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든 로즈

Golden Rose
Golden Rose by Giuseppe와 Pietro Paolo Sparkna. 로마, 1818년/19년 경. 오늘 비엔나 호프부르크 왕궁의 황실 금고에 보관되었다.

황금 장미가톨릭 교회교황들이 전통적으로 매년 축복을 받아온 금장식이다. 그것은 때때로 존경이나 애정의 표시로 수여된다. 수혜자 중에는 교회와 성지, 왕족, 군인, 정부 등이 포함됐다.

의의와 상징성

교황 요한 XX가 준 미누키오 다 시에나의 황금로즈(130년)는 뉴샤텔 백작 니다우의 루돌프 3세에게

장미는 사순절의 네 번째 일요일인 Lætare Sunday(로즈 선데이라고도 한다)에 축복을 받는다. 이 때 장미 색깔의 조끼와 휘장들은 사순절 엄숙한 가운데 희망과 기쁨을 상징하는 참회색 보라색을 대신한다. 대부분의 사순절 내내 가톨릭 신자들은 기도하고, 금식하고, 참회하고, 죄악의 악과 그 악영향에 대해 명상한다. 하지만 로즈 선데이는 칼바리에서의 그리스도의 죽음을 넘어 그의 기쁨에 찬 부활을 기대할 수 있는 기회다. 아름다운 황금 장미는 영광스러운 위엄의 부활 그리스도를 상징한다. (메시아는 성경에서 "밭의 꽃과 계곡의 백합"이라고 칭송받는다.)[1] 교황 레오 13세에 따르면, 장미의 향기는 "그의 충실한 추종자들이 널리 퍼뜨려야 할 그리스도의 달콤한 냄새를 보여준다"(Acta, vol)고 한다. VI, 104), 꽃잎의 가시와 붉은 색조는 그의 피비린내 나는 정열을 가리킨다.

많은 교황들이 장미에게 서품을 할 때 설교와 편지로 그 신비로운 의미를 설명하였다. 인노첸시오 3세는 "기능을 위해 따로 정한 날인 일요일은 미움 후의 사랑, 슬픔 후의 기쁨, 배고픔 후의 충만함을 나타내기 때문에 장미도 각각 색깔과 냄새와 맛, 사랑, 기쁨, 포만감으로 지정된다"면서 "장미를 이사야 11:1에 언급된 꽃에 비유했다"고 말했다. 이새의 뿌리가 되면, 그의 뿌리에서 꽃이 피어날 것이다.'

현대 로즈의 역사와 발전

솜씨

더 플라워

식스토 4세 (1471–84)의 교황 이전에, 골든 로즈는 순금으로 만들어지고 붉은 색으로 약간 색칠된 단순하고 단일한 꽃으로 구성되었다. 나중에, 신비한 상징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장식을 장식하기 위해 금은 색칠하지 않고 루비처럼 남겨졌고, 그 후에 장미 중앙이나 꽃잎에 많은 귀중한 보석들이 놓이게 되었다.

교황 식스토 4세는 단풍 대신 가시나무 가지와 많은 (10개 이상의) 장미로 대체했는데, 그 중 가장 큰 것은 가지 꼭대기에서 작은 장미들이 주위에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교장 장미 중앙에는 뚜껑이 뚫린 작은 컵이 있었는데, 그 안에 교황이 장미를 축복하기 위해 사향발삼을 부었다. 그 장식은 전부 순금으로 되어 있었다. 이 '시스틴' 디자인은 유지되었지만 장식, 크기, 무게, 가치에 관해서는 다양했다. 원래 그것은 높이가 3인치가 조금 넘었고, 예루살렘(로마)의 산타크로스 교회에서 라테란 궁전으로 행렬을 지나갈 때, 교황의 왼손에는 오른손으로 군중을 축복하면서 쉽게 옮겨졌다. 그 후 특히 꽃병과 큰 받침대가 장식의 일부가 되었을 때, 튼튼한 성직자가 그것을 운반하도록 요구되었고, 행렬에서 교황 십자가 앞에 서게 되었다. 후세인 인노첸시오 11세가 요셉 1세의 부인 브룬스윅의 빌헬미나 아말리아에게 보낸 장미는 무게가 20파운드, 높이가 거의 18인치나 되었다. 그것은 꽃다발 형태로, 줄기의 꼭대기에서 많은 권선화 끝에 함께 나온 세 개의 꼬불꼬불한 나뭇가지가 커다란 장미와 잎 군락을 받치고 있었다.

꽃병과 받침대

화병과 그것을 받치고 있는 받침대는 재료, 무게, 형태에 따라 다양했다. 처음에는 금으로 만들었으나, 그 뒤에는 은으로 된 금으로 된 은으로 된 금으로 만든 것이다. 대좌는 삼각형, 사방형 또는 팔방형 중 하나일 수 있으며, 다양한 장식과 밑받침으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대좌에는 관례적인 비문 외에도 장식을 한 교황의 국장, 축복을 하고 서훈한 교황의 국장 등이 새겨져 있다.

