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립-시어
Grips-Theater베를린에 있는 그립스 극장(공식명: GRIPS Theatre)은 베를린 미테 지구의 한사플라츠에 있는 알토나에르 스트라제에 있는 잘 알려져 있고 존경받는 어린이 및 청소년 해방 극장입니다.이 극장은 "세계 최초로 어린이와 젊은이들의 생활과 생활 환경을 사회민주적으로 다루고 이를 독창적인 유머와 음악 [1]연극에 접목시킨 극장"이다.이 작품은 전 예술감독 볼커 루드비히의 상록수 리니 1, 카페 밋테, 알두스 헉슬리의 용감한 신세계 각색 등 성인용 뮤지컬 덕택에 국내외에서 명성을 얻었다.GRIPS'의 플레이는 [2]전 세계 40여 개 언어로 1,500회 이상 재공연되었습니다.
역사
오리진스
1966년 베를린 라이히스카바레트에 어린이 극장이 설립되었는데, "주제적인 [3]노래와 함께 프로그램과 풍자적인 스케치를 만든 학생 그룹"이다.거의 40년 동안 GRIPS-Theatre의 예술감독으로 활동하게 될 Volker Ludwig [de]는 후반기 서독의 정치 시위 운동인 Auparerparelamentarische 야당의 일부라고 자신을 정의한 그룹의 작가이자 공동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1960년대와 1970년대 초반은 독일 학생 운동의 중심 부분을 형성했다.1966년 여름, 이 그룹은 풍자적으로 재구성된 동화 "세 개의 금발을 가진 악마"를 시작으로 주말마다 어린이들을 위한 연극을 공연하기 시작했다.
점차, 그 그룹은 그 당시 어린이 연극의 주요 요소였던 동화 연극의 대안을 제공하기 위해 점점 더 많은 어린이들을 위한 연극을 공연했다.대신 어린이를 위해 특별히 쓰고 아이들이 직면한 문제를 다루는 희곡을 개발했는데, 동화극은 미흡하거나 전혀 다루지 않았다.1968년, 볼커 루드비히와 그의 형인 캐리커처리스트 레이너 는 "피체파치로의 여행 이라는 제목의 이 희곡들 중 첫 번째 작품을 썼다.그것은 밀리필리라는 이름의 소녀 주인공이 어른들에 의해 방치된 후 시들어가는 산타클로스의 나무를 구하기 위해 먼 섬으로 여행한다.
1969년, 이 단체는 사회비평 요소를 더 많이 포함하는 어린이 연극을 개발하기로 합의했다.그 결과 루드비히와 하흐펠트가 쓴 최초의 사회민주주의 어린이 연극인 "Stokkerlok und Millipilli"가 탄생했다.이 연극은 맥시밀리안이라는 이름의 어린 소년이 귀를 찢을 듯한 호루라기로 그의 가족과 주변을 어린이 친화적인 행동으로 몰아붙인다.'스토커록 앤 밀리필리'는 GRIPS-Theatre의 첫 번째 연극으로 여겨져 큰 성공을 거두었다.독일 전역의 극장들은 이 연극의 공연을 상연했고, 다른 나라 극장들도 이 연극을 각색했다.1969년에는 베를린 정부로부터 그림 형제상을
당시 사회민주적 배경을 가진 비교적 새로운 개념의 현대 어린이 극장은 모든 사람들, 특히 보수 진영에서 환영받지 못했다.그 극장은 종종 생얼을 하고 어른들에게 무례했던 어린이 주인공들로 인해 상당한 비판에 직면했다.그러나 아동의 해방과 아동의 권리에 대한 강조는 전적으로 저자들에 의해 의도되었다.어린이극장 앙상블 출연진들은 공연에 참석한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마음 속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수시로 인터뷰했다.당시 소녀들이 직업을 추구하지 않고 전업주부가 되는 전형적인 길 등 성역할이 반복되는 주제였고, 1970년대 극단은 그 주제를 다루는 연극을 점점 더 발전시켰다.
