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만트리아디파르트

Lymantria dispar dispar
리만트리아디파르트
성인여성
성인남성
과학적 분류 Edit this classification
도메인: 진핵생물
킹덤: 애니멀리아
문: 절지동물
클래스: 인곤충
순서: 나비목
슈퍼패밀리: 녹투오이데아과
가족: 에레비과
속: 리만트리아
종:
아종:
신용을 떨어뜨리다
삼원명
리만트리아디파르트

유럽집시나방, 북미집시나방 또는 해면나방으로 흔히 알려진 Lymantria difpar 또는 LDD difpar 나방은 에레비과에 속하는 나방일종으로 유라시아 원산입니다.[1]유럽, 아프리카, 북아메리카에 걸쳐 분포합니다.

칼 린네는 1758년에 리만트리아 디스파르트 종을 처음으로 묘사했습니다.분류의 주제가 수년간 바뀌어 종의 분류 체계를 둘러싼 혼란이 빚어졌습니다.이것은 많은 참고 문헌들이 이 한 종을 다른 방식으로 묘사하게 만들었습니다.이 과는 리만트리과(Lymantriidae)와 녹투이과(Noctuidae) 그리고 에레비과(Erebidae) 사이를 뛰어다녔습니다.리만트리아디파르트리만트리아디파르트의 아종으로 지정되었습니다.

해충으로 분류되며, 유충은 500여 종의 나무, 관목, 식물의 잎을 먹어 치웁니다.집시나방은 미국 동부에서 가장 파괴적인 경목 해충 중 하나입니다.전 세계적으로 가장 파괴적인 침입종 100종 중 하나로 등재되어 있습니다.[2]

분류학

린네는 1758년에 리만트리아 디스파르트 종을 처음으로 묘사했습니다.[3]: 2 분류의 주제가 수년간 바뀌어 종 분류학을 둘러싼 혼란이 빚어졌습니다.이것은 많은 참고 문헌들이 이 한 종을 다른 방식으로 묘사하게 만들었습니다.이 과는 리만트리과(Lymantriidae)와 녹투이과(Noctuidae) 그리고 에레비과(Erebidae) 사이를 뛰어다녔습니다.L. diff라는 종은 L. d. 아종 아시아티카L. d. 아종 자포니카와 같은 아종으로 나뉩니다.리만트리과(Lymantriidae)입니다.[4]: 9 리만트리이드 유충은 유충의 털이 뭉툭하기 때문에 흔히 투스톡 나방이라고 불립니다.[4]: 9

어원

리만트리아 디스파르트라는 이름은 두 개의 라틴어에서 파생된 단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리만트리아는 "파괴자"라는 뜻입니다.[5]diff라는 단어는 라틴어에서 "불평등"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성별의 차이를 나타냅니다.[4]: 9

L.d. differentL. different 용법.

분류학상 일반적인 이름인 북미집시나방과 유럽집시나방은 같은 아종인 리만트리아집시나방을 나타내며, 아시아집시나방의 아종과는 대조적입니다.[3]: 6

종과 아종에 대한 혼란이 널리 퍼져 있습니다.

규제를 위해 미국 농무부는 아시아집시나방을 "여성 비행 능력을 가진 리만트리아 디스파르트(센술라토)의 모든 생물형"으로 정의했습니다.[3]: 5

비행이 가능한 유일한 아종이 아닌 L.[3]: 6 d. 아종 아시아티카임에도 불구하고.전통적으로 L. diff는 일본, 인도, 아시아 집시나방을 지칭할 때에도 "집시나방"으로 지칭되어 왔습니다.[3]: 5

