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렌던 대학교

Glendon College
글렌던 대학교
캠퍼스 글렌던 드 l'Université York
Glendon College crest
기타명
글렌던 캠퍼스
좌우명
  • 알테리 시쿨로
  • 미래 세대를 위해
  • 레제네이션 선물 붓기
유형공공의
확립된1966
기부금2억 7천만 달러(CAD)
재상그레고리 소바라
대통령론다 렌턴
주임이언 로버지 임시 교장
행정직원
225
학부생2,071[1]
위치, ,
캠퍼스교외, 미드타운, 34.4ha(85에이커)
언어이중 언어(영어 및 프랑스어)
소속ACUFC, CNFS,[2] CUFO[3]
웹사이트www.glendon.yorku.ca
Glendon College logo.jpg

글렌던 칼리지(Glendon College)는 캐나다 온타리오토론토의 공립 교양 대학이다. 정식으로 요크 대학교의 연합된 이중언어 캠퍼스로서, 이 학교의 9개 대학과 11개 교수진 중 하나로 100명의 전임 교직원들과 약 2,100명의 학생 인구를 가지고 있다. 요크 대학교의 첫 번째 상설 설립으로 설립된 이 학교는 1960년 9월 토론토 대학교의 멘토링 하에 학술 운영을 시작했다.[4] 1959년 요크 대학법에 따르면, 요크는 한때 토론토 대학의 부속 기관이었는데, 그곳에서 최초의 교직원과 학생들로 구성된 코호트가 원래 성 북부로 이전하기 전에 팔코어 홀 건물[5](지금의 법학부 일부)[6]을 임시 거처로 활용했다. George campus to Glendon Hall - Edward Rogers Wood가 2차대전 이후 목적으로 유언장을 작성한 부동산.[7]

1962년에 온타리오 주로부터 새로운 대학을 짓기 위해 토지 소유 보조금을 제공받았고, 결국 두 학교 간의 상호 협력 관계는 중단되었다. 요크 대학교는 독립 기관이 되었으나 토론토 대학교는 기부된 우드 재산을 재취득하거나 유지하는 것에 관심이 없었기 때문에 글렌던은 킬 캠퍼스로의 이전을 거부했다.[8][9] 1959년과 1965년 각각 총장과 교장에 임명돼 공무원, 지배구조, 학계 등에서 학생들을 교육하는 새로운 대학 계획을 공동으로 제시한 머레이 로스와 외교관 에스코트 레이드가 총장과 교장으로 임명됐다.[10] 1966년, 글렌던은 레스터 B 수상에 의해 공식적으로 취임했다. Pearson은 "학생들이 공공 업무에 대한 지식과 적극적인 관심을 갖도록 돕고, 그들이 살고 있는 지역 사회, 그들이 시민인 나라, 그리고 그들이 점유하고 있는 세상을 개선하는데 헌신하도록 격려한다"[11][12][13]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중언어주의

글렌던 칼리지의 학부 커리큘럼은 언어, 의사소통, 국제문제, 공공정책을 강조한다. 이 때문에 온타리오 정부는 콜레지 보레알과 협력하여 글렌던을 국내 최초의 "프랑스어 및 이중언어 포스트세컨더리 교육 센터"로 선포했다.[14][15] 그리고 글렌던의 이중언어적 특성 때문에, 이 캠퍼스는 최근 이 지방의 프랑스어 서비스법에 따라 프랑스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으로 부분 지정을 받았다.[16]

글렌던의 제2언어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신입생을 대상으로 언어 능력 평가를 실시한다. 더 높은 수준에 도달한 학생들은 제2외국어로 고급 언어 수업을 듣거나 제2외국어로만 가르치는 훈련 과정을 들을 수 있다. 또한 외국어 입문 과정(아랍어, 광둥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일본어, 만다린 중국어,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 스페인어, 티베트어), 이누크티투트오지브웨이의 토착어 등 다양한 비학점 수업과 프로그램이 학생, 교수진, 일반인에게 제공되고 있다. 영어와 프랑스어 전문 개발 과정 학생들은 또한 요크 대학의 언어, 문학, 언어학과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다른 언어 강좌를 들을 수 있는 기회도 있다.[17]

