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바단 베굼
Gulbadan Begum굴바단 베굼 | |
---|---|
무굴 제국의 샤자디 | |
태어난 | c. 1523 아프가니스탄 카불 |
죽은 | 1603년 2월 7일 인도 아그라 | (79-80세)
매장 | 카불 바부르의 정원 |
배우자 | 키즈르 칸 |
이슈 | 사이다트 야르 칸 |
집 | 티무리드 |
왕조 | 티무리드 |
아버지 | 바부르 |
어머니 | 딜다르 |
종교 | 수니파 이슬람교 |
굴바단 베굼(c.Gulbadan Begum, 1523년 ~ 1603년 2월 7일)은 무굴 공주로 무굴 제국의 시조 바부르 황제의 딸이다.[1]
그녀는 조카 악바르 황제의 부탁으로 쓴 이복동생 후마윤 황제의 생애를 기록한 후마윤-나마의 저자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2] 굴바단의 바부르에 대한 기억은 간략하지만, 그녀는 후마윤의 가문에 대한 신선한 설명을 해주고, 이복동생인 캄란 미르자와의 대립에 관한 희귀한 자료를 제공한다. 그녀는 형제들 사이의 동족상잔의 갈등을 슬픔으로 기록한다.
굴바단 베굼은[3] 1530년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당시 8세 정도였고, 큰 이복동생인 후마윤에 의해 양육되었다. 그녀는 17세의 나이에 동부 모굴리스탄의[4] 칸 아흐마드 알라크의 아들 아이만 카화자 술탄의 아들인 차가타이 귀족인 그녀의 사촌인 키즈르 쿠화자 칸과 결혼했다.
그녀는 인생의 대부분을 카불에서 보냈다. 1557년 조카 아크바의 초대를 받아 아그라 황실에 들어갔다. 그녀는 황실에서 큰 영향력과 존경을 받았고 악바르와 그의 어머니 하미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 굴바단 베굼은 아부엘 파즐이 쓴 악바르나마("Akbar") 전편에 인용구를 발견하며, 그녀의 전기적 세부사항의 상당 부분은 이 작품을 통해 접할 수 있다.
굴바단 베굼은 다른 몇몇 왕실 여성들과 함께 메카 순례에 나섰고, 7년 뒤인 1582년 인도로 돌아왔다. 그녀는 1603년에 죽었다.
이름
굴바단 베굼의 이름은 페르시아어로 "장미꽃 같은 몸" 또는 "장미 몸"을 의미한다.[5]
초년기
굴바단 공주가 1523년 딜다르 베굼에서 태어났을 때, 그녀의 아버지 바부르는 카불에서 19년간 영주해 왔으며, 쿤두즈와 바다흐샨에서도 사부였고, 1519년부터 바자우르와 스와트를, 칸다하르를 1년간 데리고 있었다. 그 19년 중 10년 동안 그는 티무르 가문의 우두머리 자리와 독립 주권의 표시로 Padshah를 받았다. 2년 후 바부르는 인도의 제국을 정복하기 위해 인더스 강을 가로지르는 마지막 탐험에 나섰다. 굴바단의 형제자매로는 형인 힌달 미르자와 다른 두 자매인 굴랑 베굼과 굴체라 베굼이 있었고, 동생 알와르 미르자는 어린 시절에 세상을 떠났다. 굴바단은 형제 중 동생인 힌달 미르자와 매우 가까운 사이였다.[6]
열일곱 살에 굴바단은 차가타이 귀족과 결혼했는데, 그녀의 사촌인 키즈르 쿠자 칸은 아이만 크화자 술탄의 아들이며, 모굴리스탄의 칸 아마드 알라크의 아들이었다.[7]
1540년 후마윤은 아버지 바부르가 인도에 세운 왕국을 비하르 출신의 파슈툰 병사 셰르 샤 수리에게 빼앗겼다. 후마윤은 임신한 아내 하미다 바누 베굼과 여성 수행원 1명, 충실한 지지자 몇 명만 데리고 처음에는 라호르로 피신했다가 나중에는 카불로 피신했다. 그는 그 후 15년간 현재의 아프가니스탄과 페르시아에서 망명 생활을 했다. 굴바단 베굼은 다시 카불에 살기 위해 갔다. 다른 모든 하렘의 무굴 여인들과 마찬가지로 그녀의 삶도 아버지 바부르, 형 후마윤, 조카 악바르 등 세 명의 무굴 왕과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후마윤이 델리 제국을 다시 세운 지 2년 후, 그녀는 그의 통치를 시작한 아크바의 명령에 따라 다른 하렘의 무굴 여성들과 함께 아그라로 돌아갔다.
