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연합의 날

Great Union Day
대연합의 날
AsambleaDeAlbaIulia19181201.jpg
알바 울리아의 국회
(1918년 12월 1일)
공식명루마니아어: Ziua Națională a Romaniai.
부르기도 한다.루마니아어: 지아 마리 우니리
관찰 대상루마니아, 몰도바(비공식)
축하군사 퍼레이드(특히 알바 울리아부쿠레슈티), 불꽃놀이
관측알바 울리아 정교회 대성당의 테 디움
날짜12월 1일
다음에2021년 12월 1일(2021-12-01)
빈도연간의
관련루마니아 교장단 통일의 날 (1월 24일)

대연합의 날(로마니아어: Ziua Mariii Uniri, 통일[1] 날 또는 국경일로도 불리기도 함)은 루마니아국경일로, 1918년 트란실바니아, 베사라비아, 부코비나루마니아 왕국과 통일한 것을 기념하는 날로, 대연합으로 알려져 있다.[2] 이 기념일은 루마니아 혁명 이후 선포되었으며 루마니아와 함께 트란실바니아 연합을 선언알바 이울리아에서 열린 로마 민족 대표단의 집회를 기념하는 날이다.[3]

1948년 이전, 군주제가 폐지되기 전까지 국경일은 5월 10일로, 캐롤 1세가 루마니아 땅에 발을 디딘 날(1866년), 왕자가 1877년 (오만트 제국으로부터) 독립선언서를 비준한 날이라는 이중의 의미가 있었다. 공산정권 시절인 1948년부터는 이온 안토네스쿠 마샬의 친파시스트 정부가 1944년 타도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8월 23일 광복절이었고, 샤를 드골 광장(당시에는 스탈린 광장, 아비에이터스 광장)에서 퍼레이드가 열렸다.

역사

배경

근대 루마니아는 1859년 1월 24일 알렉산드루 이오안 쿠자에 의해 몰다비아와 왈라치아 통일 이후 모습을 드러냈다. 때때로 리틀 유니언으로 알려진 이 행위는 현재 루마니아 교장 통일의 날(또는 리틀 유니언의 날)로 기념되고 있다.[4][5][6]

알바 울리아 국회

트란실바니아에서 진군하는 루마니아군(여기 피아차 유니리, 클루지)
국회 결의안

1918년 12월 1일(구식 11월 18일) 트란실바니아와 헝가리의 로마인 총회는 트란실바니아, 바나트, 크리샤나, 마라무레히에서 선출된 대의원 1,228명으로 구성되어 알바 이울리아에서 소집되어 "그 로마인들과 그들에 거주하는 모든 영토의 통일"을 결의했다.루마니아와 함께"라고 말했다.[7]

국회가 의결한 결의안에는 '새로운 루마니아 국가 건설을 위한 기본 원칙'도 명시돼 있다. 그것은 조건부였고, 민주적인 지방 자치권의 보존, 모든 국적과 종교의 평등을 요구했다.[8] 이후 트란실바니아 국가평의회[]도 결성되었다.[9]

다음날인 1918년 12월 2일, 트란실바니아 루마니아 국가평의회는 일리우 마니우가 이끄는 트란실바니아 지휘 평의회(Consiliul Dirigent al Transilvaniei)라는 이름으로 정부를 구성했다.[10]

1918년 12월 11일 페르디난드 1세루마니아 왕국과 트란실바니아, 바나트, 크리샤나, 사트마르, 마라무레스의 연합에 관한 법률에 서명하여 다음과 같이 선언하였다.[11]

1918년 11월 18일 알바-울리아 의회의 결의안에 명명된 땅은 루마니아 왕국과 영원히 연합되어 있다.

Ferdinand I, 11 December 1918[11]

휴일의 선언

1949년 8월 18일 각료회의 결의 903호는 8월 23일을 국경일로 지정했다. 1990년 8월 1일에 선포된 1990년 10월 10일은 국경일을 12월 1일로 앞당겼다.[12] 법은 이날의 의미를 국경일로 명시하지 않고 있다. 1990년 국민구세전선 소속 의원들이 장악한 의회에서 채택되고 이온 일리에스쿠 대통령이 공포했다. 이 결정은 5월 10일과 연관된 루마니아 군주제의 전통과 어느 정도 일치하지만, 또한 국경일이 12월 22일로 옮겨지기를 바라는 반공산주의 반대파를 실망시켰다.

12월 1일의 선택은 법에 명시적으로 선언되지는 않았지만, 1918년 트란실바니아, 바낫, 크리샤나, 마라무레슈 지방의 루마니아와의 통일을 가리켰다. 이날을 국경일로 택한 것은 루마니아의 헝가리 소수민족인 루마니아에 대한 모욕으로 보였는데, 이는 그들에게 정치력 상실을 의미하는 것이었다.[13]

첫 번째 축하

첫 번째 12월 1일 국경일은 루마니아트란실바니아 연합 선언이 체결된 알바 이울리아에서 가장 큰 기념일을 보았다. 그들은 상당한 정치적 양극화로 특징지어졌다. 당시 반공 야권의 지도자였던 코넬리우 코포수는 군중들의 야유에 의해 연설 도중 여러 차례 중단되었다.[14] 당시 수상이던 페트레 로마는 이런 반복된 방해에 그런 쾌감을 보여 이온 일리에스쿠가 멈추라고 손짓할 수밖에 없었다. 이 신호는 촬영된 곳에서 포착되어 매스미디어에 널리 퍼졌다.[15]

국가 군사 퍼레이드

2008년 퍼레이드에 나선 루마니아 정보국의 대테러 대대.