글렌던 칼리지 내의 모든 학생들은 영어프랑스어를 모두 공부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대학교육에 대한 이중언어 접근방식은 캐나다에서 독특하다고 한다. 캐나다의 다른 2개 국어 후기 기관들, 콩코르디아 대학, 로랑트 대학교, 알버타 대학교 (Faculté St-Jean), 오타와 대학교의 일부를 포함하여, 종종 학생들을 한 언어 또는 다른 언어로 교육한다. 비록 각자가 학생들에게 완전한 이중언어 교육의 선택권을 제공하지만, 글렌던은 캐나다에서 유일하게 모든 앵글로폰프랑코폰 학생들이 그들의 언어에서의 초기 능력과 상관없이 최소한 하나의 필수 수업을 들어야 한다.

온타리오 주립대학(Université de l'Ontario francais)은 2018년 4월 설립되었는데, 프랑스어는 온타리오중남부 지역에서 프랑코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일한 교육 언어였다.[18][19] 온타리오와 연방정부는 2021년부터 정규 학생들에게 과정을 제공할 수 있는 새 대학을 위한 기금 조성에 합의했다.[20] 일부 자료는 프랑코-온타리아 대학의 대학 참여율이 영어 사용자들의 대학 참여율에 견줄 만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어 프랑스어 대학의 필요성을 없애주고 있다.[21][22] 프랑스어만을 가르치는 대학의 옹호자들은 일단 정규 학생들을 받아들이기 시작하면 글렌던 칼리지가 프랑스어 강좌를 제공하는 것을 중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23]

글렌던은 주로 사회과학과 인문학을 전공하지만 인문학의 전통에 학문이 뿌리내린 학부형 기관이다. 글렌던은 19개의 학사학위(BA)[24]와 20개의 국제 학사학위(iBA) 농도를 제공한다.[25] 글렌던은 독특한 동시 및 연속 교육 학사(B)를 보유하고 있다.Ed)는 특히 프랑스어 몰입, 확장된 프랑스어 및 앵글로폰 학교의 핵심 프랑스어 교사직을 준비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최근 글렌던은 프랑스EMLYON 경영대학원과 제휴하여 심리학과 생물학에서 최초의 BSc/iBSC학위, 통신학에서 새로운 BA/iBA학위, 경영학 및 국제학 복수학위(BBA/iBA)를 시작했다.

또한 다양한 분야(국제언어로서의 영어 교육(D-TEIL), 법률 및 사회사상, 난민 및 이주 전문직 종사자(프랑스어로만 제공), 성학 연구, 스페인어/영어 – 영어-스페인어 번역, 기술 및 전문 코뮈니케 등의 자격증 프로그램도 있다.양이온

글렌던은 1960년대 초 설립된 이래 프랑스학(M.A.), 공공 및 국제문제(M.P.I.A.), 번역학(M.A.), 회의 해석학(M.C.I.)의 대학원 과정도 포함시켰다. 번역과 해석의 달인은 대학의 언어 강점을 바탕으로 하며, 공과 국제 업무 학위는 글렌던 공과 국제 업무 학부에 소속되어 있다. 프랑코폰학 박사학위도 있다.

