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쉽 (비디오 게임)

Gunship (video game)
군함
Gunship.jpg
커버 아트(Sharp X68000)
개발자마이크로프로세
게시자마이크로프로세
감독자앤디 홀리스
디자이너아놀드 헨드릭
앤디 홀리스
프로그래머앤디 홀리스
시드 마이어
그레그 타바레스
아티스트킴벌리 디즈니
마이클 오하이레
미셸 마한
작곡가켄 라고이스
플랫폼Amiga, Amstrad CPC, Atari ST, Commodore 64, FM Towns, MS-DOS, MSX, PC-98, Sharp X68000, ZX Spectrum, Genesis
해제1986[1]
장르공중전투시뮬레이션
모드싱글 플레이어

건쉽은 1986년 마이크로프로스가 개발·출판한 전투비행 시뮬레이션 비디오 게임이다.시뮬레이션된 AH-64 아파치 헬기를 조종하는 이 게임에서 플레이어들은 임무를 통해 적의 목표물을 공격하고 친선 병력을 보호한다.상업적이고 비판적으로 성공한 건십건십 2000건십!이 뒤를 이었다.

게임플레이

이륙 준비 중.

이 게임은 미국(훈련), 동남아(1공수여단), 중앙아메리카(82공수여단), 중동(101공수여단), 서유럽(3공수여단) 등 5개 지역의 미션을 담고 있다.[2]지역, 스타일, 적을 선택한 후 조종사는 1차 임무와 2차 임무를 부여받는다.여기에는 "적 본부 파괴" 또는 "우호군 지원"(우호군 근처의 목표물을 파괴하는 것)과 같은 목표가 포함될 수 있다.후자는 더 쉬운 임무가 될 것이다. 왜냐하면 전투는 친선적인 선에서 더 가까운 곳에서 치러질 것이기 때문이다.

그 후 조종사는 아파치 헬리콥터 포선을 무장하고, 보통 AGM-114 헬파이어 공대지 미사일(벙커나 탱크 등 '하드' 표적을 파괴하는 유도탄), FFAR(폴딩 핀 에어리얼 로켓, 보병과 설치 등 '소프트' 표적을 파괴하는 무유도 로켓), HEMP(고폭발성, 이중 목적) 회진을 선택한다.30mm 대포(최대 사거리가 1.5km인 다목적 무기); 중앙아메리카, 중동, 서유럽에서는 AIM-9 사이드윈더도 표준 장비로, 대포가 고장 났을 경우에 대비한 예비 공대공 무기로서 주로 사용된다.

인내심 있는 선수들이 짧은 점프로 움직이며 언덕 뒤에 웅크리고 앉아 적의 시야를 막다가 갑자기 튀어나와 공격을 할 수도 있다.보다 공격적인 플레이어는 일반적으로 적의 사격을 피하기 위해 빠르고 불규칙하게 비행하고, 근접 거리에서 파괴적인 대포를 발사하기 위해 낮게 비행한다.비행시간은 임무 평가의 구성요소인 만큼 어느 방법이든 장점이 있다.그러나 후자는 빠른 반응으로 헬기가 쉴 새 없이 발사될 수 있는 1호선의 적들에게 다소 위험할 수 있다.

대부분의 적의 사격, 특히 작은 구경은 갑옷에 의해 굴절되지만, 일부는 시스템 손상을 일으킬 것이다.충분한 손상 적중 후 구조적 무결성이 고장나 조종사가 안전하게 착륙하기 위해 자동 조정을 사용해야 하는 일반적인 전력 장애가 발생한다.중상을 입은 조종사가 적지에 비상착륙하면 '실종 실종'이 된다.조종사가 큰 부상 없이 착륙하면 다시 기지로 탈출해 하루 더 싸울 수 있다.

게임에는 정해진 시간 제한이 없다.플레이어는 정비, 급유 및 손상 수리를 위해 임의의 수의 전방 영역 재공급 지점으로 돌아갈 수 있다.본대로 돌아가면 임무를 끝장낼 것이다.이상적으로는 조종사가 두 가지 임무를 모두 완수하고 다른 목표물을 타격하여 20분 이내에 기지로 복귀시키는 것이 좋다.

건십에는 끝이 없다.퍼플 하트, 에어 메달, 동성, 은성, 공로 십자가, 명예 훈장 등과 같은 메달을 계속 획득할 수 있지만, 조종사가 대령을 임명하면 승진은 일단 중지되고 브리지로 최종 진급하여 은퇴한다.일반이 게임에서 어떤 메달도 다른 사람을 얻기 위한 전제조건이 아니다(훈장 수여를 위해 한 번의 임무에서 두 명의 힌두인을 격추하는 요구조건은 더 낮은 메달을 획득하기 전에 그것을 획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믿게 만들었다).거듭된 메달은 첫 번째 메달보다 얻기 어렵다.[3]메달 획득 기준은 파괴된 대상 유형, 파괴된 대상 수, 목표 달성, 경과 시간, 조종사의 부상 여부 등을 기준으로 한다.실생활과 마찬가지로 이 경기의 메달은 사후에 수여할 수 있다.

