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래스톤 앤더슨
Gladstone Anderson글래스톤 앤더슨 | |
---|---|
태어난 | 자메이카 킹스턴 존스 타운 | 1934년 6월 18일
죽은 | 2015년 12월 3일( | 81세)
장르 | 부기, 스카, 록스테디, 레게 |
기기 | 피아노, 오르간, 키보드 보컬 |
액티브 년수 | 1950년대 후반 ~ 2015년 |
글래드스톤 앤더슨(Gladdy, 1934년 6월 18일 ~ 2015년 12월 3일)은 자메이카의 피아니스트, 키보드 연주자, 가수이다.베이시스트 재키 잭슨, 드러머 윈스턴 그레넌, 기타리스트 헉스 브라운, 키보디스트 윈스턴 라이트가 출연하는 글래디 올스타의 리더로 활동한다.해리 J 올스타로 활동한 이 밴드는 기악곡 "The Liquidator" 1969 (그리고 1980!)[1]로 자메이카와 영국에서 엄청난 히트를 쳤다.
전기
글래드스톤 앤더슨은 1934년 존스 타운에서 태어났고, 그의 삼촌인 키보드 연주자이자 밴드 리더인 오브리 [2][3]애덤스로부터 집에서 피아노를 배웠다.그는 1950년대 후반 리드 [4]공작 밑에서 일하기 시작하면서 유명한 스튜디오 피아니스트가 되었다.그는 리드의 트레저 아일랜드 스튜디오에서 일했고, 스카탈라이트가 그곳에서 [5]녹음했을 때 재키 미투의 후임으로 클레멘트 "콕손" 도드와 레슬리 [2]콩을 위해 일했고, 린 타이트의 그룹 더 젯의 멤버로 많은 키 스카와 록스테디 레코딩에서 연주했으며, 스키 스테디 록을 [4]정의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그는 심지어 "Rock stady"라는 이름을 생각해 냈는데, 그가 (그가 연주했던) 녹음이 [6]재생되었을 때 Hopeton Lewis의 "Take it Easy"를 묘사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했다.그는 또한 로이 셜리의 "Hold Them"과 알튼 엘리스의 "Girl I've a Date"[3]를 포함한 록스테디 음반의 주요 히트곡들을 연주했다.그는 계속해서 글래디의 올스타를 이끌며 프로듀서 해리 무디와 함께 일했는데, 그들은 또한 어그로베이터스(버니 리), 루피의 올스타즈(루피 에드워즈), 등 다른 프로듀서들과 함께 일할 때 다른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었다.크리스탈라이츠(데릭 헤리어트)와 다이나믹스(클랜시 에클스)[7]는 나중에 리 스크래치 [4]페리와 함께 일하면서 업터스가 되었다.그는 1960년대 후반에 "강처럼"과 "보는 것은 아는 것"[8][9]을 포함한 Stranger Cole과 함께 Stranger, Gladdy로 가수로 성공을 거두었다.그의 데뷔 앨범인 "It May Sound Sily"는 1972년에 발매되었고 자메이카에서 [10]베스트셀러가 되었다.앤더슨은 1970년대 후반의 더비 앨범 시리즈인 Harry Mudie Meet King Tubby's In Dub Conference를 작업하면서 Mudie와 함께 작업을 계속했다.1977년 두 번째 솔로 앨범인 글래디 언리미티드(Glady Unlimited)가 다시 무디에 의해 제작되었다.앤더슨은 1982년에 보컬 앨범 "Sings Songs For Today and Tomorrow"를 발매했다.Anderson은 또한 Roots [11]Radics에서 연주한 몇몇 키보드 연주자 중 한 명이었다.
앤더슨은 또한 프로듀서로 일했고, 그의 루트 레게 레코딩은 Rite Sound [12]레이블에 수록되었다.
앤더슨의 노래 "매드 매드 아이비"는 청사진 [citation needed]3의 Jay-Z의 노래 "Already Home"에 샘플링되었다.
글래스톤 앤더슨은 2015년 12월 3일 [13]8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음반 목록
- GLAD Sounds (1968), Bigshot (Gladdy with Lynn Taitt & the Jets)
- 바보같이 들릴 수도 있다(1972년), Moodisc/Ashanti
- 글래디 언리미티드(1977년), 무디스크
- 오늘과 미래를 위한 노래를 부른다(1982년), 자마니
- 래디컬 더브 세션(1982년), 솔리드 그루브 - 글래드스톤 앤더슨을 피처링한 루트 래디크스의 공로
- 뒤돌아보지 마세요(1985) 과열
- 캐리비안 브리즈(1989) 과열
- 가까이 다가가기 (1989) NEC Avenue
- 평화의 파이프 두브(1993) 일곱 잎
- 피아노 조화(1994년) 과열)
- 글래디의 더블 스코어(2010) 과열
- 컴파일
- Forever Dub vol 1 (1994) 루트
허비 맨과 함께
메모들
- ^ 아이튠즈: Harry J Allstars. 이력 (2010-05-12 체크)
- ^ a b Katz, 페이지 46
- ^ a b 캠벨, 하워드(2012) "글래드스톤 앤더슨: 2012년 6월 1일, 자메이카 옵저버, 2012-06-01년 회수"
- ^ a b c 모스코위츠, 페이지 12
- ^ 톰슨, 페이지 263
- ^ 톰슨, 페이지 245
- ^ 톰슨, 페이지 413
- ^ 라킨, 페이지 64
- ^ 라킨, 페이지 89
- ^ 바로 & 달튼, 페이지 112
- ^ 포스터, 289페이지
- ^ 레겟
- ^ 캠벨, 하워드(2015) "뮤지션 글래디 앤더슨 사망", 자메이카 옵저버, 2015년 12월 10일.2015년 12월 11일 취득
레퍼런스
- Barrow, Steve & Dalton, Peter (2004) The Rough Guide to Reggae, 제3편, Rough Guides, ISBN1-84353-329-4
- Foster, Chuck(1999) Roots Rock Reggae: Ska에서 Dancehall, Billboard Books, ISBN 0-8230-7831-0까지 레게 음악의 구전사
- Katz, David(2000) 피플 퍼니보이: The Genius of Lee "Scratch" Perry, 페이백 프레스, ISBN 0-86241-854-2
- 라킨, 콜린 (1998) 레게의 처녀 백과사전, 버진북스, ISBN 0-7535-0242-9
- Legett, Steve "Gladstone Anderson Biography", Allmusic, Macrovision Corporation
- Moskowitz, David V. (2006) 캐리비안 뮤직: 레게, 멘토, 스카, 록 스테디, 댄스홀 백과사전, 그린우드 프레스, ISBN 0-313-33158-8
- 톰슨, 데이브 (2002)레게 & 캐리비안 뮤직, 백비트 북스, ISBN 0-87930-6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