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구개구리속
External globus pallidus외구개구리속 | |
---|---|
세부 사항 | |
식별자 | |
라틴어 | 구개골 팔리두스 외피, 구개골 팔리두스 측두엽 |
NeuroNames | 232 |
NeuroEx ID | 버넥스_1610 |
TA98 | A14.1.09.509 |
TA2 | 5570 |
FMA | 61839 |
신경조영술의 해부학적 용어 |
외부 글로부스 팔리두스(GPe 또는 측면 글로부스 팔리두스)는 내부 글로부스 팔리두스(GPI)와 결합하여 기저 갱년기의 해부학적 부분집합인 글로부스 팔리두스를 형성한다.Globus Palidus는 라틴어로 "pale globe"를 의미하며, 그것의 외관을 나타낸다.외구체 팔리두스는 뇌의 중간선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멀리(측면) 있는 구상체 팔리두스의 부분이다.
GPe GABAergic 뉴런은 억제 기능을 허용하고 축을 비탈사핵(디엔팔론), 선조체, 내부 글로부스 팔리두스(GPI) 및 실레미아 니그라파스 레티쿨라타에 투사한다.[1]
GPe는 기본 ganglia의 출력 베이스로 작용하지 않고(thalamus에 축을 보내지 않음) 기저 ganglia 시스템의 주요 조절기로서 작용한다는 사실에 의해 특별히 세트의 다른 요소들과 비교된다.파킨슨병 치료제로 심뇌 자극의 대상으로 쓰이기도 한다.
함수
간접경로
기저신경절은 주로 운동 피질 명령이 없을 때, 뇌줄기의 상부 결장핵과 메소폰틴 티그룸뿐만 아니라 쇄골의 복측핵과 쇄골전핵의 GABAergic 억제를 통해 움직임을 톤적으로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움직임이 필요할 때 대뇌피질은 선조체에게 명령을 보내는데, 이 명령어는 직접 내상구(medial globus palidus)와 실체 nigra pars reticulata를 억제하여 시상하부와 뇌계 억제를 감소시킨다.[1]선조체에서 메디알 글로부스 팔리두스까지의 경로가 단합성(하나의 시냅스 포함)이기 때문에 직접 경로라고 한다.
GPe와 서브탈라믹핵을 포함하는 간접통로는 직접통로의 효과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GPe는 GABAergic 출력을 통해 아탈람 핵 뉴런 활성을 조절하는 억제 "제어 장치" 역할을 한다.[2]
이동 조정이 필요할 때 선조체 억제 GABAergic 액손들을 GPe로 보내어 아탈람 핵의 억제를 감소시킨다.그리고 나서 비탈라믹 핵의 글루타마테라시 뉴런은 GPI를 자극하고 실체니아 니그라 파스 레티쿨라타를 자극한다.
이 다엽형 간접 선조체 살상 경로를 통해 비탈사핵에서 GPI 및 실체형 니그라 파스 레티쿨라타로의 조절된 흥분 입력을 허용한다.이는 GPI의 직접 경로 억제와 결합되어 미세 조정된 기저 골지아 출력과 보다 제어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관련병리학
측면 글로부스 팔리두스 기능장애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관찰되었다.
참조
- ^ a b Parent, André; Hazrati, Lili-Naz (1995-01-01). "Functional anatomy of the basal ganglia. I. The cortico-basal ganglia-thalamo-cortical loop". Brain Research Reviews. 20 (1): 91–127. doi:10.1016/0165-0173(94)00007-C. PMID 7711769.
- ^ Parent, André; Hazrati, Lili-Naz (1995-01-01). "Functional anatomy of the basal ganglia. II. The place of subthalamic nucleus and external pallidium in basal ganglia circuitry". Brain Research Reviews. 20 (1): 128–154. doi:10.1016/0165-0173(94)00008-D.
- ^ Hegeman, Daniel J.; Hong, Ellie S.; Hernández, Vivian M.; Chan, C. Savio (2016-05-01). "The external globus pallidus: progress and perspectives". European Journal of Neuroscience. 43 (10): 1239–1265. doi:10.1111/ejn.13196. ISSN 1460-9568. PMC 4874844. PMID 26841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