분열되다
1971년 일부 배우들은 극단을 해체하고 아동극장 로테 그뤼체 de 를 결성하여 아동 성교육 연극을 개발하였다.'넌 그런 말 안 해!!' 첫 방송성교육을 위한 연극(Darüber spricht man nicht!! 1973년 에인 스필 주르 시얼리지흥)은 대중의 반발을 샀다.배우들은 성적 금기어를 사용하며 "아이들은 그들의 몸과 신체 기능을 부끄러워하지 말라"고 가르쳤다.서베를린에서는 보수파의 거센 비판에도 불구하고 "바리안 교사는 자녀와 함께 연극을 관람할 수 없다"며 초등학교 수업을 권고한 반면, 반면 서베를린에서는 "바리안 교사는 자녀와 함께 연극을 관람할 수 없다"[4]고 말했다.
GRIPs라는 이름
1972년 어린이 극장이 쿠르푸르스텐담 포럼 극장에 입주하면서 '생각이 즐겁다'는 의미로 '빨리 이해하는 능력'을 뜻하는 독일어 구어체 '그립스'라는 이름이 붙었다.볼커 루드비히는 "그립스는 포기하지 않고, 항상 마지막 상식에 대한 믿음을 가지며, 무엇보다도 가장 어려운 것은 일종의 긍정적인 [5]전망을 개발하려고 노력하는 것이다."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그래픽 디자이너이자 아동 도서 작가인 위르겐 스포른[de 은 그에 맞는 로고를 디자인했습니다: GRIPs라는 글자가 새겨진 골판지 상자 안에서 큰 코를 가진 검은 얼굴.
하나비에르텔로 이동
1974년, 극장은 전후 모더니즘 주택 개발 지역인 Hansaviertel 남쪽의 Hansaplatz로 이전했다.이 건물은 1957년 국제건축전시회를 위해 지어진 인터바우 주택개발의 일환으로 독일 건축가 에른스트 친저와 한스루디 플라레가 설계했다.GRIPs가 입주하기 전, 그 장소에는 "Bellevue" 영화관이 있었다.GRIPs는 1974년 9월 30일 새로운 장소에서 처음 문을 열었다.그 부지는 극단의 비전에 따라 개조되었다.포럼 극장에서와 마찬가지로 무대 주변은 벤치로 둘러싸여 배우들을 관객들 가운데 배치했다.오늘날까지, 한쪽이 보통 배경으로 사용되기는 하지만, 관객들을 무대 양쪽에서 배치하는 것은 여전히 가능하다.무대가 올라가지 않아 첫 번째 줄의 관람객들은 배우들과 같은 수준에 있다.그 극장은 360~400명을 수용할 수 있다.입구는 레이너 하흐펠트의 캐리커처 모자이크로 장식되어 있다.이 건물은 U-Bahn 역 Hansaplatz에 통합되었기 때문에, 극장 이용자들은 대중교통을 통해 쉽게 GRIPS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청춘을 위한 첫 번째 연극
처음에는 어린이 놀이에 초점을 맞췄지만 이후 청소년들의 문제를 콘셉트에 포함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성역할에 관한 아동극 「Gosh, Girl!」(Mensch Médchen!)의 성공에 따라, GRIPs는 1975년 가을에 처음으로 청소년 연극을 초연했다."믿을 수 없다!" (Das héltste ja im Kopf nichtaus)라는 제목의 이 책은 일반 학교 학생들이 직면한 문제들을 다루었다.