글렌던에 다니는 모든 학생은 더 큰 킬 캠퍼스에서 수업의 50퍼센트까지 등록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 정책은 작은 대학의 자질과 특징을 유지하면서 학생들에게 더 큰 대학의 자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학생생활

스워스모어윌리엄스와 같은 소규모 미국 기관의 캠퍼스 생활을 반영하듯 글렌던은 자매 캠퍼스의 더 많은 학생 집단 내에서 긴밀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다. 다양한 캠퍼스 행사는 글렌던 대학생연합/L'Association Etudiante du Collége Glendon(GCSU/AECG)이 주관하며, 회원 자격에는 글렌던 칼리지의 강좌에 등록한 모든 학생이 참여하여 이를 대표할 협의회를 선출한다. 학생들은 두 캠퍼스에 있는 많은 동아리와 단체들에 가입하고 접근할 수 있다. Glendon has a newspaper (Pro Tem), York University's premier and longest student-run campus publication that is published in both English and French; a campus radio station (Radio Glendon); the Grand Rassemblement de l’Éducation en Français (GREF): Glendon's French-language publishing house; and a black box theatre company, Theatre Glendon/Théâtre 글렌던, 요크 대학교의 비슷한 매체들 외에.

그 밖에 학생 휴게실, 카페테리아, 캠퍼스 체육관 회원권, 워크숍, IT 서비스, 예비학생 연락 사무소 등의 시설이 있다. 이 대학은 또한 학생들이 두 캠퍼스에서 학업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장려한다. 대학은 용, 에글린튼, 토론토 다운타운과 인접해 있어, 이 도시의 다양한 사회 문화 명소에 참여하고 싶은 학생들에게 이상적인 위치를 제공한다. 내셔널 포스트에 따르면 글렌던 대학은 토론토 스페셜 신문의 첫 번째 호가 발행된 곳이기도 하다. 본관에 위치한 살롱 프랑코폰은 사회자원센터와 클럽으로 프랑스어를 알리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조직하고 있다.

글렌던은 당초 캠퍼스에서 생활해야 하는 주거형 대학으로 계획됐으나 지난 수십년간 학생 수가 이용 가능한 거주 공간보다 많았다. 따라서, 대다수의 학생들은 통학하는 반면, 약 400명의 학생들만이 캠퍼스에 살고 있다. 글렌던의 국제적인 프로필은 특히, 100개 이상의 국가에서 온 학생들의 관심을 끌며, 프랑스, 아이티, 벨기에, 모로코, 알제리를 포함한 캐나다 전역과 전 세계의 많은 수의 프랑코폰 학생들을 끌어들인다. 학생 인구의 약 1/3이 프랑코폰이다.[26] 게다가 글렌던은 제3외국어로 스페인어를 공부하는 20%이상의 눈에 띄는 히스패닉폰의 존재감을 가지고 있다.[27] 글렌던에 있는 스페인 자원 센터 도서관은 스페인 정부 교육부요크 대학의 히스패닉 학과의 공동 이니셔티브다.[28]

캠퍼스

글렌던 홀

글렌던은 1900년대 초 토론토의 저명한 금융가이자 자선가인 에드워드 로저스 우드의 전 국가 소유지를 차지하고 있다. 이 땅은 1924년에 지어졌으며 로렌스 공원브리들 길의 중간 마을 이웃들 사이에 베이뷰와 로렌스 에이브의 교차점에 위치해 있다. 이 땅은 토론토 대학교가 인수할 때 원래 요크 대학교 캠퍼스였고, 1966년 요크 킬 캠퍼스가 출범할 때 문과 대학으로 남아 있었다. 이 대학은 공식적으로 요크의 9개 대학과 11개 교수진 중 하나로 요크 대학 내에서 반자율적으로 간주된다.

글렌던의 설립자 겸 초대 교장은 캐나다 외교관 에스코트 리드였는데, 그는 두 공식 언어로 캐나다의 미래 지도자들을 교육해야 하는 이 기관의 핵심 권한을 예견했다. 역사적으로 이 마너는 1952년 온타리오 예술대학, 1956년 토론토 대학 법학부의 임시 거처 역할을 했다.[29][30] 더욱이 85에이커의 자연경관은 토론토 대학의 식물 임업과에서 수목원으로 사용되었다.[31]