후마윤나마의 글쓰기
아크바는 굴바단 베굼에게 아버지 후마윤의 이야기를 기록하라고 의뢰했다. 그는 숙모를 좋아했고 그녀의 이야기 솜씨를 알고 있었다. 무굴인들이 작가들을 끌어들여 자신의 통치를 문서화하는 것이 유행이었다(악바르 자신의 역사인 악바르나마는 페르시아의 유명한 학자 아불 파즐이 썼다). 악바는 이모에게 오빠의 삶에 대해 기억하는 것은 무엇이든 써달라고 부탁했다. 굴바단 베굼이 도전에 나서 '아왈 후마윤 파드샤 자마 카르돔 굴바단 베굼 빈트 바부르 파드샤 암마 악바르 파드샤'라는 제목의 문서를 제작했다. 후마윤나마로 알려지게 되었다.[8]
굴바단은 더 잘 알려진 작가들이 사용하는 유식한 언어 없이 단순한 페르시아어로 썼다. 그녀의 아버지 바부르는 바부르나마를 같은 문체로 썼고, 그녀는 그의 큐를 받아 자신의 기억에서 글을 썼다. 굴바단은 현대 작가들 중 일부와 달리 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것에 대한 사실적 설명을 꾸미지 않고 썼다. 그녀가 연출한 것은 후마윤 통치의 시련과 고난을 연대기할 뿐만 아니라 무굴하렘에서의 삶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16세기 무굴 왕족 여성이 쓴 유일한 생존 글이다.
굴바단이 후마윤-나마를 페르시아어가 아닌 투르크어의 모국어로 썼다는 의혹이 제기됐고, 오늘날 구할 수 있는 책은 번역본이라는 의혹이 제기됐다.[9]
아크바르로부터 원고를 쓰라는 지시를 받음에 따라 굴바단 베굼은 이렇게 시작한다.
'퍼두스-마카니(바부르)와 잔나트-아샤니(후마윤)의 행적을 알고 있는 것은 무엇이든 적어라'는 명령이 내려져 있었다. 그의 폐하 피르다우스-마카니가 이 썩기 쉬운 세상에서 영원한 집으로 세상을 떠난 이때, 이 천한 나, 이 천한 나, 여덟 살이었으니, 내가 별로 기억하지 못하는 것은 당연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나는 왕명에 순종하여, 내가 듣고 기억한 것은 무엇이든지 정하였다.
그녀의 설명을 보면, 우리는 굴바단이 17세까지 그녀의 사촌인 키즈르 쿠화자와 그녀의 아버지의 사촌인 아이만 쿠화자 술탄의 아들이었던 차가타이 왕자인 그녀의 사촌인 키즈르 쿠화자와 결혼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녀는 적어도 한 명의 아들이 있었다. 그녀는 1528년 카불에서 계모와 함께 인도로 이주해 왔으며, 계모는 아버지인 황제의 명령에 따라 그녀를 자신의 것으로 입양할 수 있었다. 1540년 후마윤이 패하자 다시 카불로 건너가 이복동생 한 명과 함께 살았다. 그녀는 후마윤이 그의 왕국을 되찾은 직후 아그라로 돌아오지 않았다. 대신 그녀는 1556년 후마윤이 비극적인 사고로 죽은 지 2년 후인 아크바르에 의해 아그라로 다시 끌려올 때까지 카불에 남아 있었다. 굴바단 베굼은 아그라에서 잠시 살다가 식리에서 잠시 살았지만, 그녀가 메카 순례에 나선 7년의 기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라호르나 궁정과 함께 여생을 살았다. 샤 자한 집권 초기까지 무굴 법정은 결코 구속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여행하는 웅장한 야영장이었으며 굴바단 바누 베굼도 대부분의 무굴 부인들처럼 건물 안에 살고 있는 경계들을 싫어했고 의심의 여지없이 샤 자한의 딸 자하나라 베굼의 시문에 전적으로 동의했다.무굴이 폐쇄된 집에 갇혀 있을 때 제국의 오트(Ot of the Empire)가 시작되곤 했다.