반GRIPS 캠페인
비록 첫 번째 청소년 연극이 이 극단에 다음 형제상을 안겨주었지만, 1975년은 또한 극단에 대한 연극에 대한 공개적인 정치적 논쟁과 그들의 극장에 대한 비방 캠페인의 시작을 알렸다.당시 야당이었던 기독민주당 베를린 지부는 이 배우들을 어린이들을 타락시킬 공산주의자로 규정하고 청소년 연극의 "불건전한 언어"가 젊은이들에게 폭력 행위를 부추겼다고 주장했다.1975년 5월, 베를린 슈테글리츠 지구의 청소년 시의원인 클라우스 디터 프리드리히가 멘슈 메드첸의 게스트 공연을 금지한 것은 연극 자체가 아니라 "그립스 극장 단원들이 도시 공산주의계에서 움직였기 때문"이었다.독일 일간지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강력한 스프링거 출판사의 기자들도 극장을 공격했다.Berliner Morgenpost는 GRIPs의 플레이가 "정치적 사이코패스, 언젠가 그들 스스로 파멸하고 도중에 다른 것들을 파괴하는 불쌍한 악마들의 무리"를 키우고 있다고 썼다.[6]루드비히는 베를린 일간지 데르 타게스피겔과의 인터뷰에서 당시를 회상했다.기민당은 1975년부터 반(反)GRIPS 캠페인을 벌였다.3년 동안 그들은 의회 그룹이 그립스의 자금을 원천징수하고 학교 수업이 우리를 방문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에 찬성표를 던지도록 강요했다.그 당시 저는 스탈린주의자, 마오쩌둥주의자, 아동학대자라는 딱지를 붙였습니다.스프링거 언론은 내가 아이들의 영혼을 파괴했다고 썼어그것은 1981년 기독교 민주당원인 [리차드 폰] 바이츠세커가 시장으로 선출될 때까지 계속되었다.그는 그 모든 것에 몹시 당황했다."아무도 관대함 면에서 우리를 능가하지 못할 거야." 그가 누군가 내게 말을 걸게 했다.그리고 나서 모든 [7]괴물이 사라졌어요."이번 공격은 의도했던 것과는 반대 효과가 있었고 거의 매일 밤 매진된 GRIPs-Theatre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다.1981년 GRIPS의 청소년 연극 "Everything is Plastik"(Alles Plastik)은 청소년들의 무관심과 미래 없는 사고방식을 다룬 연극이 1981년 베를린에서 불법 거주자들의 투쟁을 언급하면서 극장에 대한 논쟁을 다시 촉발시켰다.
어른을 위한 놀이
1980년, GRIPS는 성인을 위한 연극을 선보였다.오늘날까지 GRIPs에서 공연된 A Story of the Left (Eine linke Geschichte)는 1966년 베트남에서 열린 미국 전쟁 반대 집회에서 만난 세 명의 학생들을 다루고 있다.연극은 독일 학생 운동과 1977년 말 서독에서 발생한 테러 사건인 독일 가을의 정치적 발전을 따라간다.이 연극은 독일 통일을 포함한 최근의 역사적 사건들을 반영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갱신되었다.그러나 2007년 가을부터 레퍼토리는 연극의 원래 버전으로 되돌아갔다.
리니 1
1985년, 볼커 루드비히는 뮤지컬 "Line 1"을 썼다.제목은 베를린 지하철 U1호선을 가리킨다.이 음악은 루드비히의 오랜 친구인 독일 음악가이자 작곡가 비르거 과 록 밴드 노티켓(토마스 켈러, 조지 크란츠, 악셀 코트만, 마이클 브란트, 리처드 웨스터, 마티아스 위팅)에 의해 쓰여졌다.이 뮤지컬은 1986년 4월 30일 초연되었고 GRIPS-Theatre의 가장 큰 성공작이 되었다.
이 이야기는 시골 고향을 떠나 베를린의 악명 높은 동물원 역에 도착한 한 젊은 여성이 하룻밤의 노점에서 자신을 임신시킨 록 뮤지션을 찾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그녀는 지하 1호선에 갇히고 도시 캐릭터와 그들의 운명의 만화경을 만난다.GRIPs에 따르면, "그것은 대도시에 살고 살아남는 것, 희망과 적응, 용기와 자기 기만, 웃고 울고, 꿈꾸고,[8] 그리고 자신에 대해 생각하는 것에 관한 쇼, 드라마, 뮤지컬이다."다른 연극들과 마찬가지로, 리니 1은 사회민주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지만,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기 전의 베를린 사회를 재미있게 묘사하는 역할도 한다.
