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표:41°28'07″N 71°35'44″W/41.46861°N 71.59556°W/ 41.46861; -71.59556

그레이트 스웜프 파이트

Great Swamp Fight
대습지 학살
필립공 전쟁의 일부

대습지 대학살을 그린 그림
날짜.1675년 12월 19일
위치41°28'07″N 71°35'44″W/41.46861°N 71.59556°W/ 41.46861; -71.59556
결과뉴잉글랜드 승리
호전적인 사람들
뉴잉글랜드 연방
페쿼츠
모헤건스
내러건셋트
지휘관과 지도자
Josiah Winslow 주지사(총사령관)[1]
새뮤얼 애플턴 소령(매사추세츠식민지 사령관)[1]
로버트 트리트 주지사(코네티컷 식민지 사령관)[1]
윌리엄 브래드포드 소령(플라이머스 식민지 사령관)[1]
언카스(모히건 사켐)
윌리엄[2] 레이먼드 대위
캐논쳇 (Narraganset Sachem)
1,000명의 민병대
전사 150명
천 명의 용사들
1 요새
사상자 및 손실자
~70명 사망
~150명의 부상자
~ 전사자 97명
300~1,000명의 비거주자[3] 사망
~300명 포착
요새[4] 1개 파괴
Great Swamp Fight is located in Rhode Island
Great Swamp Fight
로드아일랜드 내 위치

대늪 분쟁(때로는 대늪 학살 또는 대늪 싸움이라고도 함)은 필립의 전쟁으로 알려진 가장 결과적인 에피소드 중 하나였습니다.이 전쟁은 뉴잉글랜드 전역의 원주민 공동체들과 뉴잉글랜드 연합 식민지들과 그들의 원주민 동맹국들을 상대로 싸우게 되었습니다.1675년 12월 19일, 미국 식민지는 로드아일랜드주 사우스킹스타운이라고 알려진 큰 늪지대에 위치한 나라간셋 요새를 공격했습니다.그레이트 늪에서의 충돌은 "뉴잉글랜드 [3]역사상 가장 잔인하고 일방적인 군사적 충돌 중 하나"로 묘사되었습니다.던랜드 전역의 토착민들이 전쟁 중 늪지대를 피난처로 사용했기 때문에, 공격 중에 사망한 많은 나라간세트인들은 [5]비전투자들이었다고 여겨집니다.

역사적 맥락

포카노켓 인디언들은 마사소이트의 지도하에 원래의 순례자 정착민들이 [6]생존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그의 아들 왐수타와 메타콤은 각각 알렉산더와 필립의 영어 이름을 따왔습니다.알렉산더는 그의 아버지의 죽음으로 포카노케츠의 왕가가 되었지만, 그는 1년 안에 죽었고 필립은 1662년에 [citation needed]그의 뒤를 이었습니다.

필립은 매사추세츠, 로드 아일랜드, 코네티컷의 식민지 주민들을 공격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고, 그는 천천히 이웃 인디언 부족들의 연합을 만들었습니다.그는 또한 최후의 공격을 위해 머스킷총과 화약을 모았지만, 식민지 주민들이 경각심을 [7]갖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적은 양만 모았습니다.

1675년 6월 20일 메사추세츠 스완지에서 몇몇 왐파노아그 남자들이 식민지 주민들을 공격하고 죽였고, 그것이 필립 왕의 전쟁의 시작이 되었습니다.인디언들은 마을을 포위한 다음 5일 후 마을을 파괴하고 몇 명을 더 죽였습니다.1675년 6월 27일 (북대서양의 7월 7일; 옛 스타일과 새로운 스타일 [8]날짜 보기) 뉴잉글랜드 지역에서 개기 월식이 일어났고, 다양한 부족들은 그것을 식민지 [9]주민들을 공격하기 위한 좋은 징조로 여겼습니다.플리머스와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의 관리들은 스완지에 대한 공격에 신속하게 대응했습니다; 6월 28일, 그들은 징벌적 군사 원정대를 보내 로드 [citation needed]아일랜드 브리스톨의 마운트 호프에 있는 왐파노아그 마을을 파괴했습니다.

인디언들은 매사추세츠와 코네티컷의 정착지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지만, 로드 아일랜드는 처음에는 구원을 받았습니다.10월에 인디언들은 다시 해트필드, 노샘프턴, 스프링필드 마을들을 급습했고, 그곳에서 거의 모든 정착지가 불에 타버렸습니다.겨울이 되면서 공격이 [citation needed]줄어들었습니다.