통칭

2021년 7월, 미국 곤충학회는 인종차별적이거나 다른 방식으로 공격적인 이름을 대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일반적인 이름 집시나방을 상장 폐지한다고 발표했습니다.집시는 로마 사회의 일부 사람들에 의해 모욕적인 비방으로 여겨집니다.[6]이로 인해 학회는 협의 과정을 거쳐 대체 명칭을 선정하게 되었습니다.[7]2022년 1월, 그들은 달걀 껍질의 해면 덩어리를 지칭하여 해면나방이라는 이름을 제안했습니다.[8]이 새로운 공동 명칭은 2022년 3월에 공식적으로 채택되었습니다.[1]

범위

리만트리아 디스파르트는 유럽 고유의 것으로 북미에서 도입되었습니다.[3]: 5 아시아 나방과 유라시아 나방은 1980년대에 다른 아종으로 분류되지 않았지만, 그 차이점은 이미 눈에 띄었습니다.[4]: 9 이 종은 1900년 이후 영국에서 곧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지만, 1995년 런던과 2005년 버킹엄셔에서 집단이 발견되었습니다.[9][10]

북미개론

Progressive spread across north east US from 1900 to 2007; compiled from county data by US Forest Service
미국 산림청이 카운티 데이터를 통해 수집했습니다.

리만트리아 디스패프는 1869년[4]: 9 북미에 처음 도입되어 급속히 침입종이 되었습니다.에티엔 레오폴드 트루벨롯은 서양에서 새로운 누에 산업을 설립하기 위해 누에나방과 함께 교배하려는 의도로 나방을 수입했습니다.[4]: 10 나방들은 우연히 메사추세츠 메드포드에 있는 그의 거주지에서 풀려났습니다.[4]: 10 결과 작업에 대해 상반된 보고서가 있습니다.하나는 혹시 모를 결과에 대한 구두 및 서면 경고에도 불구하고, 어떤 관리들도 나방을 찾아내고 파괴하는데 기꺼이 도움을 주려 하지 않았다고 말합니다.[4]: 10 또 다른 한 명은 트루벨롯이 실제로 이러한 위험성을 잘 알고 있었고, 나방의 방사에 대해 정부 관리들과 접촉했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고 지적했습니다.[3]: 1

Forbush and Fernald의 "집시 나방" (1896)에서 언급되었듯이, 그 나방은 그들이 풀려난 지 불과 10년 만에 성가신 것으로 여겨졌습니다.[4]: 10 1889년에 최초의 대규모 발병이 일어났고, 포부시와 페르날드는 모든 나무들이 고엽제가 되고, 애벌레들이 집과 보도를 뒤덮고 주민들에게 비를 내리는 등 엄청난 피해의 정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4]: 1, 10 처음에는 어떤 종의 애벌레가 발병에 책임이 있는지 확실하지 않았지만, 곤충학자 Maria Elizabeth Fernald에 의해 발견된 후, 1890년에 박멸 프로그램이 시작되었습니다.[3]: 1 [11]결국 그들은 태평양 북서부에 도달하여 산발적으로 침입했지만 성공적인 퇴치 캠페인으로 인해 아직까지 그곳에 정착하지 못했습니다.[12]

퍼지다

나방의 작은 유충은 공기 중으로 날아가서 바람에 의해 옮겨집니다.[4]: 10 유충은 비단실을 빙빙 돌리며 바람이 불기를 기다립니다.[4]: 10 가벼운 유충은 표면적을 넓히는 긴 털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하늘로 올리기에 적합합니다.[4]: 10 자연 확산 속도는 느리지만, 나방의 이동으로 인해 개체수가 고립되어 알의 우발적인 이동이 주목받고 있습니다.[4]: 10 미국 농무부에 따르면, 개입 없이, 이 해충은 매년 약 13마일 (21킬로미터) 퍼집니다.[13]2012년에 발표된 한 연구는 강한 동풍이 유충을 미시간 호수를 가로질러 최소 50마일(80km)의 거리인 위스콘신까지 운반한다는 가설을 세우며 폭풍이 확산을 가속화할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14]

