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몽(밴드)

Grapefruit (band)
자몽
기원영국 런던
장르싸이키델릭 팝, [1]
년 활동1967–1969; 1971
레이블RCA 빅터, 던힐 레코드
관련 행위토니 리버스와 캐스터웨이, AC/DC, 비틀즈, 이지비츠
과거 구성원

자몽은 1960년대 후반 런던에 본사를 둔 영국 밴드로 비틀즈가 창업해 소유하고 있는 음악 출판사인 애플 출판사의 테리 도런이 한자리에 모였다.그들의 음악 상표는 전형적인 1960년대 후반의 록의 혼합이었는데, 그들은 종종 페이저보컬과 같은 사이키델릭 효과나 고전적인 배열과 융합되었다.[1]

전기

1967년 여름 브라이언 엡스타인의 오랜 친구로 애플 출판사의 새 전무이사인 도란은 스코틀랜드 태생의 가수 겸 베이스 기타리스트 조지 알렉산더와 계약을 맺고 이지비츠의 기타리스트 겸 작곡가 조지 영(그리고 호주 하드의 창립 멤버인 말콤앵거스 영의 형이기도 하다)을 낳았다. 록밴드 AC/DC)를 출판 계약서에 첨부한다.알렉산더 영은 나머지 영인들이 호주로 이주했을 때 영국에 남기를 선택했고,[1] 이전에 보비 패트릭 식스와 함께 연주한 적이 있었는데, 그는 1960년대 중반에 독일을 여행했다.1967년 11월, 토니 리버스와 캐스터웨이즈의 전 멤버인 존 페리가 애플 출판사에서 도란에게 자신의 노래 중 일부를 던졌다.도란은 이 곡들을 거절했지만 페리와 그의 밴드 동료 제프 스웨트넘과 피트 스웨트넘을 알렉산더와 결합시켜 새로운 그룹을 만들자고 제안했다. 밴드는 존 레논에 의해 자몽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그의 미래의 아내 오노 요코가 쓴 책의 이름을 또한 자몽이라고 지었다.[2]도란은 그들 속에서 어떤 상업적 잠재력을 보고 그들의 매니저가 되었다.

애플은 즉각 자몽의 음악 출판권을 테리 멜처(Terry Melcher)가 만든 새로운 출판 및 녹음 레이블에 미국용으로 허가했다.그러나 당시 애플이 자체 음반사를 갖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도란은 밴드의 음반을 영국의 RCA 레코드와 미국의 이쿼녹스에 라이선스하도록 주선했다.이들은 1967년 9월 도란이 계약한 리버풀 그룹 포커스포인트에 이어 애플 출판사에 두 번째로 계약한 밴드였다.또한 1968년 1월 존 레논이 자몽을 언론에 소개하고 존 페리를 초대하여 히트 싱글 '헤이 주드'[3]의 녹음 작업에 참여시키는 등 비틀즈는 자몽에 대한 관심을 지속했다.레논과 폴 매카트니, 비틀즈링고 스타비롯해 롤링스톤스브라이언 존스, 도노반, 킬라 블랙 등이 참석해 밴드와의 사진을 찍었다.지미 헨드릭스사지드 칸도 동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멜처가 애플과 출판 계약을 맺기 위해 영국에 왔을 때, 1968년 봄 영국 싱글 차트에서 21위로 정점을 찍은 자몽의 데뷔 싱글 "Dear Delilah"를 제작하도록 설득당했다.[1] 후속 싱글로 레논과 매카트니는 1968년 1월 이 밴드를 스튜디오에 데려와 "Lullaby" (일명 "Lullaby for a Lazy Day"로 알려져 있고 원래 "Circus Sgt"로 불렸다.후추").[4]그러나 RCA가 후속 싱글을 요청했을 때(런던 애드비젼 사운드 스튜디오에서 만들어졌던) 녹음은 레논과 매카트니가 인도에 있었고, 자몽은 대신 '엘레베이터'와 '예스'를 제출하여 2A 편성이 되었으나 차트 작성에 실패했다.[4]세 번째 싱글은 자몽이 다른 신곡 몇 곡을 제출했고, 더 포시즌스의 "C'mon Marianne"의 커버가 데릭 로렌스의 요청으로 리믹스되어 35위에 올랐다.[4]

다음 싱글이 발매되기 전에 RCA는 밴드를 영국에 투하했고, 애플 퍼블리싱의 신임 대표 마이크 오코너는 (조지 알렉산더와의 원래 출판 계약은 제외), 테리 도란(현재의 그레이프프프루트 매니지먼트)이 이쿼녹스에 직접 밴드를 계약했다.[4]그 후 테리 멜처는 (애플이 테이프를 공급할 의향이 있는) 이전 곡들을 리믹스하거나 재녹음하는 등 자몽 생산을 재개했지만, 레논-맥카트니 버전의 '룰라비'는 여전히 발매되지 않았다.[4]