현재 이 대학은 캐나다 최고의 국제문제 출판사인 The Global Brief와 협력하여 캐나다에서 최초로 MPIA를 제공한 2개 국어의 대학원인 Glendon School of Public & International Affairs의 기관지다.[32] 이 대학원은 또한 공공 정책을 위한 학제간 연구 기관인 글로벌 도전을 위한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대학원은 또한 박사 과정과 3개의 다른 뚜렷한 MA 프로그램을 관리한다. 프랑스어와 이중언어 후기 교육을 위한 우수 센터는 글렌던의 최근 확장된 것으로, 들어오는 학생들의 성장과 남부 온타리오에서 다국어 후기 교육에 대한 수요 증가를 수용하기 위해 만들어졌다.[33] 이 캠퍼스는 또한 글렌던 내외부에서 광범위하게 촬영된 아메리칸 사이코 2: 아메리칸 걸(2002년)과 타임 트래블러의 와이프(2009년)와 같은 여러 작품들을 진행해왔다. 종종 학생들은 주말 동안 캠퍼스가 봉쇄될 때 총격에 연루된다.

2011년에 캐나다 언어 박물관은 캐나다에서 사용되는 모든 언어와 이 나라의 발전에 대한 그들의 역할에 대한 감사를 장려하기 위해 설립되었다.[34]

