 데스 아트 Dans la seconde moitié du XXé siéle, Actes Sud, Arles-Paris, 1997. ISBN 2-908393-41-7
  • Futureism, Finest-Terrail, 2001년, 파리-런던. ISBN 2-87939-234-9
  • Le Futureisme: 2001년 파리의 Creation et avant-garde, Ed. L'Amateur, L'Amateur, Paris. ISBN 978-2-85917-322-7
  • 2001년 런던 머렐 출판사의 미래주의와 사진술. ISBN 1-85894-125-3
  • 2005년 파리의 L'Insolite L'Insolite Dada libertin & libertaire. ISBN 978-2-916054-01-8
  • 아르테 포베라, 엣드. 2006년 파리 신크 대륙. ISBN 88-7439-215-X
  • 뢰제 풀러, 엣드 주 벨 에포케의 댄서즈 드 라 벨 에포크. 헤르만, 파리, 2007년 ISBN 2-7056-6625-7
  • Le Futureisme : Une abant-garde radicale, Gallimard, coll. "Découvertes Gallimard"(nº 533), 2008년 파리, ISBN 9782070355556
  • 저널 des Futureismes, Ed. 2008년 파리 하산. ISBN 978-2-7541-0208-7
  • Le Cinéma Futureiste, Ed. du Centre Pompidou-Les Cahiers de Paris Experimental, 2008. ISBN 978-2-912539-37-3
  • 시네마사진, 2008년 파리 스키라-플램마리온의 미래학자. ISBN 978-2-08-121828-4
  • 조르지오 치리코, 수이비 데 라트 메타피시케, 에이드 2009년 파리의 하산. ISBN 978-2-7541-0287-2
  • 2009년, Milano, Mudima, Luigi Russolo e la musica futureista. ISBN 978-88-96817-00-1
  • 일 시네마 퓨처리스타, 르 마니 마이크로아트의 에디지오니, 제노바, 2010. ISSN 1824-1417
  • 2010년, Milano, Mudima, La Stella d'Italia. ISBN 978-88-96817-06-3
  • 다 레오나르도 a Boccioni : 무디마, 밀라노, 2012 ISBN 978-88-86072-62-5
  • Lo Sperma nero, ovvero ‘sono dunque scrivo’, Nerosubianco, Cuneo, 2013 ISBN 9788898007332
  • 엔리코 쁘람폴리니, 퓨처리스타 유럽, 카로치, 로마, 2013 ISBN 978-88-430-6948-4
  • Le Futureisme, textes et 매니페스트, 1909-1944, Eeditions Champ Vallon, Ceyzériuux, 2015 ISBN 979-10-267-0010-4
  • Fotografia Futureista, Edizioni Carla Sozani, 2015 ISBN 988 88 79 42 856-9
  • 퀘스트-ce le futureisme? / 파리 갈리마르드, 2015 ISBN 9782070450800
  • 피노키오 넬라르테, 무디마, 밀라노, 2017 ISBN 9788899925147
  • 라 조각모던,원시주의 보조 아방가르드, 에디션 리지아, 파리, 2018 ISBN 978-2-9542822-3-7
  • 조르지오 치리코 외 마네킹 추상화, 프랑스 파리, 2020 ISBN 978-2-84068-313-1

인터뷰

  • (프랑스어로) L'époque n'est + au thétre mais a la scene 인터뷰, 1997년 5월 21일 Libération, Paris.
  • (이탈리아어로) 시대 tutto di die destra? 아니, 일지오르날레 델에서 쎄라 안체푸투르시니스트라 인터뷰.2009년 4월, 토리노.
  • (이탈리아어로) 알레 오리진 델로 스텔론 인터뷰, 일지오르날레'에서아르테, 2011년 2월, 토리노.

참조 및 참고 사항

  • (프랑스어로) 이 기사는 "지오바니 리스타"라는 제목의 프랑스어로 된 위키피디아를 번역한 것이다.
  • 프랑스 샤토우아이론 주 렌스 대학교의 비평가 드 라 아르트 문서보관소
  1. ^ 비블리오테크 국립 프랑스에 의해 만들어진 권위 기록.
  2. ^ "Giovanni Lista". www.goodreads.com. Retrieved 2020-10-30.
  3. ^ Poggi, Christine (2009). Inventing Futurism: The Art and Politics of Artificial Optimism.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x. ISBN 978-0-691-13370-6.
  4. ^ Berghaus, Günter (2014). International Yearbook of Futurism Studies, Volume 4. Berlin: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p. 61. ISBN 978-3-11-033400-5.
  5. ^ Niebisch, Arndt (2012). Media Parasites in the Early Avant-Garde: On the Abuse of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New York: Palgrave Macmillan. p. 83. ISBN 978-1-137-27685-8.

참고 항목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