1968년 12월 이 그룹은 소규모 라인업 변경을 거쳤다.존 페리는 베이스로, 조지 알렉산더는 기타로 바꾸었다.그들은 또한 믹 파울러를 키보드에 추가했고, 네 번째 싱글인 "Someday Soon"을 발매했는데, 이 또한 차트 작성에 실패했다.이어 자몽은 두 개의 앨범(Abound Groffme(1968년)과 딥워터(1969년)를 발매하고,[5] 싱글 '딥워터'는 독일 톱 20을 석권하며 19위를 차지했다.자몽은 1969년 말에 헤어졌지만, 피트 스웨트넘은 그 해 초에 그룹을 탈퇴하고 2집 앨범에서 밥 웨일로 대체되었다.그들의 커리어가 끝날 무렵 자몽은 알렉산더에 의해 쓰여진 새로운 소재에 뒤이어 그들의 두 번째 앨범인 Deep Water빌보드 전면 광고에서 부드러운 록으로 언급되는 멜로디 팝에서 록 기반의 사운드로 옮겨갔다.

헤어진 후에도 알렉산더는 가장 눈에 잘 띄었다.알렉산더는 그의 형 조지 영과 그의 작곡 파트너인 이지비츠의 해리 반다와 힘을 합쳤고, 1970년에 그들은 젊은 피의 레이블인 페인트 박스와 트램을 위해 녹음했다.알렉산더는 반다와 영의 마커스 후크 밴드를 위한 세션에도 참여했다.1971년 자몽 이름을 '유니버설 파티' / '샤샤'를 발행하며 부활했지만, 싱글은 후속곡 없이 일회성 발매였다.[1]

2016년에는 1968년 11월 이전에 애플을 위해 자몽의 모든 음반을 20곡이나 편집한 '어데어데이즈 선샤인'이 RPM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다.이 편찬(알렉산더 18곡, 페리 1곡, 표지 'C'Mon Marianne'으로 이루어진 이 편찬은 Around Graffil에서 발매된 버전이 나중에 멜처가 리믹스한 단체 제작 버전이었기 때문에 레논과 매카트니가 제작한 'Lullaby'의 원본을 처음으로 포함시켰고, 이 편찬은 역시 관현악단을 추가하기도 했다.천사의

회원들

  • 조지 알렉산더(Alexander Young, 1938년 12월 28일생, Cranhill, East End, Glasgow - 1997년 8월 4일생) - 베이스 기타, 보컬, 기타, 색소폰
  • 존 페리(Charles John Perry, 1949년 7월 16일, 런던 다겐햄) — 보컬, 리드 기타, 베이스 기타
  • 피트 스웨트넘 (1949년 4월 24일, Streatham, 런던 출생) — 리듬 기타, 보컬
  • 제프 스웨트넘 (1948년 3월 8일생, 런던, 스토레햄 - 2020년 9월 28일, 람베스, 런던) — 드럼
  • 믹 파울러 - 피아노, 오르간 및 기타[6]
  • 밥 웨일(1948년 10월 2일 버밍엄 출생) — 보컬, 리드 기타 및 하모니카[6]

음반 목록

앨범

  • 자몽 주변(1968년)[7]
  • Deep Water (1969년)[8]
  • 어제의 햇살 (2016)

싱글스

  • "Delilah에게" / "Dead Boot" (1968년) (#18 Canada, 1968년 4월 6일 )
  • "엘리베이터" / "네"(1968년)
  • "C'mon Marianne" / "Ain't It Good"(1968년)
  • "언젠가 곧" / "티미 포 트위기"(1968년)
  • "Round Going Round" / "This Little Man" (1969년)
  • "딥 워터" / "역까지 내려와"(1969년)
  • "thunder & flock" / "Bluses in Your Head" (1969년)
  • "고디바 아가씨 (집에 돌아와)" / "나를 찾을 수 없다" (1970년)
  • "유니버설 파티" / "샤샤"(1971)[1]

참조

  1. ^ a b c d e f Unterberger, Richie. "Grapefruit - Music Biography, Credits and Discography". AllMusic. Retrieved 26 December 2012.
  2. ^ [1] 2008년 12월 12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3. ^ 페리는 백그라운드 합창단에 있었고, 약 2시 58분 런타임에 마이크에 대고 아주 살짝 외치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4. ^ a b c d e Steven Granador, Linner는 Yesterday's Shunshine, 2016년 2월에 언급한다.
  5. ^ Roberts, David (2006). British Hit Singles & Albums (19th ed.). London: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p. 234. ISBN 1-904994-10-5.
  6. ^ a b 1993 레퍼토리 레코드 발매 삽입
  7. ^ Unterberger, Richie. "Around Grapefruit - Grapefruit : Songs, Reviews, Credits, Awards". AllMusic. Retrieved 26 December 2012.
  8. ^ Unterberger, Richie. "Deep Water - Grapefruit : Songs, Reviews, Credits, Awards". AllMusic. Retrieved 26 December 2012.
  9. ^ "RPM Top 100 Singles - April 6, 1968,#98 USA" (PDF).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