건물 및 약어

  • 요크 홀(YH) / 파빌론 요크: 'h'자 모양의 본관은 4개 구역(본관 날개, A, B, C 날개)으로 나뉜다. 요크 홀에는 2개의 큰 강의실(한 강의실은 펜트하우스에 있고 다른 강의실은 엑셀하우스에 위치하며 다른 강의실은 엑스트라 및 교수실, 서점, Rejean Garneau 연구실, 원형 상원 회의실, 극장, 그리고 학교 식당 등이 있다. "B"동 내 개조된 확장 - 학생회 사무소인 글렌던 채용 및 연락 사무실이 있는 풀사이즈 유리창으로 둘러싸인 공간 - 클럽 전용 공간, 살롱 프랑코폰, 넓은 사회 공용 공간(구 살롱 가그리그 라운지를 대체하기 위해)이다.
  • COE(Centre of Excellence) / Le Centre d'excellence: 요크 홀의 기존 "A" Wing에 대한 최신 확장. 유리상자 건물은 몬트리올 건축가 르네 다우스트에 의해 설계되었으며 원형경기장, 스튜디오, 어학 실험실, 사무실 및 추가 공용공간이 있다.
  • 글렌던 홀(GH) / 마누라 글렌던: 원래 에드워드 R이 있는 이탈리아식 별장이다. 우드 가족이 거주했다(그의 형 프랭크 포터 우드가 옆집에 살았는데, 지금은 크레센트 학교가 위치해 있다). 오늘날, 그것은 다목적은 현재 몬트리올 은행(BMO)회의 센터는 CKRG 캠퍼스 라디오 방송국, 진로 및 시립 센터, 글렌의 행정 교수 사무실(등의 주요), 캐나다어 박물관, 글렌 든 국제 정치 문제로 알려진;[35]뿐만 아니라 a2교실다세인트Her Lunik Cafe - 2011년 9월에 문을 연 학생 운영 협동조합. 비공식적으로는 "마너"로 알려져 있다.
  • 레슬리 프로스트 라이브러리(FL) / 비블리오테크 레슬리 프로스트: 1963년 개관한 이 도서관은 온타리오 주의 고인이자 오스구데 로스쿨졸업한 레슬리 프로스트의 이름을 딴 것이다. 30만개가 넘는 소장품을 소장하고 있는 이 도서관에는 모든 요크대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 실험실, 공부방, 조용한 독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도서관 옆에는 영국 조경의 희귀하고 잘 보존된 사례인 브루스 브라이든 로즈 가든이 있는데 빅토리아 시대와 에드워드 시대의 영향을 받은 특징이 있다.
  • 프록터 필드 하우스(PFH) / Pavillon 프록터: 그 캠퍼스 육상경기장 건물에는 글렌던 애슬레틱 클럽(GAC)이 들어서 있다.[36] 글렌던 애슬레틱 클럽은 웨이트 룸, 심장 운동실, 수영장, 테니스와 스쿼시 코트, 교육용 스튜디오, 체육관 등 모든 체육시설을 학생과 대중에게 제공한다. 프록터는 또한 스피닝 수업, 요가, 무술, 댄스 레슨과 같은 단체 운동 프로그램도 연다. 글렌던 학생들은 학년 내내 체육관 회원권을 후하게 할인해 준다. 1995년 프록터 필드 하우스는 토론토 랩터스의 연습 시설로 활동하였다.
  • 힐리어드 레지던스(HR) / 레시브 힐리어드 : 유명한 산부인과 의사 마리온 힐리어드의 이름을 딴 215실짜리 레지던스 건물.[37][38] 학생은 기숙사형 주택 6채(각각 A, B, C, E, F, G)로 나뉜다. 일부 교수의 사무실과 강의실 공간에 쓰이는 D하우스와 상급생들을 위한 스위트룸형 객실을 갖춘 G하우스를 제외하면 말이다. 집 한 채에 40명 정도의 학생을 수용할 수 있다. 각 주택은 거주자 '돈'이 담당하며, 두 주거 건물에서의 활동을 감독하는 거주자 생활 보조원(RLA)이 담당한다. 우드 레지던스와는 달리 힐리어드의 집들은 각각 한 층을 넘지 않으며, 한 층에 두 채의 집이 있다. 힐리어드에는 힐리어드의 비주거 주택인 D와 H에 있는 프로 템, 여성 & 트랜스 센터, 글렌던 극장 보관 공간도 있다. 힐리어드 레지던스 지하에는 레크리에이션 룸이 마련되어 있으며, 레지던트의 모든 구성원이 이용할 수 있다.
로즈 가든, 배경에는 나무 거주지가 보인다.
  • 우드 레지던스(WR) / 레시브 우드 : 189실짜리 레지던스 건물. 그것은 전형적인 기숙사 스타일의 방에 학생들을 수용한다. 목재는 2채의 주택 중 작은 것으로, 한 채당 22~30명의 학생(건물 부분)만이 거주하고 있다. 학생들은 A에서 E까지 5개의 집으로 나뉘는데, 각 집은 4층(지하실 포함)에 걸쳐 있으며, 1층에는 1개의 공유 휴게실이 있다. 레지던스 라이프 프로그래밍의 변화는 모든 거주자가 부적절하게 큰 소음을 피해야 하는 심야 정숙시간의 연장을 즐기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해 A집 3층에 '조용한 바닥'이 생기게 했다. 또한, C 하우스 전체가 거주지 내에서 좀더 환경 친화적인 생활을 즐기기를 원하는 학생들을 위해 "친환경"이 될 것이다.
  • 온실(GR) / La Serre: 온실은 주로 우드 씨의 미망인인 아그네스 유페미아 스마트의 보살핌을 받는 우즈의 오래된 온실이었다. 현재는 보안, 주차 및 교통 서비스 사무소, 주택 및 거주 서비스 사무소, 캠퍼스 goSAFE 학생 에스코트 서비스에 사용되고 있다.[39] 일반적으로 학생들은 보안 및 캠퍼스 벌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온실을 방문하거나, 키/키카드, 구내식당 면세 스티커 또는 거주지에서 필요한 유지보수 또는 서비스를 위해 거주 관련 문제를 해결한다.