개발 및 릴리스

MicroProse는 GunshipBlue Thunder와 유사한 도시 헬리콥터를 시뮬레이션할 것을 의도했지만, 도시 그래픽이 너무 어렵다는 것을 알았다.대신 F-15 스트라이크 이글을 위해 개발된 도구를 사용하여 또 다른 군사 시뮬레이션을 만들었다.[4]이 게임은 1986년 PC DOS, 아타리 ST, 아미가, 코모도어 64, FM 타운즈, MSX, PC-98, 샤프 X68000, ZX 스펙트럼을 위해 출시되었다.

군함도 1993년 US골드에 의해 세가 제네시스에 입항되었다.하지만, 이 게임의 버전은 아케이드 스타일의 게임 플레이와 수평 촬영 스테이지의 특징을 더 많이 보여줌으로써 다른 게임들과 달랐다.

리셉션

건쉽은 1987년 말 현재 마이크로프로세의 세 번째 베스트셀러 코모도어 게임이다.[5]1989년까지 건쉽 판매량은 50만 대를 넘어섰다.[6]

정보 잡지는 코모 도어 645스타들에 대한 다섯명 중에서,"조건 없이, 최고의 전투 비행 시뮬레이터 비행기를 8비트 컴퓨터들 사이에!"과 문서의 그래픽, 무기, 소리, 통제, 물리학을 반기라고 묘사하면서 건십을 주었다, 그 잡지"PRIME!"[7]컴퓨터 게이밍 월드"이 reviewe는 그것이라고 결론 지었다.rhGunship을 추천한다...5성급(내 최고점)은 충분히 자격이 있다고 말했다.[8]1994년 워게임에 대한 조사에서 이 잡지는 "처음 출시되었을 때 이것이 바로 헬리콥터 시뮬레이션"이라고 언급하면서 5개 중 3개의 별을 제목에 부여했다.[9]

건쉽은 "1986년 홈 컴퓨터 게임에서 최고의 스크린 그래픽"으로 오리진 상을 받았다.[10]크래쉬 독자들의 말에 따르면, 그것은 올해의 최고의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상을 받았다.[11]1987년 컴퓨터 게이밍 월드건십을 올해의 액션 게임으로 선정했고,[12] 1988년 독자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높은 평가를 받은 게임으로 잡지 명예의 전당에 가입했으며,[13] 1996년 잡지는 역대 102위 게임으로 순위를 매겼다.[14]

레거시

후속 게임인 Gunship 2000은 MicroProse에 의해 1991년과 1996년 사이에 여러 플랫폼에 출시되었다.그것의 후계자인 군십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만 2000년에 그 뒤를 이었다.

참조

  1. ^ "Gunship (1986) - PC - IGN". Pc.ign.com. 2000-02-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4, 2002. Retrieved 2012-07-03.
  2. ^ "Gunship". Mobygames. 1986. Retrieved 11 June 2014.
  3. ^ "Winning Medals". Flightsimbooks.com. Retrieved 2012-07-03.
  4. ^ Brooks, M. Evan (November 1987). "Titans of the Computer Gaming World / MicroProse". Computer Gaming World. No. 41. p. 16. Retrieved 23 April 2016.
  5. ^ Ferrell, Keith (December 1987). "The Commodore Games That Live On And On". Compute's Gazette. pp. 18–22. Retrieved 24 January 2015.
  6. ^ Worley, Joyce (December 1989). "Mega Hits: The Best of the Best". Video Games & Computer Entertainment: 130–132, 137, 138.
  7. ^ Dunnington, Benn; Brown, Mark R.; Malcolm, Tom (January–February 1987). "64/128 Gallery". Info. pp. 14–21.
  8. ^ Brooks, M. Evan (March 1987). "Gunship". Computer Gaming World. No. 35. pp. 10–13. Retrieved 23 April 2016.
  9. ^ Brooks, M. Evan (January 1994). "War In Our Time / A Survey Of Wargames From 1950-2000". Computer Gaming World. pp. 194–212.
  10. ^ "The 1986 Origins Awards". The Game Manufacturers Associ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12-16.
  11. ^ "CRASH 51 - Readers' Awards". Crashonline.org.uk. Retrieved 2012-07-03.
  12. ^ "Computer Gaming World Meets Dragoncon '87". Computer Gaming World. No. 42. December 1987. p. 62. Retrieved 23 April 2016.
  13. ^ "The CGW Hall of Fame". Computer Gaming World. No. 50. August 1988. p. 55. Retrieved 23 April 2016.
  14. ^ "150 Best Games of All Time". Computer Gaming World. November 1996. pp. 64–80. Retrieved 25 March 2016.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