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코수리아

Glycosuria
글리코수리아
기타 이름글루코수리아
Beta-D-Glucose.svg
포도당
전문내분비학
원인들당뇨병, 탈수증

글리코수리아소변으로 포도당을 배설하는 것이다. 보통 소변에는 포도당이 들어 있지 않다. 왜냐하면 신장관의 액에서 걸러진 포도당을 모두 다시 혈류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글리코수리아는 거의 항상 혈당 수치 상승에 의해 발생하는데, 가장 일반적으로는 치료되지 않은 당뇨병으로 인해 발생한다. 드물게 글리코수리아는 신장 내 포도당 재흡수의 본질적 문제(판코니 증후군 등)로 인해 신장 글리코수리아라고 불리는 질환이 발생한다.[1] 글리코수리아는 삼투성 이뇨라고 불리는 과정인 탈수증으로 소변으로 과도한 수분 손실을 초래한다.

소화당뇨는 일시적인 질환으로 탄수화물을 다량 섭취하면 위 일부가 외과적으로 제거되어 소변에서 과다한 포도당이 나타나 당뇨를 발생시키는 경우에 빠르게 흡수된다.

병리학

혈액은 신장을 구성하는 기능 단위인 수백만 개의 네프론으로 여과된다. 각 네프론에서 혈액은 동맥류에서 새어 나오는 모세혈관의 덩어리인 글루머룰루스로 흐른다. 보우만의 캡슐은 각 글루머룰루스를 감싸고, 글루머룰루스가 형성하는 여과물을 모은다. 여과물에는 노폐물(예: 요소), 전해질(나트륨, 칼륨, 염화물), 아미노산 및 포도당이 포함되어 있다. 그 여과물은 신장의 신관 속으로 들어간다. 신관절의 첫 부분인 근위관절에서 포도당은 여과액에서 관상피를 가로질러 혈류로 재흡수된다. 근위부 관모는 전송 최대치로 알려진 제한된 양의 포도당(약 375mg/min[2])만 재흡수할 수 있다. 혈당 수치가 약 160–180 mg/dL(8.9-10 mmol/L)을 초과하면 근위부 관절이 압도되어 소변에서 포도당을 배설하기 시작한다.

포도당의 딥스틱 지정과 소변 농도 사이의 대략적인 상관 관계
소변 딥스틱
지정
근사소변
집중력
자취를 감추다 100 mg/dL [3]
1+ 250 mg/dL[3] df
2+ 500 mg/dL[3]
3+ 1000 mg/dL[3]
4+ 2000 mg/dL[3]

이 점을 포도당(RTG)의 신장 임계값이라고 한다.[4] 일부 사람들, 특히 어린이와 임산부는 낮은 RTG(글루코수리아에 걸리기 위해 혈중 포도당 약 7mmol/L[4] 미만)를 가질 수 있다.

RTG가 너무 낮아서 정상 혈당 수치라도 그 상태를 만들어 낸다면 신장 글리코수리아라고 한다.

소변 속의 포도당은 베네딕트의 정성 검사로 확인할 수 있다.

방광에 효모가 있으면 소변 속의 당분이 발효되기 시작하여 비뇨기 자동양조증후군이라고 알려진 희귀한 상태를 만들어낼 수 있다.

참조

  1. ^ Rose, Burton; Rennke, Helmut (1994). Renal pathophysiology – the essentials (1st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p. 194. ISBN 0-683-07354-0.
  2. ^ DeFronzo, Ralph A.; Hompesch, Marcus; Kasichayanula, Sreeneeranj; Liu, Xiaoni; Hong, Ying; Pfister, Marc; Morrow, Linda A.; Leslie, Bruce R.; Boulton, David W. (October 2013). "Characterization of Renal Glucose Reabsorption in Response to Dapagliflozin in Healthy Subjects and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36 (10): 3169–3176. doi:10.2337/dc13-0387. ISSN 0149-5992. PMC 3781504. PMID 23735727.
  3. ^ a b c d e Han BR, Oh YS, An KH, Kim HY, Hong SC, Oh MJ, Kim HJ, Kim YT, Lee KW, Kim SH. [1] [2]
  4. ^ a b AIDA 온라인' 설명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