리니 1의 성공에도 단점이 있었다.제작비가 많이 들어 티켓 판매는 더 이상 극장 비용을 충당하지 못했다.하지만 볼커 루드비히가 토크쇼에서 극장이 추가 지원 없이 문을 닫아야 한다고 언급한 후, 정부는 결국 보조금을 늘렸다.처음에 독일의 주요 무대들은 리니 1호를 무시했지만, 슈투트가르트 국립극장이 성공적으로 뮤지컬을 공연했을 때, 다른 극장들도 그 뒤를 따랐다.Linie 1은 풍자적인 TV 쇼 Sheibenwischer (윈드실드 와이퍼)에서 여러 곡이 공연된 후 전국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이 쇼의 창시자인 독일 풍자작가이자 배우이자 작가인 디터 힐데브란트는 이후 1988년 영화 버전의 에 카메오로 출연했다
수년간, 리니 1은 독일 작품 중 가장 많이 상연되었고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스리페니 오페라 다음으로 두 번째로 성공한 뮤지컬로 남아있다.1987년, 뮤지컬의 작가 볼커 루드비히가 독일의 대표적인 연극상으로 여겨지는 뮐하이머 드라마티커프레이(Mullheim Dramatikerpreis, 영어: Mullheim의 극작가상)를 수상했다.
오늘날까지 이 뮤지컬은 150개 이상의 독일어 극장에서 공연되었고 브라질, 캐나다, 덴마크, 핀란드, 그리스, 이탈리아, 인도, 리투아니아, 나미비아, 네덜란드, 러시아, 한국, 스페인, 스웨덴, 예멘을 포함한 15개국의 극장에서 각색되었다.바르셀로나 ("리나 로하") 홍콩 ("섬 선") 콜카타 ("초드 라인") 서울 ("서울 리니 1") 빌니우스 ("규칙 1번: 빌니우스"), 윈트훅 ("프렌즈 4에바") 그리고 아덴 ("나즐")의 원조였다.
서울 1호선 [ 에서 연변에서 온 젊은 중국 여성이 서울역과 청량리 588번지를 오가며 서울로 온다.원작의 나치 미망인들은 전직 군부 거물들의 미망인이 된다.김민기에 의해 각색된 이 한국어 버전은 베를린에서 원작보다 훨씬 더 성공적이 되었다.2017년 10월 GRIPS가 리니1을 1,800회 공연하는 동안 서울 1호선은 학촌극장 [9][10]레퍼토리에 속하는 13년 동안 4,000회 이상 공연되었다.
나미비아 버전에서는 한 독일 소녀가 독일에서 연주하던 중 만난 나미비아 음악가를 찾기 위해 윈트훅에 도착한다.그녀는 미니버스 택시와 당나귀 카트 등 다양한 전형적인 교통수단으로 나미비아 전역을 여행한다.이 버전에서 윌머스도르프 미망인들은 여전히 [11]아프리카에서의 백인 우월주의를 꿈꾸는 전 보어스의 미망인이다.
현재의 그립
1992년부터 GRIPS는 알토나어 스트라제의 극장 외에 이른바 '스튜디오 및 리허설 무대'를 소유하고 있습니다.2009년까지는 소규모 제작이 쉴러극장(워크샵)에서 이루어졌지만 이후 클로스터스트라셰의 GRIPS Podewil이 무대에 올랐다.일반적으로 GRIPs는 최소 4개의 새로운 플레이를 출시하고 연간 300개의 공연을 무대에 올립니다.
볼커 루드비히가 2011/2012년 시즌 말 GRIPS 예술감독직을 사임했을 때 뒤셀도르퍼 샤우스필하우스에서 일했던 후임으로 스테판 피셔 펠스를 임명했다.의견 차이로 인해 루드비히와 피셔-펠스는 2015년 계약 조기 해지에 합의했고, 피셔-펠스는 뒤셀도르퍼 샤우스필하우스로 복귀했다.그의 뒤를 이어 사내 연극 교육자 필립 하페인이 [12]이었다.2016/2017시즌이 끝날 때까지 루드비히는 GRIPS의 상무이사로 남아 있다가 80세 생일에 이 직책을 하파인에게 넘겼습니다.
그가 떠날 때 작가이자 연극 비평가인 뤼디거 샤퍼는 루드비히에게 경의를 표했다."베를린은 세계 연극에 여러 가지 공헌을 했습니다.볼커 루드비히와 그립스는 이 범주에 속합니다.[…] 기적이에요.목격할 [13]수 있었다니 정말 다행이다.