그녀는 교육을 받고 경건하며 교양 있는 왕족 여성인 것 같다. 그녀는 독서를 좋아했고 동생인 후마윤과 조카인 아크바르 모두의 비밀을 즐겼었다. 그녀의 설명을 보면 그녀가 전쟁의 복잡성과 왕실 거래의 호기심을 잘 알고 있는 빈틈없는 관찰자였다는 것도 명백하다. 그녀의 이야기의 첫 부분은 아버지의 죽음 이후의 후마윤의 통치와 그의 패배 후의 후마윤의 고난을 다루고 있다. 그녀는 아버지 바부르가 죽었을 때 겨우 여덟 살이었기 때문에 아버지 바부르에 대해 거의 글을 쓰지 않았었다. 그러나 그녀가 마할(하렘)에 있는 동료들로부터 그에 대해 들은 일화와 이야기들이 그녀의 계정에 포함되었다. 후반부는 또한 무굴하렘에서의 삶을 다룬다.
그녀는 바부르에 대한 가벼운 사건 하나를 기록했다. 그는 인도에 그의 왕국을 세운 후, 그가 좋아하는 것처럼 큰 금화를 주조했다. 이 무거운 금화는 카불에 남아 있던 궁정 제스터 아사스에게 짓궂은 장난을 치라는 특별 지시와 함께 카불에 보내졌다. 아사스는 눈을 가리고 동전을 목에 걸어야 했다. 아사스는 그것이 무엇인지도 모르는 그의 목에 무거운 무게가 감도는 것에 대해 호기심을 갖고 걱정했다. 그러나 그것이 금화라는 것을 알게 된 아사스는 기뻐 날뛰며 방을 휙 돌면서, 아무도 그에게서 금화를 빼앗을 수 없다고 거듭 말했다.
굴바단 베굼은 그녀의 오빠가 22살에 병에 걸렸을 때 그녀의 아버지의 죽음을 묘사한다. 그녀는 바부르가 그의 아들이 심각하게 아프고 죽는 것을 보고 우울해했다고 말한다. 나흘 동안 그는 아들의 침상을 반복해서 우회하여, 알라에게 기도하면서, 아들의 대신 영원한 세계로 데려가 달라고 간청했다. 기적처럼 그의 기도가 응답했다. 아들은 회복되었고 47세의 아버지는 곧 죽었다.
망명 직후, 후마윤은 샤 후세인 미르자의 조카 하미다 바누라는 13세 소녀를 보고 사랑에 빠졌었다. 처음에 그녀는 자신보다 훨씬 나이가 많은 황제를 만나러 오는 것을 거절했다. 마침내 그녀는 다른 하렘의 여자들로부터 재고해 보라는 충고를 받았고, 그녀는 황제와 결혼하기로 동의했다. 2년 후인 1542년, 그녀는 무굴 통치자들 중 가장 위대한 악바르라는 이름의 아들을 후마윤에게 낳았다. 굴바단 베굼은 이번 사건과 후마윤과 하미다 바누의 결혼에 대한 자세한 내용, 그리고 그녀의 원고에 장난기 어린 기색을 표현했다.
굴바단은 무굴여성의 유목 생활양식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녀의 젊은 시절은 카불과 아그라, 라호르 사이를 떠돌며 변태적인 무굴 가문의 전형적인 양식으로 보내졌다. 후마윤이 망명하는 동안 그 문제는 더욱 과장되었다. 그녀는 의붓형제들 중 한 명과 함께 카불에서 살아야 했는데, 그녀는 나중에 후마윤을 상대로 그와 함께할 남편을 모집하려고 했다. 굴바단 베굼은 남편에게 그러지 말라고 설득했다. 그러나 그는 조카의 치세에 그렇게 하였고 아들과 함께 패하여 궁정에서 쫓겨나고 평생 동안 그녀의 면전에서 쫓겨났다. 그는 그녀 옆에 묻히는 것조차 허락되지 않았다. 그의 무덤은 그녀가 묻힌 주 사각형의 한쪽 구석에 있다.
굴바단 베굼이 후마윤의 죽음에 대해 썼다면, 그가 델리의 푸라나 킬라의 계단을 넘어뜨렸을 때, 그것은 분실된 것이다. 원고는 후마윤이 사망하기 4년 전인 1552년에 갑자기 끝나는 것 같다. 캄란 미르자의 맹목성을 묘사하면서 중간에서 끝난다. 굴바단 베굼이 후마윤이 죽은 지 오래인 악바르에 의해 후마윤의 통치에 대한 이야기를 쓰라는 지시를 받았다는 것을 우리가 알고 있듯이, 유일하게 구할 수 있는 원고는 그녀의 글의 불완전한 버전이라고 믿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아불 파즐이 아크바르 황제에 대한 자신의 글에 그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아크바르에게 숙모에게 기억에서 적어달라고 부탁한 것으로도 생각된다.
