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사 오디나리아

Glossa Ordinaria

'일반[즉, 표준형식으로] 글로스'의 라틴어인 글로사 오디나리아(Glosa Ordinaria)는 성서 논평자들을 글로스 형태로 모은 것이다. 광택은 대부분 교회 아버지로부터 그려지지만, 본문은 12세기 동안 학자들에 의해 편곡되었다. 글로스는 다른 글로스 코멘트와 구별하기 위해 "보통"이라고 불린다. 원점에서, 그것은 하나의 일관된 작품이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정된 독립된 논평들의 모음입니다. 글로사오디나리아는 세인트체르의 휴라라의 니콜라스의 논평에 기인하는 포스틸스에 의해 보완되었지만, 초기 근대기까지의 표준 참고 작품이었다.

구성

20세기 이전에 이 글로사오디나리아는 왈라프리드 스트라보에게 잘못 귀속되었다.[1] 광택 구성의 주된 자극은 라온의 안셀름(d. 1117)과 그의 동생 랠프(Ralph) 아우세레와 연관된 또 다른 학자 길버트 만유물(11344)은 비록 한탄에 대한 광택만이 그에게 확고히 귀속되었지만, 구약성서의 많은 부분에 대한 광택을 인정받기도 한다. 글로스는 12세기 후반 파리에서 다소 표준적인 형태를 이루었다.

에디션

113권과 114권인 Peterogia Latina는 스트라보에게 잘못 인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후기 원고 전통을 나타내는 글로사 버전을 포함하고 있다.[2] 현재 1480/1년에[3] 스트라스부르에서 출판된 글로사 초판본팩시밀리가 있으며, 여기서 찾을 수 있다.[4] 현재 다음과 같은 책의 현대판이 있다. 창세기 (chps 1-3); 한탄; 성가; 송가[5]

기타 작품

그것은 유대인 미크라오 게돌롯과 비슷한 전통이다.

저스틴 코퍼스를 위한 어큐시우스나 요하네스 테우토니쿠스 제메케그라티안브레시아의 바르톨로메우 같은 많은 중요한 작품들 또한 그들만의 글로사오르나리아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6]

참조

  1. ^ 잘못은 베릴 스말리(Beryl Smalley)가 처음으로 보여 주었다.
  2. ^ 글로사오디나리아.
  3. ^ Latina cum glossa corronaria: 칼필드 프롤리히와 마가렛 T의 인트로와 함께 4권의 에디디오 프린스프스(Strassburg 1480/81의 아돌프 러쉬)의 팩시밀 리인쇄. 깁슨(Turnhout: Brepols,
  4. ^ "[Biblia cum glossa ordinaria. Pars IV]". dhb.thulb.uni-jena.de. Retrieved 2021-03-02.
  5. ^ 자세한 내용은 '추가 읽기'의 참조를 참조하십시오.
  6. ^ Baldwin, John W, 중세 대학 문화, 1000-1300, 페이지 72-73 ISBN 0-88133-942-3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