1675년 [10]10월에 메사추세츠 만 식민지와 중립 조약을 체결한 로저 윌리엄스의 재촉으로 나라건셋은 전쟁에서 공식적으로 중립을 지켰습니다.그 전쟁에 관여하지는 않았지만, 그들은 필립 왕의 많은 남자, 여자, 그리고 아이들을 피했고, 그들의 몇몇 전사들은 인도의 습격 [11]파티에 참가했습니다.식민지 주민들은 나라간셋 족을 불신했고, 부족의 위치 때문에 큰 우려를 낳았던 필립 왕의 대의에 봄에 합류할 것을 두려워했습니다.민병대는 로드아일랜드 킹스턴 근처 그레이트 늪의 중심에 있는 큰 요새로 후퇴하면서 나라간셋 만 주변을 행진하면서 버려진 나라간셋 마을 여러 곳을 불태웠습니다.1675년 11월 2일, Josiah Winslow는 약 150명의 Pequot와 Mohegan 인디언을 포함한 1,000명 이상의 식민지 민병대를 이끌고 나라간셋 [citation needed]만 주변에 살고 있는 나라간셋트에 대항했습니다.

필립. 희망의 왕, 폴 리비어의 캐리커처, 벤자민 처치의 필립 왕 전쟁즐거운 역사 1772년 판의 삽화.

한 식민주의자는 인도측 전투에서 싸운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보도에 따르면 조슈아 테프트는 코네티컷의 나다니엘 실리 선장(로버트 실리 선장의 아들)에게 부상을 입혔으며, 그 후 사망했습니다.인도의 한 스파이는 테프트가 "그들을 잘 섬기고 그 싸움에서 5~6명의 영국인을 죽이고 부상을 입혔다"며 "그들이 믿기도 전에 그는 나라간셋에서 영국인 방앗간 주인을 죽이고 그의 비늘을 [12]그들에게 가져다 주었다"고 보도했습니다.

전투

1675년 12월 15일, 스톤월 존과 민병대 사이의 평화 협상이 실패한 후, 나라간셋 전사들은 지레블록하우스를 공격하여 적어도 15명을 [13]죽였습니다.15살의 제임스 엘드레드는 블록하우스에서 탈출하여 상당한 거리를 추격당했습니다. 그는 가까운 거리에서 토마호크를 던지고 나라간셋 전사와 육탄으로 조우하여 살아남았습니다.이것은 로드 아일랜드 [14]웨이크필드-피스데일의 인디언 런 브룩을 따라 발생했습니다.내러건셋 족은 늪을 전쟁 중에 이상적인 방어 장소로 보았고,[15] 전쟁 중에 그들이 그레이트 늪에 거주하도록 이끌었습니다.

4일 후, 1675년 12월 19일 몹시 춥고 폭풍우가 몰아치는 날에 대늪 전투가 벌어졌습니다.플리머스 식민지, 코네티컷 식민지, 매사추세츠식민지에서 온 식민지 민병대는 인디언 [16]피터라는 이름의 인도인 가이드에 의해 로드 아일랜드 사우스 킹스타운의 주요 나라건셋 정착지로 이끌렸습니다.낮은 기온으로 나라간셋 야영지를 둘러싸고 있던 자연 해자가 얼어붙어 식민지 군대가 [15]쉽게 지나갈 수 있었습니다.이 거대한 요새는 약 5에이커(20,000m2)의 땅을 차지했고 처음에는 천 명이 넘는 사람들이 점령했지만, 치열한 싸움 끝에 결국 점령되었습니다.정착촌은 불에 탔고, 주민들(여성과 어린이를 포함)은 죽거나 쫓겨났고, 부족의 겨울 상점들은 대부분 파괴되었습니다.정확한 수치는 [3]알려지지 않았지만 적어도 97명의 나라간셋 전사와 300명에서 1,000명의 비전투원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군대는 스톤월 존의 대장간을 파괴했지만, 존은 탈출했고 몇 달 [17]후에 살해당했습니다.