이 회고록은 수세기 동안 분실되었고 발견된 것은 잘 보존되지 않고 많은 페이지가 누락되어 있다. 또한 마지막 장들이 누락되어 불완전한 것으로 보인다. 원고의 사본은 극히 적었을 것이고, 이 때문에 마땅히 받아야 할 인정을 받지 못했다.
그 원고 한 권은 대영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원래 영국인인 G. W. 해밀턴 대령이 발견했다. 그것은 1868년에 그의 미망인에 의해 대영박물관에 팔렸다. 그것의 존재는 1901년 아네트 S가 될 때까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베버리지가 그것을 영어로 번역했다(베버리지가 다정하게 그녀를 '로즈바디 공주'라고 불렀다).[10][11]
역사학자 리외 박사는 해밀턴 대령의 소장품 중 가장 주목할 만한 원고 중 하나라고 했다. 베버리지의 영어 번역본 페이퍼백판은 2001년 인도에서 출판되었다.
프라도쉬 차토파디야이는 2006년 후마윤나마를 벵갈어로 번역했고, 치라야타 프로카샨은 이 책을 출간했다.[12]
메카 순례길
굴바단 베굼은 회고록에서 하미다 바누 베굼과 함께 3,000마일 떨어진 메카로 가는 순례를 묘사했다. 비록 왕실 태생이었지만, 하렘의 여자들은 강인하고 고난을 각오했는데, 특히 그들의 삶은 남자들과 그들의 운명과 매우 밀접하게 얽혀 있었기 때문이다. 굴바단 베굼은 4년 가까이 메카에 머물렀고, 아덴에서 난파선이 발생하여 몇 달 동안 아그라로 돌아오지 못했다. 그녀는 마침내 여행을 떠난 지 7년 만인 1582년에 돌아왔다.
악바는 하지를 타고 숙모의 안전한 통행을 위해 준비했고, 여러 명의 숙녀들이 참석한 가운데 고귀한 사람을 에스코트로 보냈다. 그녀의 수행원들에게는 알몸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치스러운 선물들이 가득했다. 그녀가 메카에 도착한 것은 상당한 파문을 일으켰고 시리아와 아시아 마이너까지 온 사람들은 현상금의 몫을 얻기 위해 메카로 몰려들었다.
만년
70세 때 딸의 아들 무함마드야르가 불명예스럽게 법정을 떠났고, 다시 그녀와 살리마는 살림 왕자를 위해 악바르에 중재에 참여하고, 하미다와 함께 왕실의 금품과 보석 선물을 받는다.
그녀의 자선단체는 매우 컸고, 그녀는 하나님을 기쁘게 하려는 노력과 가난하고 가난한 사람들을 굴복시킴으로써 하루하루를 더했다고 한다.
그녀가 80세가 되던 1603년 2월, 그녀의 출발은 며칠 동안의 열병으로 예고되었다. 하미다는 끝까지 함께 있었고, 힌달의 딸 루카이야도 마지막 시간을 지켜봤을지도 모른다. 눈을 감은 채 누워 있을 때 하미다 바누 베굼은 오래 전부터 애정의 이름으로 그녀에게 말했다. 아무런 반응이 없었다. 그러자, "굴바단!" 죽어가는 여인은 눈을 뜨고 "나는 죽는다. 살기를!"이라는 구절을 인용하고 죽었다.
악바는 그녀의 상여를 어느 정도 멀리 운반하는 것을 도왔고, 그녀의 영혼의 안식을 위해 사치스러운 선물을 만들었고 좋은 일을 했다. 그는 그녀의 육신을 땅에 바치기 전에 그녀의 영혼에 대한 묵념에 동참했을 것이며, 만일 아들이 없다면 가까운 친족으로서 임암의 사임명령에 "하나님의 뜻"이라고 답했을지도 모른다.
그녀가 죽은 후 2년 동안 악바르는 1605년 자신의 죽음을 맞이할 때까지 자신이 좋아하는 고모가 그리웠다고 끊임없이 탄식했다고 한다.