나방이 죽은 나무 위에 알을 낳기 때문에 장작 운반은 알이 퍼지는 일반적인 방법입니다.[15]나방의 확산을 줄이기 위해 장작의 이동을 제한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습니다.[15][16]

생애주기

계란

달걀 덩어리는 보통 나무의 가지와 줄기에 놓이지만, 바위, 나뭇잎 그리고 자동차를 포함한 어떤 은신처에서도 발견될 수 있습니다.[4]: 12 암컷은 날지 못하기 때문에 번데기에서 나온 근처의 표면에 알을 낳습니다.[4]: 12 알들은 털로 덮여있습니다.[4]: 12 그 덮개는 포식자와 기생충으로부터 보호를 제공하며, 알을 추위로부터 보호하고 습기를 막는 데 중요할 수 있습니다.[4]: 12

알 속의 유충은 산란 후 약 한 달 만에 완전히 발육한 뒤 이완기에 들어가 월동합니다.[4]: 13 알은 8개월 혹은 9개월 동안 지속되는 월동 단계에 있습니다.[4]: 13 겨울을 대비하여 개발이 중단됩니다.[4]: 13 계란 안에 있는 애벌레가 수분 함량을 줄이는 적응 단계 이후, 계란은 추운 온도를 견딜 수 있습니다.[4]: 13 알 속의 유충은 봄에 활동을 재개하고, 물을 재흡수합니다.[4]: 13 그리고 나서 애벌레는 봄에 알의 코리온과 알집의 보호 털을 씹을 것입니다.[4]: 13

알집들은 보통 대략적으로 타원형입니다. 가로 34인치(19mm), 세로 1+12인치(38mm).달걀 덩어리는 마닐라 폴더에 비유되는 담황갈색이지만 겨울 동안 표백이 될 수도 있습니다.[18]암컷이 그것들을 눕힐 때, 그녀는 복부에서 머리카락 같은 세태로 그것들을 덮습니다.달걀 군집은 100개에서 1000개의 달걀을 포함합니다.[4]: 12 계란의 겉모습 때문에, 몇 가지 일반적인 이름들이 생겨났습니다; 독일어 슈왐스피너(말 그대로 "스펀지 스피너")와 프렌치 스폰지 사용은 계란 클러스터의 스펀지 같은 질감을 나타냅니다.[4]: 12

유충

Caterpillar

애벌레는 봄에 알덩어리에서 나옵니다.[4]: 13 대부분의 유충은 일주일 안에 부화하지만, 한 달 정도 걸릴 수 있습니다.[4]: 13 새로운 유충은 비 오는 날씨에 부화하거나 온도가 7°C(45°F) 이하일 경우 알집 위나 근처에 남아 있습니다.[4]: 13 유충은 자라기에 충분한 나뭇잎이 있어도 흩어져서 비단실에 매달려 바람이 높이 보내기를 기다립니다.[4]: 13 유충은 처음 부화했을 때 길이가 약 3밀리미터(15128인치)이고 50밀리미터 또는 90밀리미터(1+1516 또는 3+916인치)까지 자랍니다.

Larva (caterpillar) eating leaves
나뭇잎 먹기

유충은 먼저 잎의 털을 먹고 난 다음에 잎의 표피 위로 이동합니다.[4]: 14 먹이는 주로 아침과 늦은 오후에 낮에 발생합니다.[4]: 14 애벌레가 자라면서 먹이는 야행성 활동이 됩니다.[4]: 14 먹지 않을 때, 유충은 잎 아래에 남아 부착용 비단 매트를 만듭니다.[4]: 14