Every year, an annual military parade known officially as the National Military Parade (Romanian: Parada Militară Națională) of the Romanian Armed Forces either on the grounds of Piața Constituției (Constitution Square) or on Șoseaua Kiseleff just within metres of the Arcul de Triumf in central Bucharest is held in honor of the occasion.[16] 퍼레이드는 알바 울리아와 다른 주요 도시에서도 열린다.[citation needed]

루마니아 대통령이 헌법상 최고사령관 역할을 하는 부쿠레슈티 퍼레이드에 영빈으로 참석한 가운데, 루마니아 총참모장이 광장에 도착하자마자 단독 트럼펫 연주에 나선 나팔 통화 팡파레에게 보고를 받는다. 대통령이 경례를 받은 뒤 걸어와 용감한 30수비대 마이클이 제공한 색수비대에 경례한 뒤 의장대를 시찰하고 인사한다. 이후 디트랩트-테, 로망!부쿠레슈티 수비대의 미사이드 밴드에 의해 공연되며, 부분적으로는 용감한 30 근위대 마이클의 음악가들과 21발의 예포가 뒤쪽에서 발사되면서 군과 민간 합창단을 통합하여 만들어진다. 이어 키슬레프 로드 퍼레이드에서는 대통령이 아르쿨 드 트룸프(Arcul de Triumf)에 헌화한 뒤 다시 관중석으로 향한다. 이후 국군 장성급 장교인 퍼레이드 지휘관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퍼레이드 시작을 명령한다.

퍼레이드... 차려! 심사숙고 중인 의례식 통과!
오른쪽, 왼쪽, 전방, 빠른 행군!

이어 미사단이 수석지휘자가 지휘하는 음악을 연주하면서 미사단의 현역병들이 퍼레이드 경로로 행진하기 전에 미사 색채 가드와 외국군이[17] 지휘하는 이 지점에서 퍼레이드가 시작된다. 제1차 세계대전 군복을 입은 군인들의 역사적 부분은 보통 과거 행진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후 전차, APC, IFV, 국군의 야전 및 방공포와 군수차량, 경찰차, 긴급차량 등으로 구성된 지상 이동기둥들이 뒤따르며, 이따금씩 육해공군의 플라이패스를 수반한다. 외국군에는 터키, 영국, 몰도바, 미국의 대표단이 포함됐으며 슬로베니아 근위대, 미 해병대, 몰도반 국군의 의장대 등 특정 부대가 소속돼 있다.[18]

이어 30경비여단의 명예감시단으로 퍼레이드를 마친 뒤 광장을 행진하는 대규모 군악대가 이어진다.[citation needed]

참고 항목

루마니아 엽서는 cca 1918-1919를 발행했다. 지도에 표시된 루마니아 서부 국경의 특이한 모양에 주목하십시오(이 나라는 크리슈아나의 더 큰 부분인 마라무레아의 모든 부분과 아마도 전체 바나트(흰색으로 그린)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즉, 최종적인 국경선은 1920년이 되어서야 그려질 것이다.

참조

  1. ^ 루마니아, CIA 세계 팩트북 – 정부
  2. ^ Sigmirean, Ioan (2018). "Marea Unire din anul 1918 - o minune istorică". Arhiva Someșană (in Romanian). 16: 11–20.
  3. ^ "노동 법규에 의해 제정된 공휴일" 2017년 6월 18일 웨이백 머신, 노동 법규에 보관, 2017년 3월 22일
  4. ^ "Ziua Unirii Principatelor Române". Agerpres (in Romanian). 24 January 2020.
  5. ^ "24 ianuarie 1859: "Mica Unire", primul pas spre România. Unirea Principatelor Române sub domnia lui Cuza". Alba24 (in Romanian). 24 January 2021.
  6. ^ Ionel, Iloae (21 January 2021). "Ziua Unirii, marcată cu depuneri de coroane și muzică populară". Monitorul de Botoșani (in Romanian).
  7. ^ Grecu, Florin (2018). "Elitele politice din Transilvania în realizarea Marii Uniri de la 1 decembrie 1918". Revista Polis (in Romanian). 6 (2): 207–217.
  8. ^ 루마니아 문화 기억 연구소, 1918년 12월 1일 알바 울리아에서 열린 국회 결의안, 웨이백 기계에 2011년 6월 8일 보관
  9. ^ Du Nay, Alain (2008). "Români și maghiari în vârtejul istoriei" (PDF) (in Romanian). Editura Matthias Corvinus: 1–139.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10. ^ Galea, Aurel (1996). Formarea și activitatea Consiliului Dirigent al Transilvaniei, Banatului și ținuturilor românești din Ungaria: 2 decembrie 1918–10 aprilie 1920 (in Romanian). 1. Editura Tipomur. pp. 1–563. ISBN 9789739168793.
  11. ^ a b "Law regarding the Union of Transylvania, Banat, Crișana, the Satu Mare and Maramureș with the Old Kingdom of Romania". Romanian Institute for Cultural Remembrance.
  12. ^ "Legea 10/1990 Legislatie gratuita". www.legex.ro.
  13. ^ "Marko Bela: Noi, maghiarii, nu putem sarbatori la 1 decembrie". 27 November 2008.
  14. ^ "Evenimentul Zilei". Evenimentul Zilei.
  15. ^ "Discursul lui Corneliu Coposu de la Alba Iulia, din 1 Decembrie 1990".
  16. ^ "Parada militara la Bucuresti, de Ziua Nationala a Romaniei". Ministerul Apararii Nationale.
  17. ^ "Detașamente militare străine care au defilat alături de Armata României. Premieră la paradă". www.defenseromania.ro.
  18. ^ "Moldovan service members take part in military parade in Bucharest". December 2016.

서지학 및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