굴바단 역시 페르시아어와 터키어에 능통한 시인이었다고 한다. 그녀의 시들 중 어느 것도 살아남지 못했다. 그러나 바하두르 샤 자파르 황제가 미르 타키 미르에 의해 인용한 시와 몇 개의 인용구에서 그녀가 쓴 2절과 콰세다에 대한 언급이 있다. 루크노우로 가는 길을 찾아낸 제국주의 무굴 아카이브 자료의 많은 수집품이 실제로 견뎌낸 90년 대신에 수세기 동안 힌두스탄에 대한 외국 통치 신화에 실체를 강요하고 빌려주기 위해 파랑기족에 의해 파괴된 것은 유감스러운 일이다.
많은 역사 동안 굴바단 베굼의 원고는 알려지지 않았다. 다른 무굴 작가들, 특히 아크바의 통치를 만성화한 작가들의 현대문학에서는 그것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다. 그러나, 거의 알려지지 않은 굴바단 베굼의 설명은 무굴 하렘 내부에서 여성의 관점을 들여다볼 수 있는 창문으로 역사학자들에게 중요한 문서다.
대중문화에서
참조
- ^ Aftab, Tahera (2008). Inscribing South Asian Muslim women : an annotated bibliography & research guide ([Online-Ausg.]. ed.). Leiden: Brill. p. 8. ISBN 9789004158498.
- ^ Faruqui, Munis D. (2012). Princes of the Mughal Empire, 1504-1719.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251. ISBN 9781107022171.
- ^ Ruggles, D. Fairchild (ed.) (2000). Women, patronage, and self-representation in Islamic societies.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 121. ISBN 9780791444696.CS1 maint: 추가 텍스트: 작성자 목록(링크)
- ^ Balabanlilar, Lisa (2015). Imperial Identity in the Mughal Empire: Memory and Dynastic Politics in Early Modern South and Central Asia. I.B.Tauris. p. 8. ISBN 9780857732460.
- ^ Ruggles, D. Fairchild (ed.) (2000). Women, patronage, and self-representation in Islamic societies.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 121. ISBN 9780791444696.CS1 maint: 추가 텍스트: 작성자 목록(링크)
- ^ Schimmel, Annemarie (2004). The Empire of the Great Mughals: History, Art and Culture. Reaktion Books. p. 144.
- ^ Balabanlilar, Lisa (2015). Imperial Identity in the Mughal Empire: Memory and Dynastic Politics in Early Modern South and Central Asia. I.B.Tauris. p. 8. ISBN 9780857732460.
- ^ 디애나 램지의 연구 사이트인 굴바단 베검의 후마윤 남아
- ^ "2. The Culture and Politics of Persian in Precolonial Hindustan", Literary Cultures in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131–198, 31 December 2019, ISBN 978-0-520-92673-8, retrieved 11 June 2021
- ^ Beveridge, Annette Susannah (1898). Life and writings of Gulbadan Begam (Lady Rosebody). Calcutta. Retrieved 14 December 2017.
- ^ Begam, Gulbaden (1902). Beveridge, Annette Susannah (ed.). The history of Humāyūn (Humāyūn-nāma). London: Royal Asiatic Society. Retrieved 14 December 2017.
- ^ ISBN 81-85696-66-7
- ^ Rushdie, Salman (2008). Enchantress of Florence, The. London: Random House. ISBN 978-1407016498.
참고 문헌 목록
- Begum, Gulbadan; (tr. by Annette S. Beveridge) (1902). Humayun-nama :The history of Humayun. Royal Asiatic Society.
- Begam Gulbadam; Annette S. Beveridge (1902). The history of Humayun = Humayun-nama. Begam Gulbadam. pp. 249–. GGKEY:NDSD0TGDPA1.
- 후마윤-나마 : 굴바단 베검의 후마윤의 역사. 아네트 S가 번역했다. 베버리지. 뉴델리, Goodword, 2001 ISBN 81-87570-99-7
- 레베카 루스 굴드 "굴바단이 어떻게 기억했는가: 「표현법으로서의 후마윤」 초기 현대 여성: 제6권 121-127호, 2011년판 학제간지
- 호마윤의 세 가지 회고록. 제1권: 후마윤나마와 타드키라투, 제2권: 휠러 탁스턴이 페르시아어로 번역한 타리키이 후마윤. 비블리오테카 이란카/지적 전통 시리즈, 호세인 지아이 편집장 2개 국어판, 11번(2009년 3월 15일)
외부 링크
- 후마윤나마 전문
- Begum, Gulbadan; (tr. by Annette S. Beveridge) (1902). Humayun-nama :The history of Humayun. Royal Asiatic Society.
- 굴바단 베검의 후마윤나마의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