Caterpillar in frontal view

애벌레가 자라려면 털갈이를 해야 합니다.[4]: 14 유충은 유충이 털갈이를 한 횟수를 가리키는 인스타(instar)라는 용어를 특징으로 하며, 1차 유충은 아직 털갈이를 하지 않았고, 2차 유충은 털갈이를 한 번, 3차 유충은 두 번 등입니다.[4]: 15 수컷은 일반적으로 별 다섯 개이고 암컷은 별 여섯 개입니다.[4]: 15 유충이 네 번째 별에 도달하면, 그들은 야행성 먹이통이 되고, 새벽에 나무껍질이나 틈, 또는 나뭇가지 아래에 숨어서 휴식처로 돌아갈 것입니다 - 보호를 제공하는 모든 장소.[4]: 15

새로 부화한 유충은 검은색으로 길고 털 같은 세태를 가지고 있습니다.나이든 유충은 등을 따라 다섯 쌍의 파란 점과 여섯 쌍의 붉은 점이 있고, 세태를 뿌립니다.[4]: 15 유충의 단계가 끝나갈 때, 그들은 먹이를 먹지 않고 자신들을 은빛 그물에 둘러쌌습니다.[4]: 15

유충을 다른 종과 구별하기

유충은 반점으로 다른 종의 애벌레와 구별될 수 있습니다.머리 가까이에는 다섯 쌍의 파란 점들과 여섯 쌍의 빨간 점들이 꼬리 쪽을 향합니다.[19] 구분은 가시느릅나무 애벌레와 다른 애벌레와의 혼동을 방지할 것입니다.[19]동양의 텐트 애벌레는 나무에 있는 비단색 텐트, 등줄무늬가 있는지, 벚나무를 선호하는지 등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20]

번데기

번데기

유충은 6월 중순에서 7월 초 사이에 성숙기에 접어든 후 번데기 단계로 들어가며, 이 기간 동안 유충은 성충 나방으로 바뀝니다.번데기는 14일에서 17일까지 지속됩니다.[4]: 16 성충 나방은 번데기 껍질을 쪼개서 완전히 발달한 상태로 출현할 것입니다.[4]: 16

번데기는 개체수가 널리 퍼져 부족할 때 나무껍질, 틈, 나뭇가지 아래, 땅 위, 그리고 유충이 쉬는 다른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개체 수가 밀집한 기간 동안, 번데기는 이러한 장소에 제한되지 않지만, 나무 줄기나 숙주가 아닌 나무의 잎 위에 노출된, 은신처와 개방된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보통 애벌레들은 잎을 묶은 비단 가닥으로 만든 얇은 고치들을 만드는 반면, 다른 것들은 그들의 번데기를 고치들 안에 덮지 않고, 나비 번데기처럼 나뭇가지나 나무껍질에 매달려 있습니다.

어른들

성인여성
성인남성

수컷은 깃털 모양의 더듬이를 가지고 있고 암컷은 얇은 더듬이를 가지고 있습니다.[4]: 11 수컷 나방의 앞날개 길이는 20-24 밀리미터(101128121128인치), 암컷의 앞날개 길이는 31-35 밀리미터(1+7321+38인치)로 크기 차이도 주목할 만합니다.암컷이 수컷보다 큽니다.암컷은 날개가 완전히 형성되어 있지만 날지는 않는다는 것이 성별의 또 다른 중요한 차이점 중 하나는 암컷은 날개가 완전히 형성되어 있다는 것입니다.[4]: 11–12 유라시아에서는 암컷 비행이 흔하지만, 이 나방들은 다른 종일지도 모릅니다.[4]: 11–12

나방은 보통 7월에 번데기에서 나오지만, 개체수 밀도와 기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4]: 11 갈색 수컷 집시나방은 암컷이 나타나기 하루나 이틀 전에 먼저 출현합니다.[4]: 11 수컷들은 빠른 지그재그 패턴으로 날지만 직항이 가능합니다.[4]: 11 대부분의 나방들처럼, 수컷들은 전형적으로 야행성이지만, 때때로 낮 동안에도 날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수컷들은 암컷을 찾아 나무 줄기나 다른 수직 물체를 위 아래로 날아갑니다.[4]: 11 무겁고 흑백의 알이 많은 암컷이 나타나면 수컷을 유인하는 페로몬을 내뿜습니다.[4]: 12 암컷은 복부 끝 부근에 작은 분비선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부름"이라고 불리는 펌핑 동작으로 페로몬을 방출합니다.[4]: 12 그것은 불규칙한 비행 패턴을 통해 냄새를 추적하면서 먼 거리에서 수컷을 유인할 수 있습니다.[4]: 12