장식의 가치

바티칸 도서관의 골든 로즈.

장미의 가치는 교황의 재치나 시대의 경제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Baldassari (1709)는 1650년에 수여된 장미는 약 500 에쿠스(scudi d'o'ro; 500 에쿠스는 약 1.7 킬로그램의 금에 상당한다고 말한다. 교황 알렉산더 7세가 보낸 두 송이의 장미꽃은 각각 800여 송이와 1200여 송이로 평가됐다. 교황 클레멘스 9세프랑스 여왕에게 8파운드의 금으로 만들어진 약 1600 에쿠스를 보냈다. 이 장미의 솜씨는 매우 훌륭해서, 예술가는 300 에쿠스에 상당하는 것을 받았다. 순진한 XI는 7.5파운드의 금을 장미로 만들어, 1450년 에쿠스 전체에 걸쳐 많은 사파이어로 장식하였다.[2] 록(1909년)은 19세기에 장미의 적지 않은 가격이 2000 에쿠스 이상이라고 덧붙인다.[3]

기원

장미를 주는 풍습은 가톨릭 통치자들에게 에서 황금열쇠를 보내는 고대 관습을 대신했다. 교황 그레고리오 2세(716년)나 교황 그레고리오 3세(740년)가 도입한 관습이다. 장미와 열쇠 사이에는 어떤 유사점이 있다: 둘 다 유명한 가톨릭 신자들에게 교황에 의해 축복받고 수여된 순금이며, 또한 어느 정도 사향과 발삼을 포함하고, 열쇠는 성 의장의 필링이다. 피터

장미꽃의 정확한 연대는 알려지지 않았다. 일부에 따르면 샤를마뉴(742-814)보다 앞섰고, 다른 것에 따르면 12세기 말에 그것의 기원이 있었지만, 교황 레오 9세(1051)가 당시 고대 기관으로 장미를 언급했기 때문에 확실히 1050년을 앞당겼다.

교황이 교황 궁정에서 가장 자격이 있는 왕자에게 장미꽃을 바치는 아비뇽으로 이주하면서 시작된 풍습은 교황이 로마로 돌아간 후에도 계속되었다. 왕자는 엄숙한 의식으로 교황으로부터 장미를 받고 교황궁에서 관저까지 추기경단과 동행할 것이다. 17세기 초부터 장미는 여왕, 공주, 그리고 저명한 귀족들에게만 보내졌다. 황제, , 왕자들에게는 더 적절한 선물로 축복받은 칼과 모자를 주었다. 그러나 만약 자격이 있는 가톨릭 황제, 왕 또는 다른 위대한 왕자가 일요일에 로마에 참석한다면, 그는 장미를 선물 받을 것이다.

로마 이외의 지역에 사는 사람들에게 장미를 운반하고 수여하는 사무실은 교황이 라테레, 낭쇼, 인터넌쇼스, 아포토릭 수문 등을 추기경에게 주었다. 1895년 왕실 의원들(세습이 아닌)을 위해 운명적으로 "황금장미의 착용자" 또는 "황금장미의 관리자"라고 불리는 새로운 사무실이 설립되어 교황청 내의 계급인 검과 망토 참여자의 비밀의 방에 배정되었지만 그것은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장미의 축복

가장 이른 장미는 축복받지 못했다. 대신, 축복은 그 의식을 더욱 엄숙하게 하고, 받는 사람 입장에서 그것에 대한 더 큰 경의를 유도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페트라 추기경에 따르면 (코멘트) 헌법상 아포스톨라스, 3세, 2세, 1세, 교황 인노첸시오 4세(1245–54)가 가장 먼저 축복을 했다. 그러나 다른 이들은 교황 인노첸시오 3세(1198–1216), 교황 알렉산더 3세(1159–81) 또는 교황 레오 9세(1049–55)가 첫 번째라고 주장한다. 1051년 레오 9세는 프랑코니아에 있는 밤베르크수도원(넌스)에게 매년 라에타레 선데이(Theop)에 골든로즈를 공급하고 이월할 것을 의무화했다고 한다. 레나우드, 데 로사 메디아나, 폰티피체 성체라타, IV, 413). 교황 베네딕토 14세는 축복의 의식이 14세기 말이나 15세기 초에 시작되었음을 증명한다. 교황 의식의 거장 카탈라누스는 초창기 장미도 사향과 발삼으로 기름을 부었지만, 기도, 향, 성수를 뿌린 축복이 교황 율리우스 2세(1503–13)가 즉위하기 전쯤부터 시작되었다고 믿는다. 현재, 교황은 매년 장미를 축복하지만, 장미는 항상 새롭고 다른 장미는 아니다; 오래된 장미는 주어질 때까지 사용된다.