주목할 만한 동문

저명한 교수진

참조

  1. ^ "Faculty Council Minutes" (PDF). Glendon College. York University. Retrieved 16 January 2020.
  2. ^ "Établissement Membres et partenaires du CNFS". CNFS. ACUFC. Retrieved 29 May 2020.
  3. ^ "Nos universités". Consortium des universités de la francophonie ontarienne. CUFO. Retrieved 29 May 2020.
  4. ^ Friedland, Martin (2013). The University of Toronto: A History (illustrated, reprint ed.).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pp. 410, 438, 443. ISBN 9781442615366.
  5. ^ "Law School Buildings - University of Toronto Faculty of Law".
  6. ^ "YorkPhaseOne".
  7. ^ "Glendon Hall".
  8. ^ "phase three Keele".
  9. ^ Pietropaolo, Vicenzo; Horn, Michiel (11 December 2008). York University: The Way Must Be Tried (2009 ed.). Montreal: McGill-Queen's - MQUP, 2009. Print. ISBN 9780773577244.
  10. ^ Horn, Michiel (11 December 2008). York University: The Way Must Be Tried. McGill-Queen's Press - MQUP. ISBN 9780773577244 – via Google Books.
  11. ^ "Address by the Right Honourable L.B. Pearson" (PDF).
  12. ^ "The Right Honourable, Lester B. Pearson, speaking at opening of Glendon College with Escott Reid and Maryon Pearson seated behind him - digital.library.yorku.ca".
  13. ^ "Glendon College - its first 10 years, 1966-1976".
  14. ^ 온타리오, 2008년 2월 27일 뉴욕 대학교의 프랑스어 교육을 위한 새로운 센터에 투자하다.
  15. ^ Hume, Christopher (28 September 2012). "Glendon College and the 21st-century campus: Christopher Hume". Toronto Star. Retrieved 11 March 2013.
  16. ^ "Ontario Strengthens French-Language Services at York University".
  17. ^ "Department of Languages, Literatures & Linguistics - Faculty of Liberal Arts & Professional Studies".
  18. ^ "Students push for French University, and Queen's Park is going to hear about it".
  19. ^ nurun.com. "Sudbury support for French university".
  20. ^ Doucet, Théodore (16 October 2019). "There's light at the end of the tunnel for Ontario's French-language university". University Affairs. Retrieved 18 January 2020.
  21. ^ "Ontario doesn't need another French university - Macleans.ca". 29 November 2013.
  22. ^ http://www.heqco.ca/en-ca/Research/ResPub/Pages/Issue-Paper-No-17-Informing-policy-through-analysis-of-current-research.aspx
  23. ^ Morissette, Jean-François; Fortin-Gauthier, Étienne (21 November 2017). "GLENDON DOIT ABANDONNER LE FRANÇAIS, SELON L'AFO, LE RÉFO ET LA FESFO". ONFR+. Groupe Média TFO. Retrieved 18 January 2020.
  24. ^ "Programs". Future Students. Retrieved 2020-05-29.
  25. ^ "Programs". Future Students. Retrieved 2020-05-29.
  26. ^ "Learning French Beyond the Classroom - Future Students".
  27.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1-30. Retrieved 2015-01-30.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28. ^ "GLENDON - Spanish Resource Centre Reopens at Glendon".
  29. ^ http://www.ocadu.ca/Assets/PDF_MEDIA/Dorothy+H.+Hoover+Library/HistoryOCADLibrary.pdf[영구적 데드링크]
  30. ^ Horn, Michiel (11 December 2008). York University: The Way Must Be Tried (2008 ed.). Montreal: McGill-Queen's - MQUP, Print. p. 28. ISBN 9780773577244.
  31. ^ Horn, Michiel (11 December 2008). York University: The Way Must Be Tried (2008 ed.). Montreal: McGill-Queen's - MQUP, Print. pp. 27, 29. ISBN 9780773577244.
  32. ^ "Global Brief finds new home at York U's Glendon College - York Media Relations".
  33.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9-24. Retrieved 2015-01-30.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34. ^ "About Us Canadian Language Museum". www.languagemuseum.ca. Retrieved 2020-05-29.
  35. ^ "The Glendon School of Public and International Affairs - Glendon".
  36. ^ "Glendon - Glendon Campu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12-08.
  37. ^ "Women's College Hospital - Who Was Dr. Marion Hilliard?".
  38. ^ Marion Hilliard, Profile, science.ca
  39. ^ "goSAFE Services".

외부 링크

좌표: 43°43′39″N 79°22′43″w / 43.7275°N 79.3785°W / 43.7275; -79.37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