1675년 12월 그레이트 늪 대학살에서 내러건셋 가족의 요새를 습격한 식민지의 모습을 묘사한 판화

많은 전사들과 그들의 가족들은 얼어붙은 늪으로 도망쳤고, 수백 명의 전사들은 가혹한 환경과 결합된 상처로 그곳에서 죽었습니다.식민지 주민들은 이 공격으로 많은 장교들을 잃었고, 약 70명의 병사들이 사망하고 거의 150명이 부상을 입었습니다.사망자와 부상자들은 나라간셋 만아키드넥 섬에 있는 정착지로 대피하여 그곳에서 [18]로드아일랜드 식민지 주민들에 의해 매장되거나 보살핌을 받았습니다.

미국 최초의 특수부대원 벤자민 처치

잔상

대습지 학살은 나라간셋 부족에게 치명타를 입혔지만, 그들은 결코 완전히 [19]회복하지 못했습니다.1676년 봄 캐논쳇은 2000명의 브레이브스 연맹을 조직한 후 반격을 가져왔습니다.Roger William의 [10]집을 포함하여 Providence가 불에 탔습니다.1676년 4월 캐논쳇이 포로로 잡히고 처형되었을 때 나라간셋은 거의 완전히 패배했습니다.7월 2일 제2차 닙사척 전장 전투에서 여성 사색 퀸 콰이아펜이 강을 건너려다 매복 공격을 당했고 인도의 유명한 석공인 스톤월 존도 사망했습니다.마침내, 필립은 8월 12일 벤자민 처치의 인도 군인인 존 알더만에 의해 총에 맞아 죽었습니다.나라간셋 생존자들 중 많은 사람들이 노예로 팔려가거나, 사형을 선고받거나, 나이앤틱 [15]같은 인근 부족들과 합류하기 위해 도망쳤습니다.

유산 및 기념물

로드아일랜드주 웨스트 킹스턴의 그레이트 늪 주 관리 지역에 위치한 그레이트 늪 전투 기념물

롤랜드 아자르 3세와 아자르 가족이 기증한 5에이커의 땅에 1906년 전투로 추정되는 장소에 기념 표지가 설치되었습니다.충돌 날짜만 새겨진 거친 화강암 기둥은 언덕 위에 약 20피트 높이로 세워져 있습니다.이것은 로드 아일랜드 식민지 전쟁 협회가 전투를 기념하고 묘지 기념으로 사용하기 위해 세웠습니다.대략 4개의 정사각형 화강암 표식들이 조우에 참여한 식민지들의 이름이 새겨진 4개의 기본 나침반 지점들 주위에 서 있습니다; 축의 반대편에 있는 2개의 표식들이 추가적인 자료를 제공합니다.표식은 로드 [20]아일랜드 웨스트 킹스턴 근처에 있습니다.

로드아일랜드 웨스트 킹스턴의 로드아일랜드 국도 2호선에 위치했던 그레이트 스웜프 파이트 도로변 표식

기념비 봉헌식에는 양측 [21]후손들이 참석했습니다.헌정 연설가인 Rowland G. Hazard II는 이 기념비에 대해 "우리는 원시 언덕에서 서리가 내리고 인간의 도구에 의해 손상되지 않은 이 울퉁불퉁한 화강암 기둥을 1600년과 75년의 투박하고 꾸밈없는 청교도와 청교도의 적합한 상징으로 바칩니다."라고 말했습니다.현대의 나라간셋 부족의 세 명이 돌에서 베일을 [20]벗겼습니다.비문에는 다음과 같이 [22]적혀 있습니다.

이 섬에 있는 그들의 요새 내에서 공격을 받은 나라간셋 인디언들은 필립 왕의 전쟁에서 최후의 저항을 했고, 1675년 12월 19일 일요일 "대습지 전투"에서 매사추세츠 코네티컷과 플리머스 식민지의 연합군에 의해 격파되었습니다.이 기록은 1906년 로드 아일랜드 식민지 전쟁 협회에 의해 세워졌습니다.

두 번째 표식기는 1916년에 그곳에 설치되었고 그 이후로 실종되었습니다.비문은 다음과 같습니다.[23]

매사추세츠 입스위치의 사무엘 애플튼 소령을 추모하기 위해, 1675년 12월 19일, 대 늪지 전투에서 매사추세츠 군대를 지휘하고 승리의 폭풍 칼럼을 이끌었습니다.1916년 로드 아일랜드 역사학회에서 설치한 이 표입니다.

1930년대에 Naraganset-Wampanoag의 학자인 Princess Red Wing은 [24]전투가 있었던 장소에서 매년 기념식을 시작했습니다.1906년 기념비 헌정 때부터 2021년까지 기념비가 있는 땅은 로드아일랜드 역사학회가 소유했습니다.2021년 10월 23일, 기념비 부지를 구성하는 5에이커의 토지에 대한 소유권이 영구 [25]신탁을 받기 위해 나라간셋 부족으로 이전되었습니다.