원래 (아비뇽으로 교황이 옮겨오기 전) 장미는 교황이 있는 궁전의 예물전(성전)에서 축복받았지만, 장미의 기부는 장미의 엄숙한 미사와 기부가 예루살렘의 산타크로스(천국예루살렘의 교황 인노첸시오 3세에 따르면)에서 이루어졌다. 축복을 받은 뒤 교황 자신이 부르거나 초대 추기경이 부르는 엄숙한 미사가 이어졌다. 전자의 경우 장미를 금으로 수놓아진 장미빛 비단 베일에 걸치고 후자의 경우, 교황은 무릎을 꿇은 채나 인트로이트, 콘피토르, 입고, "도미노의 라우데무스"를 부르는 동안 장미꽃을 손에 들고 있었다. 교황은 손을 잡고 라테란 궁전으로 행렬을 지어 돌아왔다. 로마 총독은 그의 말을 고삐를 잡고 그를 도와 하산을 도왔다. 도착하자마자 그는 이러한 존경과 경의를 표하는 행위에 대한 보상으로 장미를 현감에게 주었다. 1305년 이전에 로마에서 장미는 대관식 당일에 황제를 제외한 어떤 외국인에게도 주어지지 않았다. 아비뇽(1305–1375)에 거주하는 동안 교황들은 로마 교회와 바실리카를 방문할 수 없는 신성한 기능들, 그중에서 장미의 축복을 그들 궁전의 개인 예배당(가펠라 폰티피시아의 기원)에서 많이 수행했다. 로마로 돌아오면서 그들은 이 관습(Sixtus V 제외)을 유지했다.

황금 장미는 1892년 도메니코 마리아 자코비니 대주교가 포르투갈여왕 오를레앙스의 아멜리에게 수여한다.

장미의 축복은 이제 예물전(카메라 데이 시멘티)에서, 엄숙한 미사는 교황 예배당에서 이루어진다. 장미꽃은 촛불이 켜진 탁자 위에 놓이고, 알베와 장미빛으로 도굴된 교황은 머리에 귀한 미트레대처하며, 평소의 버시클과 다음과 같은 시적 기도로 의식을 시작한다.

"오, 하나님! 모든 것이 누구의 말과 권능으로 창조되었는가, 누구의 뜻대로 이루어졌는가, 우리는 겸손하게 모든 신자들의 기쁨과 기쁨을 예술하는 폐하께 간곡히 애원합니다, 폐하께서는 아버지처럼 이 장미를 축복하고 거룩하게 하기를 사랑하시며, 이 장미는 오늘 우리가 영적인 기쁨의 표시로 들고 다니시며, 테가 거룩하게 구별하여 바빌로니아 노예의 굴레에서 이스라엘 백성과 우리의 천상의 어머니 예루살렘의 영광과 영광을 누리는 자들의 은총으로 바빌로니아 노예의 굴레에서 건져낸 백성들이 진실한 마음으로 기쁨을 드러내게 할 것이다. 그러므로 주님, 이 날에 교회가 주님의 이름으로 기뻐하며, 이 팻말 [장미]로 그녀의 기쁨을 나타낼 때에, 그녀의 진실하고 완벽한 기쁨과 오늘의 헌신을 우리에게 베풀어 주시며, 죄를 전가하고, 믿음을 강화하고, 경건함을 높이며, 주님의 자비로 그녀를 보호하며, 그녀에게 불리한 모든 것을 몰아내고, 그녀의 길을 안전하고 번영하게 해주십시오.ous, 그리하여 너희 교회는 선한 일의 열매로서, 이새의 뿌리에서 싹트고 들판의 신비로운 꽃이며 골짜기의 백합인 저 꽃의 연고의 향수를 발산하는데 연합하여 모든 성도들과 함께 영원한 영광에 그치지 않고 행복하게 지낼 수 있도록 하라."

끝난 기도는 교황이 검열관에 (검정 집사의 손)을 넣고 발삼과 사향(사향)을 주입한 뒤 교장의 심장에 있는 작은 컵에 발삼과 가루로 된 사향(사향)을 넣는다. 그리고 나서 그는 장미를 찔러 성수를 뿌린다. 그리고 나서 그것은 교황 앞에서 그것을 들고 예배당으로 가는 카메라의 막내 성직자에게 주어지고, 그곳에서 그것은 풍부하게 수놓은 비단 베일에 얹힌 십자가 기슭의 제단 위에 놓이게 되는데, 그것은 첫 추기경이 노래한 미사 동안 남아 있다. 미사가 끝난 후, 장미는 교황 앞에서 행렬을 지어 성찬식당으로 옮겨지는데, 그 장미는 그것을 위해 따로 마련된 곳에 조심스럽게 놓아두고, 어떤 가치 있는 사람에게 수여될 때까지 계속된다.

받는 사람

골든로즈는 주와 교회뿐만 아니라 남녀, 부부 한 쌍의 사람들에게 수여되었다.

16세기까지 황금 장미는 보통 남자 주권자에게 수여되었다. 16세기 이후로는 여성 주권자와 주권자의 부인들에게 그들을 수여하는 것이 더 흔해졌다. 골든로즈를 마지막으로 받은 남성은 1759년 베네치아 도게의 프란체스코 로레단이었다. 골든로즈를 받은 마지막 여성, 마지막 주권자, 그리고 마지막 사람은 1956년 룩셈부르크의 샬롯 대공비였다.