앙상블
배우
디터 란두리스, 페트라 지저, 하인즈 회니그, 악셀 프롤, 줄리아 블랭켄버그, 나딘 워무스, 마티아스 슐룽을 포함한 몇몇 GRIPS-Theatre의 출연진들은 TV와 영화에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다.베테랑 앙상블 멤버인 디트리히 de]과 토마스 아렌스는 각각 1969년과 1975년부터 그립스에 몸담아 왔다.1986년 초연 이래 1호선의 모든 공연에 참여하는 탁월한 업적을 남겼다.1981년 이후,[14] 레만은 베를린에서 가장 오래된 공립 연극 학교인 프리츠 키르히호프 학교의 교장으로도 재직하고 있습니다.
음악가
1978년부터 1986년 사이에 앙상블에 합류한 악셀 코트만, 조지 크란츠, 마티아스 위팅은 1980년부터 1983년까지 Zeitgeist라는 밴드를 결성했다.게다가, 크란츠는 그의 노래 Din Daa Daa (Trommeltans)로 가장 잘 알려진 성공적인 솔로 뮤지션이다.1986년 1호선이 초연된 해에 토마스 켈러, 마이클 브란트, 리처드 웨스터가 합류했다.6명의 뮤지션이 함께 록밴드 노티켓으로 공연한 뮤지컬의 작곡과 편곡에 참여했다.Wester를 제외한 모든 사람들이 오늘날까지 GRIPs에서 공연하고 있다.
레퍼런스
- ^ GRIPS Theater. "About GRIPS". GRIPS Theater. Retrieved 2017-11-08.
- ^ Goethe-Institut. "GRIPS Theater". Goethe-Institut. Retrieved 2017-11-08.
- ^ Van Erven, Eugène (1988). Radical People’s Theatre. Bloomington, Indiana, U.S.: Indiana University Press. pp. 111. ISBN 978-0-253-34788-6.
- ^ Frevert, Ute; et al. (2014). Learning how to feel: children's literature and emotional socialization. Oxford, United Kingdom: Oxford University Press. p. 239. ISBN 978-0-19-968499-1.
- ^ GRIPS Theater. "A Short Chronicle". www.grips-theater.de. Retrieved 2017-11-08.
- ^ Meinhold, Philip (2013). O Jugend, o West-Berlin: Reportagen, Essays, Kolumnen. epubli. p. 239. ISBN 978-3-8442-6027-4.
- ^ Prosinger, Julia and Wolfgang (2017-06-13). ""Sie nannten mich Stalinist, Maoist und Kinderschänder"". Der Tagesspiegel. Retrieved 2017-11-08.
- ^ GRIPS Theater. "Line 1 (English Summary)". GRIPS Theater. Retrieved 2017-11-08.
- ^ GRIPS Theater (2016). "Pressemappe Linie 1 Spielzeit 2016/17". GRIPS Theater (in German). Retrieved 2017-11-08.
- ^ Kim, Seung-hyeon (2008-03-13). "With Sungnyemun gone, the play should enter into a new era (사라진 숭례문… 새 시대 담아야죠)". Munhwa Ilbo. Retrieved 2017-11-08.
- ^ Alumniportal Deutschland (2011). "Take the underground again! – Germany's export hit, the musical 'Linie 1'". Alumniportal Deutschland. Retrieved 2017-11-08.
- ^ Wildermann, Patrick (2015-03-24). "The bold gang (Die Mutmacherbande)". Der Tagesspiegel. Retrieved 2017-11-08.
- ^ Schaper, Rüdiger (2017-06-12). "The Miracle at Hansaplatz (Das Wunder vom Hansaplatz)". Der Tagesspiegel. Retrieved 2017-11-08.
- ^ Prößer, Claudius (2016-01-14). "Interview with Dietrich Lehmann: "Children are such a great audience" (Interview mit Dietrich Lehmann: "Kinder sind so ein tolles Publikum")". Die Tageszeitung: taz (in German). ISSN 0931-9085. Retrieved 2017-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