미국 식민지 육군 전투훈장

대늪 전투에서 싸웠던 미국 식민지의 군대는 3개의 식민지 [26]중 하나의 회사를 포함하는 각각의 연대는 불평등한 힘을 가진 3개의 연대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본사

사령관 - 플리머스 식민지 총독 조시아 윈슬로우 장군(상처)

  • 외과의사 – 다니엘 웰드
  • 채플린 – 조셉 더들리
  • 윈슬로우 장군의 보좌관 – 벤자민 처치 대위 (상처)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 연대

사령관 – 새뮤얼 애플턴

  • 제1중대 - 예레미야 스웨인 중위
  • 제2중대 – 캡틴 새뮤얼 모슬리
  • 제3중대 – 캡틴 제임스 올리버
  • 제4중대 - 캡틴 아이작 존슨 (전투 중 사망
  • 제5중대 - 캡틴 나타니엘 대븐포트 (전투 중 사망)
  • 제6중대 – 대위 조셉 가드너 (전투 중 사망)
  • 기병대 – 토마스 프렌티스 대위

플리머스 식민지 연대

사령관 - 윌리엄 브래드포드 소령 (부상자)

  • 제1중대 – 로버트 바커 중위
  • 제2중대 - 존 고햄 대위 (전투 중 사망)

코네티컷 식민지 연대

사령관 – 로버트 트리트 소령

  • 제1중대 - 갤럽 대위 (전투 중 사망)
  • 제2중대 - 캡틴 사무엘 마셜 (전투 중 사망)
  • 제3중대 - 캡틴 나타니엘 실리 (전투 중 사망)
  • 제4중대 – 캡틴 토마스 와츠
  • 제5중대 - 존 메이슨 대위(사망)
  • 페쿼트 인디언 컴퍼니 – 캡틴 제임스 에이버리

저명한 장교들과 인디언 추장들.