장미가 출품된 주요 교회들 에는 세인트루이스가 있다. 베드로바실리카(장미 다섯 송이), 세인트 라테란의 아르바실리카(장미 네 송이),[4] 산타 마리아 마조레(장미 두 송이) 등이 있다.[5]

바울 6세 이후, 모든 황금 장미는 교회에 수여되었다; 베네딕토 16세의 모든 상은 마리안 사당에게 수여되었다.

연도 받는사람 교황 수취인종류 수령인의 지리적 영역 메모들
1096 풀크 4세, 안주 백작 우르반 2세 남자 프랑스. [6]
1148 레온과 카스티야의 왕 알폰소 7세 유진 3세 남자 스페인
1163 루이 7세 알렉산더 3세 남자 프랑스.
1183 윌리엄 1세, 스코틀랜드 왕 루시우스 3세 남자 스코틀랜드 [7]
1227 라이몬도 오르시니 그레고리 9세 남자 이탈리아 [8]
1244 라이온 성 저스트 성당 인노첸시오 IV 교회의 프랑스. [8]
1304 페루자 산도메니코 교회 베네딕토 11세 교회의 이탈리아 [8]
1348 루이 1세 클레멘트 6세 남자 이탈리아
1348 루이 1세, 헝가리의 왕 클레멘트 6세 남자 헝가리 [8]
1350 니콜로 아치아올리, 나폴리 그랜드세네스찰 인노첸시오 6세 남자 이탈리아 [8]
1362-70 발데마르 4세 어반 V 남자 덴마크 [8]
1368 나폴리 여왕 조안나 1세 어반 V 여자 이탈리아 [8]
1369 성 베드로 대성당 어반 V 교회의 이탈리아 [8]
1389 라이몬도 델 발조 오르시니 어반 V 남자 이탈리아 [8]
1391 알베르토 데스테 페라라 후작 보니파스 9세 남자 이탈리아 [8]
1393 아스토레 1세 만프레디 다 바냐카발로 보니파스 9세 남자 이탈리아 [8]
1398 우골리노 3세 트린치, 폴리그노 영주 보니파스 9세 남자 이탈리아 [8]
1410 니콜로 3세 데스테 페라라 후작 알렉산더 5세 남자 이탈리아 [9]
1411 샤를 6세 존 XXIII 남자 프랑스. [9]
1413 루이지 알리도시, 이몰라 영주 존 XXIII 남자 이탈리아 [9]
1415 지기스문트, 신성로마제 존 XXIII 남자 독일. [9]
1419 플로렌스 공화국 마르틴 5세 이탈리아 [9]
1420 우르비노 백작 귀단토니오 다 몬테펠트로 마르틴 5세 남자 이탈리아 [9]
1435 지기스문트, 신성로마제 유진 4세 남자 독일. [9]
1444 헨리 6세, 영국 국왕 유진 4세 남자 잉글랜드
1448 카시미르 4세, 폴란드 국왕 니콜라스 5세 남자 폴란드
1452 프레데릭 3세, 신성로마제, 엘레노라 황후 니콜라스 5세 커플 독일. 그들이 왕위에 오른 다음 날 받았다.
1457 샤를 7세 칼리스토스 3세 남자 프랑스.
1461년 3월 15일 토마스 팔라이올로고스 비오 2세 남자 그리스 [10]
1477 루도비코 3세, 만투아 후작 식스토 4세 남자 이탈리아 [11]
1481 루이 11세 식스토 4세 남자 프랑스. [12]
1482 뷔르템베르크 공작 에버하르트 1세 식스토 4세 남자 독일.
1486 제임스 3세 인노첸시오 8세 남자 스코틀랜드
1491 제임스 4세, 스코틀랜드 왕 인노첸시오 8세 남자 스코틀랜드
1493 카스티야의 여왕 이사벨라 1세 알렉산더 6세 여자 스페인
1505 알렉산더 자젤론, 폴란드의 왕 율리우스 2세 남자 폴란드
1506 마누엘 1세, 포르투갈의 왕 율리우스 2세 남자 포르투갈
1514 마누엘 1세, 포르투갈의 왕 레오 X 남자 포르투갈 두 번째 상
1518 프레데릭 3세, 작센의 선거구 레오 X 남자 독일.
1512? 헨리 8세, 영국 국왕 율리우스 2세 남자 잉글랜드
1521? 헨리 8세, 영국 국왕 레오 X 남자 잉글랜드
1524 헨리 8세, 영국 국왕 클레멘스 7세 남자 잉글랜드
1537 페데리코 2세, 만투아 공작 폴 3세 남자 이탈리아 [13] 트렌트 평의회의 아버지들에 대한 그의 친절 때문에.
1543 에르콜레 2세 데스테 페라라 공작 폴 3세 남자 이탈리아 [14]
1548 프랑스의 여왕 캐서린 메디치 폴 3세 여자 프랑스. [14]
1550 포르투갈의 왕자 주앙 마누엘 율리우스 3세 남자 포르투갈 [14]
1551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 율리우스 3세 교회의 이탈리아 [14]
1555 메리 1세, 영국 여왕 폴 4세 여자 잉글랜드 [14]
1557 알바 데 토르메스 공작부인 마리아 엔리케스 알바레스 데 톨레도 폴 4세 여자 스페인 [14] 페르난도 알바레스톨레도 피멘텔, 제3대 알바토르메스 공작의 아내
1560 스코틀랜드의 여왕 메리 비오 4세 여자 스코틀랜드
1561 보헤미아의 여왕 앤 비오 4세 여자 보헤미아 [14]
1564 루카 공화국 비오 4세 이탈리아 [14]
1572 샤를 9세 그레고리 XIII 남자 프랑스. 성도를 가능하게 한 왕의 역할에 감사하기 위해 주어진다. 바르톨로뮤의 날 학살
1574년 3월 24일 오스트리아의 돈 존 그레고리 13세 남자 스페인과 독일 성교회에서 주어지는. 나폴리, 클라라, 교황의 체임벌린에 의해, "그의 [교황의] 자비심과 부성애에 대한 표시로"[15]
1592 앙리 4세, 프랑스의 왕 클레멘스 8세 남자 프랑스.
1597 모로시나모로시니 클레멘스 8세 여자 베네치아 베네치아 도가레사 대관식에서 수여된.
1598 스페인의 여왕 마거릿 클레멘스 8세 여자 스페인 그녀가 스페인 왕 필립 3세에게 대리 결혼하는 날에 받았다.
1607 산타마리아소프라미네르바 폴 5세 교회의 이탈리아 [16]
1610 산타산토룸 폴 5세 교회의 이탈리아 [16]
