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준봉급 전차상륙함
Go Jun Bong-class tank landing ship![]() 2010년 2월 3일 성인봉 선수 명단 공개 | |
클래스 개요 | |
---|---|
빌더 | 한진중공업 |
연산자 | ![]() |
선행자 | 운봉반 |
성공자 | 천왕봉반 |
빌드됨 | 1991 - 1996 |
가동중 | 1994 - 현재 |
사용중 | 1994 - 현재 |
완료된 | 4 |
활동적인 | 4 |
일반적 특성 | |
유형 | 상륙함, 탱크 |
톤수 | 2600톤(배수량) / 4300톤(배수량 |
길이 | 112.7m(제곱 피트) |
빔 | 15.4m(51ft) |
드라우트 | 3.1m(10ft) |
설치된 전원 | 12,800 hp(9,500 kW) |
추진 | 2 × SEMT Pielstick 16 PA6V 280 디젤 엔진 |
속도 |
|
범위 | 4,500nmi(8,300km, 5,200mi) |
역량 |
|
크루 | 121 |
센서 및 가공 시스템 | 레이시온 SPS-54 레이더 |
무장을 |
|
운반된 항공기 | 1 × UH-60 헬리콥터 |
항공시설 | Aft 헬리콥터 갑판 |
고준봉급 전차상륙함(한글:고려준봉급급, 한자: 準峰戰車 ship ship ship ship ship ship ship ship ship)은 대한민국 해군의 수륙양용 상륙함급이다.
개발
1980년대 후반 대한민국 해군은 1958년 미 해군으로부터 사들인 2차대전 시대의 LST-542급 전차상륙함(재명 운봉급)의 노후화된 함대를 점차 교체하기로 했다. 현대 수륙양용 및 수송작전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새로운 상륙선을 개발하기 위한 3단계 계획이 마련되었다.
1단계는 LST-I 프로젝트로 지정되었으며, 개발 및 설계는 1987년 현재 한진중공업인 한국 타코마에 의해 시작되었다. 4년간의 개발 끝에 1991년 선도선 고준봉(LST-681)호가 취항했다. 이어 3척의 배가 더 따라왔고 1998년까지 4척의 배가 모두 임관되었다.
2단계(LST-II)는 당초 뉴포트급 전차상륙함 4척을 수입할 예정이었으나 예산 문제로 연기된 뒤 2013~2016년까지 국산 4500t LPD를 위탁하는 쪽으로 변경됐다.[1] 이 배들은 궁극적으로 운봉급과 고준봉급 전차상륙함을 대체하게 된다.
LST-III는 두 척의 중형 헬리콥터 수륙양용 상륙함을 건조할 예정이었고 1997년에 설계가 시작되었다. 2001년 LPX 사업으로 개칭되어 대한민국 해군에 총 2척의 14,300톤급 선박이 발주되었다. 7월 3일에 앞서 배는 독도를 위임해 주었습니다.
디자인
고준봉급 전차상륙함은 LST-542급 설계를 기본으로 하여 외관이 운봉급과 매우 유사하다.
뱃머리에 문밖에 없는 운봉계급과는 달리 배의 선미와 뱃머리에 모두 문과 경사로를 배치한 채 다수의 인력과 탱크, 장비를 동시에 착륙시키도록 설계됐다. 턴테이블도 장착해 차량 적재나 착륙 시 시간을 절약한다. 트럭을 갑판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경사로와 신속한 화물 적재를 위한 다중 엘리베이터도 있다.
선체 번호. | 이름 | 시작됨 | 커미셔닝됨 |
---|---|---|---|
LST-681 | Go Jun Bong (고준봉) | 1991 | 1994 |
LST-682 | Bi Ro Bong (비로봉) | 1995 | 1998 |
LST-683 | 향로봉(향路 bong) | 1996 | 1999 |
LST-685 | 성인봉(성인봉) | 1996 | 1999 |
참조
- ^ 조선일보 - 4천500t급차차기나나2007200720072007나나나나나 10 10 1010/9/2007 Wayback 기계에 2007-10-11 보관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고준봉급 LST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