참고문헌

  1. ^ a b c d Eric B. Schultz; Michael J. Tougias (2000). King Philip's War. Woodstock, VT: The Countryman Press. pp. 181–182. ISBN 978-0-88150-483-5.
  2. ^ Maine place names and the peopling of its towns. Portland, Me., B. Wheelwright. 1955. ISBN 978-0-87027-112-0.
  3. ^ a b c Drake, James D. (1999). King Philip's War: Civil War in New England, 1675–1676. Amherst, MA: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p. 119. ISBN 1-55849-224-0.
  4. ^ "Blood and Betrayal: King Philip's War". 30 October 2014.
  5. ^ Lepore, Jill (1998). The Name of War: King Philip's War and the Origins of American Identity. New York: Vintage Books. p. 88. ISBN 0679446869.
  6. ^ 나다니엘 필브릭의 메이플라워
  7. ^ "The American Legion a U.S. Veterans Association".
  8. ^ Moon Eclipse 계산 [1] 2011년 12월 22일 접속한 웨이백 머신에서 2013-11-25 보관
  9. ^ Leach, Douglas Edward; Flintlock and Tomahawk; p. 46; Parnassus Imprints, East Orleans, Massachusetts; 1954; ISBN 0-940160-55-2
  10. ^ a b "Roger Williams: King Philip's War – Roger Williams National Memorial (U.S. National Park Service)". www.nps.gov. Retrieved 2021-08-08.
  11. ^ 데이비드 린제이, 박사, 메이플라워 바스타드: 순례자들 사이의 이방인 (St. Martins Press, New York, 2002) pp. 205–206
  12. ^ http://www.westernrihistory.org/uploads/6/5/0/9/6509445/western_ri_newsletter_8-11.pdf[영구 데드링크]
  13. ^ George Ellis and John Morris, King Philip's War (Grafton Press, New York, 1906) https://penelope.uchicago.edu/Thayer/E/Gazetteer/Places/America/United_States/_Topics/history/_Texts/EAMKPW/9*.html Wayback Machine에서 2022-12-19 보관
  14. ^ Jo Anne Butler (2 January 2012). "The Great Swamp Fight". The Rebel Puritan. Retrieved 15 Oct 2017.
  15. ^ a b c Delucia, Christine M. (2018). "Habitations by Narragansett Bay Coastal Homelands, Encounters with Roger Williams, and Routes to Great Swamp". Memory lands: King Philip's War and the place of violence in the northeast. New Haven. ISBN 978-0-300-20117-8.{{cite book}}: CS1 유지 관리: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16. ^ "Letter of John Dudley, Narragansett Campaign and the Great Swamp Massacre". 15 Dec 1675. Retrieved 15 Oct 2017.
  17. ^ 라판타지, 글렌 W., 에드.로저 윌리엄스의 서신, 뉴잉글랜드 대학 출판부, 1988, Vol. 2, pp. 723, 725
  18. ^ 액슬로드, 페이지 104
  19. ^ "플린트록과 토마호크:더글러스 에드워드 리치, 뉴욕: 맥밀란, 1958, 130-132쪽
  20. ^ a b 위험, 롤랜드 깁슨.(1906).1675년 12월 19일 내러간셋 나라에서 대늪 전투를 기념하는 기념비 제막을 기념하는 의식과 연설의 기록: 로드 아일랜드와 매사추세츠 식민지 전쟁 협회에 의해 세워짐로드 아일랜드 식민지 전쟁 협회, 메리마운트 프레스, 보스턴.69 pp. [2] Wayback Machine에서 2020-06-26 아카이브
  21. ^ "Great Swamp Fight Monument, South Kingstown, Rhode Island". Atlas Obscura. Retrieved 15 Oct 2017.
  22. ^ "The Monument at the Great Swamp". EnCompass. Providence College. Retrieved 2021-12-17.
  23. ^ Reilly-McGreen, M. E. (2011). Revolutionaries, Rebels and Rogues of Rhode Island. Arcadia Publishing. p. 45. ISBN 978-1-61423-843-0.
  24. ^ 루버톤, 패트리샤.2012. "뉴잉글랜드 인디언 국가의 기념물과 성적 정치", 식민주의 고고학에서, Barbara L. & Conlin Casella, Eleanor. p. 245
  25. ^ Alex Nunes (23 Oct 2021). "Site of 'Great Swamp Massacre' returned to Narragansett Indian Tribe". Rhode Island Public Radio. Retrieved 27 Oct 2021.
  26. ^ "Great Swamp Fight Regiments". Miner Descent. 4 Dec 2011. Retrieved 16 May 2021.
  27. ^ 조시아 피어스.메인 주 고햄 마을의 역사. 169쪽.
  28. ^ 휴 데이비스 맥렐란, 메인 주 고햄의 역사; 스미스 & 세일, 프린터; 포틀랜드, 메인 1903.

추가열람

  • Church, Benjamin, Thomas Church에게 들은 바와 같이, The History of Philip's War, Commonly Called The Great Indian War of 1675 and 1676, Samuel G. Drake 편집, (Exeter, NH: J & B Williams, 1829); Heritage Books, Bowie, Maryland, 1989년 팩시밀리 재인쇄.
  • 어머니, 증가, 뉴잉글랜드의 인디언들과의 전쟁에 대한 간략한 역사 (보스턴, 1676; 런던, 1676).
  • 엄마, 증가해요.뉴잉글랜드에서 인디언들의 이성에 의한 문제의 관계 그곳에서 1614년부터 1675년까지(Kessinger Publishing, [1677] 2003).
  • 엄마, 증가해요.목사가 쓴 필립 왕의 전쟁사 Mather, D.D.를 늘려라. 또한, 목사에 의한 같은 전쟁의 역사. Mather, D.D., Samuel G. Drake(보스턴: Samuel G. Drake, 1862)에 의해 소개와 주석이 추가되었습니다.
  • 리치, 더글러스 에드워드, 플린트록, 토마호크: 필립 전쟁의 뉴잉글랜드; 매사추세츠주 이스트올리언스의 파르나수스 임프린트; 1954; ISBN 0-940160-55-2
  • 맨델, 다니엘 R. 킹 필립의 전쟁: 식민지 확장, 원주민의 저항, 그리고 인도 주권의 종말 (존스 홉킨스 대학 출판부; 2010) 176페이지
  • 슐츠, 에릭 B. 그리고 마이클 J.토글러스, 필립 왕의 전쟁: 미국의 잊혀진 갈등의 역사와 유산 뉴욕: W.W. Norton and Co., 2000.
  • 젤너, 카일 F.A Rabble in Arms: Philip's War 기간의 매사추세츠 타운스와 민병대 (뉴욕: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9) ISBN 978-0-8147-9734-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