1625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여왕 헨리에타 마리아 우르반 8세 여자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16] 아미앵에게 받은
1626/7 페르디난드 2세, 투스카니 대공 우르반 8세 남자 이탈리아 [16]
1628 마달레나, 투스카니 공작 부인 우르반 8세 여자 이탈리아 [16]
1630 헝가리 여왕 마리아 안나 우르반 8세 여자 독일. [16] 후기 황후
1631 타데오 바르베리니 로마 총독 우르반 8세 남자 이탈리아 [16] 그는 교황의 조카였다.
1634 성 베드로 대성당 우르반 8세 교회의 이탈리아 [16]
1635 바이에른의 여주인 마리아 안나 우르반 8세 여자 독일. [17]
1649 스페인의 여왕 마리아나 인니티 엑스 여자 스페인 [18]
1651? 폴란드의 여왕 마리 루이즈 인니티 엑스 여자 폴란드 [18]
1654 모데나 공작부인 루크레지아 인니티 엑스 여자 이탈리아 [18]
1658 시에나 대성당 알렉산더 7세 교회의 이탈리아 [18] 교황의 고향 대성당, 지안 로렌초 베르니니가 디자인한 장미
1668 프랑스의 여왕 마리아 테레사 알렉산더 7세 여자 프랑스. 교황이 대부였던 그녀의 어린 아들 다우핀을 위해서.
1672 폴란드 여왕 엘리노르 클레멘트 X 여자 폴란드
1684 폴란드의 여왕 마리 카시미르 루이즈 인노첸시오 XI 여자 폴란드
1699 신성로마제국 황후 빌헬미나 아말리아 인니티 엑스II 여자 독일.
1701 스페인의 여왕 마리아 루이사 클레멘스 XI 여자 스페인
1726 비올란테 베아트리체 투스카니의 대공주 베네딕토 9세III 여자 이탈리아 [19]
1736 폴란드의 여왕 마리아 요세파 클레멘트 XII 여자 폴란드 [20]
1759 프란체스코 로레단, 도게 클레멘트 13세 남자 이탈리아
1776 테셴 공작부인 마리아 크리스티나 비오 6세 여자 오스트리아
1784 파르마 공작부인 마리아 아말리아 비오 6세 여자 이탈리아
1790 나폴리의 여왕 마리아 카롤리나 비오 6세 여자 이탈리아
1819 오스트리아의 황후 캐롤라인 아우구스타 레오 12세 여자 오스트리아
1825 사디니아 왕비 마리아 테레사 레오 12세 여자 이탈리아
1830 칭골리 대성당 비오 8세 교회의 이탈리아 [21] 교황의 고향 대성당
1832 헝가리 여왕 마리아 안나 그레고리 16세 여자 오스트리아 [21] 후에 오스트리아의 황후
1833 세인트마크 대성당 그레고리 16세 교회의 이탈리아 [21]
1842 포르투갈의 여왕 마리아 2세 그레고리 16세 여자 포르투갈
1849 사보이 공주 마리아 피아 비오 9세 여자 이탈리아 세례식 당일에 그녀의 대부가 준; 후에 포르투갈의 여왕이 되었다.
1856 프랑스 황후 외제니 비오 9세 여자 프랑스.
1861 두 시칠리아의 여왕 마리아 소피 비오 9세 여자 이탈리아
1868 엘리자베트, 오스트리아의 황후 비오 9세 여자 오스트리아
1868 이사벨라 2세, 스페인의 여왕 비오 9세 여자 스페인
1870 산탄토니오 데이 포르토게시 비오 9세 교회의 이탈리아 [22]
1877년 9월 루르드 여신의 성소 비오 9세 사당 프랑스. [23]
1886 마리아 크리스티나, 스페인 왕비 다우거 레오 13세 여자 스페인
1887 메리 그웬돌린 콜드웰 레오 13세 여자 미국 Caldwell 부인은 미국 가톨릭[24][25] 대학교의 설립을 위해 기부했다.
1888 이사벨, 브라질 공주 레오 13세 여자 브라질 레이 아우레아를 만나다
1892 포르투갈의 여왕 아멜리 레오 13세 여자 포르투갈
1893 벨기에의 여왕 마리 헨리에트 레오 13세 여자 벨기에
1923 빅토리아 유제니, 스페인 여왕 비오 11세 여자 스페인
1926 벨기에 왕비 엘리자베트 비오 11세 여자 벨기에
1930 이탈리아의 여왕 엘레나 비오 11세 여자 이탈리아 [26]
1937 이탈리아의 여왕 엘레나 비오 11세 여자 이탈리아 [27] 그녀의 결혼 40주년을 기념하여.
1953 세 성당 비오 12세 교회의 인도 [28] 프란시스 사비에의 무덤에 안치된.
1956 룩셈부르크 대공국 샬럿 비오 12세 여자 룩셈부르크
1964 예수탄생교회 폴 6세 교회의 팔레스타인 [29]
1965 파티마 여신의 성소 폴 6세 사당 포르투갈 [30]
1966년 3월 25일 과달루페 성모 대성당 폴 6세 교회의 멕시코 [28]
1967 아파레시다 성당의 성당 (현재 "아파레시다의 옛 성당"으로 알려져 있다) 폴 6세 교회의 브라질 [28]
1979년 6월 검은 마돈나 체스토코바 요한 바오로 2세 사당 폴란드 [31]
1979년 9월 노크 신사 요한 바오로 2세 사당 아일랜드 [32]
1982년 6월 루잔 성모 대성당 요한 바오로 2세 사당 아르헨티나 [33][34][35]
1985년 6월 28일 베레흐라드의 마리아와 성인 키릴과 마릴리우스의 가정 바실리카 요한 바오로 2세 사당 체코 [36][37]
1987년 6월 칼와리아 제브리지도프스카 요한 바오로 2세 사당 폴란드 [38]
1988년 5월 14일 복음화 성모 성소 요한 바오로 2세 사당 페루 리마 [39]
2000년 12월 로레토 성당 요한 바오로 2세 사당 이탈리아
2004년 8월 14일 루르드 여신의 성소 요한 바오로 2세 사당 프랑스. [40] 두 번째 상
2004년 10월 17일 성 요셉의 웅변가 요한 바오로 2세 교회의 캐나다 몬트리올

