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쿨라

Gokula
베어

고쿨라
자트반군 지도자 고쿨라를 해체하여 처형한 그림
네이티브 네임
गोकुल
태명올라 하가
죽은1670년 1월 1일
아그라
유명한
관계하가 마두(아버지)

고쿨라(, 1670년 1월 1일 사망)는 인도 하리아나주 [1]하가(아그레/아그하) 고트라에 속한 틸파트자트자민다르입니다.[2] 마두에게서 태어난 네 아들 중 둘째로, 그의 태명은 올라입니다.[3] 고쿨라는 무굴 제국의 힘에 도전하는 자트족에게 지도력을 제공했습니다.[4]

틸파트 전투

틸파트 전투는 1669년 자트와 무굴 제국 무굴 사이에 벌어진 전투입니다.[5] 무굴 수바르다르족아대륙 남부 지역의 지속적인 군사적 팽창으로 인한 무굴 제국의 재정 상태가 좋지 않아 이 지역 농민들에게 무거운 세금을 부과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현지 자민다르족의 불만과 분노가 일어나 무굴족에 대한 반란의 형태를 띠게 되었습니다.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오랑제브는 그의 유능한 지휘관인 하산 알리 칸과 브람데브 시소디아를 압둘 나비가 지휘하는 사다바드 주에 증원하기 위해 라즈푸트와 무굴 병사로 구성된 대규모 군대를 보냈습니다. 자트 족장 고쿨라는 틸팟 자민다르 마두 싱 자트의 아들로 농부들의 반란을 이끌었습니다.[6] 이 반란의 첫 대결은 틸파트를 점령하고 농민들의 반격으로 4일 동안 계속되었습니다.

반란

압둘 나비는 또한 자트 힌두교도들에게 약간의 과잉 행동을 하여 반란을 일으켰습니다.[7] 압둘 나비는 고쿨 싱 근처에 칸톤을 설립하고 그곳에서 그의 모든 작전을 수행했습니다. 그들은 1669년 5월에 압둘 나비가 점령을 시도하다가 살해당한 사호라 마을에서 싸웠습니다. 고쿨라와 그의 동료 농부들은 더 나아가 사다바드 주를 공격하고 파괴했습니다. 이로 인해 힌두교도들은 고쿨라의 땅과 영토를 교환하여 힌두교의 모든 반란군을 파괴하기 위해 그곳에 있던 무굴족 통치자들과 싸우게 되었습니다.[8] 싸움은 5개월 동안 계속되었습니다.[9][10] 한편 고쿨라가 죽은 뒤 추라만바라트푸르 인근의 신시니 요새를 강화하고 아그라와 델리 주변 지역을 약탈했습니다. 아크바르무덤약탈당했고 전설에 따르면 아크바르의 무덤은 파헤쳐졌다고 합니다.[11]

제2차 틸파트 전투

제2차 틸파트 전투
무굴자트 전쟁의 일부
날짜.1669년 5월 12일
위치
틸파트 근처
결과 무굴이 비어 고쿨라 자트를 죽였습니다
준주
변화들
무굴 제국에 합병된 틸파트
Belligerents
고쿨라 싱의 군대 무굴 제국
지휘관 및 지도자
고쿨라 싱 압둘 나비(KIA), 하산 알리, 아마눌라
15,450자트 무굴병 2만 명, 총사 1만 명, 로켓병 5천 명, 포병 250여 발 증원
사상자 및 손실
13,500 to 13,905 Jats 합계(16,000~17,000)

1669년, 2만 명의 추종자들을 거느린 고쿨라 싱은 틸파트에서 20마일 떨어진 곳에서 무굴족과 마주했습니다. 압둘 나비가 그들을 공격했습니다. 처음에 그는 입지를 다지는 것처럼 보였으나, 1669년 5월 12일(1079년 A.H. 21th Dual Hija) 전투 중에 전사했습니다.[12] [13] 그들은 틸파트로 후퇴했고, 하산 알리가 뒤따르며 10,000명의 총사와 5,000명의 로켓병, 250개의 포병을 지원받아 그들을 포위했습니다. 아그라 지방의 파우즈다르인 아마눌라도 하산 알리를 보강하기 위해 파견되었습니다.[14]

후폭풍

고쿨라와 그의 삼촌인 우데이 싱 자트가 이 전투에서 이겼습니다. 그러나 그 후 오랑셉은 그들을 잡기 위해 대군을 보냈습니다. 무굴족은 1670년 1월 1일 아그라 요새 근처에서 그들을 잡아 죽였습니다. 고쿨라 자트와 지지자들은 순교자가 되었습니다.

죽음.

고쿨라는 1670년 1월 1일 반역죄로 잔인하게 살해당했습니다.[citation needed]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समर वीर गोकुल जाट जी के बलिदान दिवस पर कोटि कोटि नमन - Surya Bulletin". 31 December 2019.
  2. ^ Habib, Irfan (2002). "Forms of Class Struggle in Mughal India". Essays in Indian History: Towards a Marxist Perception ; With, The Economic History of Medieval India: a Survey. Anthem Press. p. 251. ISBN 978-1-84331-025-9.
  3. ^ 나렌드라 싱 베르마: 비르바르 아마르 조티 고쿨 싱(힌디), 산칼프 프라카샨, 아그라, 1986, p. 5
  4. ^ R. C. 마줌다르, H. C. 레이차우드하리, 칼리킨카르 다타: 인도의 선진사, 2006, p.490
  5. ^ Jahan, Dr.Ishrat. Socio-Cultural life in Medieval History. Lulu.com. p. 52. ISBN 9780359222803.
  6. ^ Nagar, Ishwardas (1978). Tasneem Ahmad (ed.). Ishwardas Nagar's Futuhat-i-Alamgiri. Idarah-i Adabiyat-i Delli. p. 83.
  7. ^ Chandra, Satish. History of medieval India. Orient Blackswan.
  8. ^ 나렌드라 싱 베르마: 비르바르 아마르 조티 고쿨 싱(힌디), 산칼프 프라카샨, 아그라, 1986, p. 34
  9. ^ 나렌드라 싱 베르마: 비르바르 아마르 조티 고쿨 싱(힌디), 산칼프 프라카샨, 아그라, 1986, p. 35
  10. ^ Sen, Sailendra (2013). A Textbook of Medieval Indian History. Primus Books. p. 188. ISBN 978-9-38060-734-4.
  11. ^ Reddy, Krishna. Indian History. McGraw Hill. ISBN 978-0-07-132923-1.
  12. ^ Sarkar, Jadunath. "Maasir-i-Alamgiri A history of emperor Aurangzeb Alamgir". AhleSunnah Libra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November 2014. Retrieved 19 November 2015.
  13. ^ Ojha, Dhirendra Nath (1993). Aristocracy in medieval India. Orient Publications. p. 100. ISBN 9788185294056. Retrieved 28 August 2007.
  14. ^ Sharmaji, Gautama (1990). Valour and Sacrifice: Famous Regiments of the Indian Army. Allied Publishers. pp. 152–153. ISBN 9788170231400. Retrieved 19 November 2015.
앞에
국가의 창시자
바라트푸르 주의 통치자
? – AD 1670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