[41]

2004년 12월 사메이로 성소 요한 바오로 2세 사당 포르투갈 브라가

[42]

2006 검은 마돈나 체스토코바 베네딕토 16세 사당 폴란드 두 번째 상
2007년 5월 12일 아파레키다 여사의 국립신궁 성당("아파레키다 신 성당") 베네딕토 16세 사당 브라질 아파레치다 여사의 이미지에 두 번째 상. 첫 번째 상은 1980년 새로운 바실리카의 건설과 성결식이 있기 전인 1967년 올드 바실리카에 소장되었을 때 이미지로 주어졌다.[43]
2007년 9월 8 마리아젤 성모 마리아젤 탄생 대성당 베네딕토 16세 사당 오스트리아 [44][45]
2008년 4월 9일 알토트 여신의 성지 베네딕토 16세 사당 독일 알토트팅 [46]
2008년 4월 16일 불결신앙의 국립신궁 대성당 베네딕토 16세 사당 워싱턴 D.C. [47]
2008년 5월 17일 노스트라 시그노라 델라 미제리코르디아의 성역 베네딕토 16세 사당 이탈리아 사보나 [48]
2008년 5월 18일 노스트라 시그노라 델라 과르디아의 신사 베네딕토 16세 사당 이탈리아 제노바 [48]
2008년 9월 7일 보나리아 여신의 성지 베네딕토 16세 사당 이탈리아 카글리아리 [48]
2008년 10월 19일 폼페이의 묵주 성모 성모 성당 베네딕토 16세 사당 이탈리아 폼페이 [49]

[50]

2009년 4월 28일 십자가 여신의 성지 베네딕토 16세 사당 이탈리아 아퀼라 지진[51]
2009년 5월 유럽의 성모 성지 베네딕토 16세 사당 지브롤터 [52][53]
2009년 11월 22일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라 카베자의 성당 베네딕토 16세 사당 스페인 자엔 [48]
2010 케이트랄 바실리카 데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발레 베네딕토 16세 교회의 아르헨티나 [35][54]
2010년 4월 18일 타 피누의 성지 베네딕토 16세 사당 몰타 [55]
2010년 5월 12일 파티마 여신의 성소 베네딕토 16세 사당 포르투갈 [56] 번째 상

[57]

2010년 8월 23일 계곡의 성녀 성소 베네딕토 16세 사당 아르헨티나 카타마르카 [58]
2010년 11월 13일 소코로의 처녀자리 베네딕토 16세 사당 베네수엘라 발렌시아 [59]
2011년 5월 15일 셔펜허벨 성모 대성당 베네딕토 16세 사당 벨기에

[60]

2012년 3월 26일 바실리카 산투아리오 나시오날 드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라 카리다드 베네딕토 16세 교회의 쿠바 코브레 [61][62]
2013년 11월 22일 과달루페 성모 대성당 프란시스 사당 멕시코

[63] 두 번째 상

2016년 7월 28일 검은 마돈나 체스토코바 프란시스 사당 폴란드 [64] 서드 어워드
2017년 5월 13일 파티마 여신의 성소 프란시스 사당 포르투갈 서드 어워드[65]
2017년 10월 7일 아파레키다 여사의 국립신궁 성당("아파레키다 신 성당") 프란시스 사당 브라질 황금 장미의 세 번째 상은 우리 아가씨의 아이콘으로, 그 아이콘이 올드 바실리카에서 새로운 바실리카로 옮겨진 이후 두 번째 상이다. 이 상은 아이콘의 등장 300주년과 그에 대한 헌신을 기념하는 상이다.[66]
2019년 6월 1일 크식솜리요의 성모 프란시스 사당 루마니아 트란실바니아 [67]
2021년 9월 15일 슬픔의 성모 대성당 프란시스 사당 슬로바키아 [68]

원천

  • 이 글에는 현재 공개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가 통합되어 있다. Herbermann, Charles, ed. (1913). "Golden Rose". Catholic Encyclopedia.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카톨릭 백과사전: PMJ Rock의 "황금 장미" 기사, 1909.
  1. ^ 솔로몬의 노래 2:1
  2. ^ 안토니오 발다사리, 라로사 도로, 체시 베네디스 콰르타 도메니카 콰레시마소모 폰테페이스 (1709), 190f.
  3. ^ , P.M.J., 카톨릭 백과사전(1909)의 "황금 장미"
  4. ^ 일부 소식통에 따르면 4송이의 장미 중 2송이는 바실리카 본당에, 2송이는 산타산토르툼이라는 예배당에 각각 전달됐다.
  5.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9-30. Retrieved 2014-07-21.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6. ^ 가에타노 모로니, 「로사 도로」, 디지오나리오에루디지오네 스토리코-에클레시아스타(베네치아: Tipografia Emiliana, 1852년), LIX, 116.
  7. ^ 오트, 마이클 "포프 루치우스 3세." 가톨릭 백과사전 제9권 뉴욕: Robert Appleton Company, 1910. 2021년 1월 30일
  8. ^ a b c d e f g h i j k l 모로니, LIX 125번지
  9. ^ a b c d e f g 모로니, LIX 126번지
  10. ^ Zakythinos, D. A. (1932). "Les derniers Paléologues en exil". Le despotat grec de Morée (in French). Paris. p. 288.
  11. ^ "LUDOVICO III Gonzaga, marchese di Mantova in "Dizionario Biografico"". www.treccani.it.
  12. ^ Joseph Combet (1903). Louis XI et le Saint-Siège: 1461-1483 (in French). Paris: Hachette. p. 186.
  13. ^ 모로니, LIX 130-31
  14. ^ a b c d e f g h 모로니, LIX 131세
  15. ^ Coloma, Luis. "The Story of Don John of Austria".
  16. ^ a b c d e f g h 모로니, LIX, 135세
  17. ^ 모로니, LIX 135-36
  18. ^ a b c d 모로니, LIX 136번지
  19. ^ 영, G. F.: 메디치: 제2권, E. P. Dutton and Company, 1920, 페이지 488
  20. ^ 로제크, M.: 인터프레스의 와웰에 있는 왕립 대성당, 1981년, 페이지 158과 165
  21. ^ a b c 모로니, LIX 144세
  22. ^ 로도비코 안토니오 무라토리, 안날리 디탈리아프린키오 델라 볼가레시노 1750(피렌제: 레오나르도 마르치니, 1827), XXXIII, 33.
  23. ^ "A month at Lourdes and its neighbourhood in the summer of 1877". January 22, 1878 – via Internet Archive.
  24. ^ Ryan, Patrick J. (2003). When I Survey the Wondrous Cross: Scriptural Reflections for Lent. Paulist Press. ISBN 978-0-8091-4207-1.
  25. ^ Gollar, C. Walker (1995). "The Double Doctrine of the Caldwell Sisters". The Catholic Historical Review. 81 (3): 372–397. ISSN 0008-8080. JSTOR 25024524.
  26. ^ 뉴욕 타임즈 (1930년 3월 30일) : 25
  27. ^ 뉴욕타임스(NYT) '엘레나 여왕을 위한 포프 블레스 선물'(1937년 3월 8일) : 12.
  28. ^ a b c 바티칸의 베르나르 베르나르 베르소드와 피에르 블란차드, 트레소르스 요실루누스 바티칸: 세레몽 리투르기 (파리: 에디션 드 라마투르, 2001), 300.
  29. ^ "폴 6세 성지 여행 시작" 뉴욕타임스 (1964년 1월 4일) : 1.
  30. ^ 뉴욕 타임즈 (1964년 11월 22일) : 1
  31.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11-14. Retrieved 2015-11-14.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32. ^ "The Mayo News". www.mayonews.ie.
  33. ^ "Basílica Nacional Nuestra Señora de Luján". GCatholic.
  34. ^ "Papal hono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5, 2013.
  35. ^ a b "Rosa de Oro y los papas (Span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1-02. Retrieved 2013-03-17.
  36. ^ "Vyznamenání Zlaté růže bazilice velehradské od papeže Jana Pavla II".
  37. ^ "LETTERA DEL SANTO PADRE GIOVANNI PAOLO II AL CARDINALE AGOSTINO CASAROLI LEGATO PONTIFICIO IN CECOSLOVACCHIA PER LE CELEBRAZIONI IN ONORE DEI SANTI CIRILLO E METODIO".
  38. ^ (폴란드어)
  39.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3-04. Retrieved 2014-07-21.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40. ^ 교황이 기쁨과 슬픔의 여왕을 추모하며 봉기했다.
  41. ^ "포프는 성에게 가장사당을 공경한다. 골든로즈와 함께 요셉."
  42. ^ "EUROPE/PORTUGAL - 150th anniversary of the dogma Immaculate Conception - Shrine of Sameiro receives the Golden Rose donated by Supreme Pontiff: from the Basilica of Our Lady of the Rosary in Fatima (Portugal) - Agenzia Fides". www.fides.org.
  43. ^ "Rosario del Papa Benedicto XVI desde Aparecida".
  44. ^ "(in German)".
  45. ^ "Papst brachte "Goldene Rose" nach Mariazell" (in German). 2007-09-11. Retrieved 2007-09-13.
  46. ^ "News Features". www.catholicculture.org.
  47. ^ "Basilica of the National Shrine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3-05-12. Retrieved 2014-07-21.
  48. ^ a b c d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7-30. Retrieved 2014-07-21.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49. ^ "Pastoral Visit to Pompeii - Program (October 19, 2008) BENEDICT XVI". www.vatican.va.
  50. ^ "Pastoral Visit to the Pontifical Shrine of Pompeii".
  51. ^ "Visita a las zonas afectadas por el terremoto de los Abruzos: Encuentro con los fieles y los socorristas - Discurso y oración del Santo Padre (Plaza de Coppito, L'Aquila, 28 de abril de 2009) Benedicto XVI". www.vatican.va.
  52. ^ "Home". www.ourladyofeurope.net.
  53. ^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특사인 호세 사라바 마르틴스 추기경[2]이 주빌리 폐회 기념행사에서 유럽 성모 700주년을 기념하여 수여하였다.
  54. ^ "Catedral Basílica de Nuestra Señora del Valle". GCatholic.
  55. ^ "Regina Cæli, 18 April 2010 - Floriana (Malta) BENEDICT XVI". www.vatican.va.
  56. ^ "Fatima Shrine Receives Golden Rose". May 12, 2010.
  57. ^ "ZENIT - Fatima Shrine receives Golden Rose".
  58. ^ "Pope Sends Golden Rose to Our Lady in Argentina". August 23, 2010.
  59. ^ http://m.authorstream.com/presentation/sandamichaela-2128223-golden-rose/
  60. ^ "Pauselijke en Internationale Erkenning voor Scherpenheuvel" (in Dutch). Kerknet. 15 May 2011. Retrieved 15 May 2011.
  61. ^ "Pope to place golden rose before patroness of Cuba". Catholic News Agency.
  62. ^ "Pope gives Golden Rose to sanctuary of the Virgen de la Caridad de Cobre". News.va. 27 March 2012. Retrieved 27 March 2012.
  63. ^ "Pope Francis sends golden rose to Our Lady of Guadalupe". CNA. 22 November 2013. Retrieved 24 November 2013.
  64. ^ "Mass in the Jasna Góra shrine on the 1050th anniversary of the baptism of Poland: leave behind all past wrongs and wounds, and build fellowship with all". press.vatican.va. Retrieved 2016-08-16.
  65. ^ "Papa Francisco oferece a terceira Rosa de Ouro ao Santuário de Fátima". publico.pt. Retrieved 2017-05-13.
  66. ^ "Papa Francisco concede terceira Rosa de Ouro ao Santuário Nacional - A12.com". www.a12.com.
  67. ^ Grogan, Courtney. "Pope Francis celebrates Mass at Transylvania's Marian pilgrimage shrine". Catholic News Agency. Retrieved 2019-06-23.
  68. ^ "When the Church stops moving, it becomes ill, Pope Francis says". spectator.sme.sk/.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