구애는 정교하지 않습니다. 암컷은 수컷이 자신과 커플이 될 수 있도록 날개를 쳐들어야 합니다.[4]: 12 나방들은 최대 한 시간 동안 코풀라에 남아 있지만, 정자의 이동은 보통 10분 이내에 이루어집니다.[4]: 12 수컷 나방은 한 마리 이상의 암컷을 수정시킬 수 있습니다.[4]: 12 암컷이 짝짓기를 한 후에 매력적인 페로몬을 방출하는 것을 멈추기 때문에 암컷이 여러 번 짝짓기를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드문 일입니다.[4]: 12 암컷들은 짝짓기를 한 후 알을 낳기 시작합니다.[4]: 12

다 자란 나방은 약 1주일 정도 삽니다.[4]: 12 그들은 활동적인 소화 기관을 가지고 있지 않고 먹이를 먹을 수 없지만 수분 속에서 마실 수 있습니다.[4]: 12 암컷의 번식 가능성은 약 이틀 정도 지속되며, 수컷을 유인하는 페로몬은 셋째 날에는 감소합니다.[4]: 12 페로몬의 효력 때문에 대부분의 여성들은 짝짓기를 하게 됩니다.[4]: 12

암컷들은 나무, 관목, 바위, 이동수단 그리고 많은 종류의 식물들 위에 알을 낳습니다.그들 각각은 보통 약 500개의 알을 낳습니다.이 알들은 복숭아빛 솜털로 덮여 있는데, 맨 피부나 털에 닿으면 심각한 발진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4]: 12

행동

자원의 가용성, 포식자 밀도, 성적 경쟁과 같은 많은 환경적 요인들이 유충 단계에서 성인 단계에 이르기까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인구는 수년간 낮은 밀도로 존재할 것입니다.개체 수가 방출 단계에 접어들면 개체 수가 몇 배로 증가했다가 몇 세대 안에 다시 감소하는 발병 단계로 급속히 확대됩니다.[22]

먹이 주기

집시나방은 북반구의 낙엽수 고엽제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칩니다.1868년 또는 1869년에 미국에 도입된 이후, 서부와 남부 모두에 퍼져 현재는 미국 동부와 캐나다의 경목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22] 300종이 넘는 나무와 관목이 숙주입니다.[4]: 16

유충들은 먹이를 찾아 그들의 길에 있는 모든 물체를 기어오를 것입니다.[4]: 16

호스트

유충은 참나무를 선호하지만, 경목과 침엽수를 포함한 많은 종류의 나무와 관목을 먹고 삽니다.[4]: 16 미국 동부의 집시나방은 다른 종들 중에서도 오크나무, 애스펀, 사과, 스위트검, 얼룩무늬 오리나무, 배스우드, 회색 자작나무, 종이 자작나무, 포플러, 버드나무, 산사나무 등의 잎을 선호합니다.[23]나이든 유충들은 어린 유충들이 피하는 여러 종류의 연목들을 먹고 사는데, 목화나무, 헴록, 대서양 편백나무, 그리고 동쪽에 자생하는 소나무와 가문비나무 종들이 있습니다.[23]집시나방은 재나무, 튤립나무, 미국산 시카모어, 버터넛, 블랙호두, 카탈파, 이 피는 개나무, 봉삼나무, 삼나무, 아메리카홀리, 산월계로덴드론 관목을 피하지만 밀도가 극도로 높을 때는 늦은 을 먹고 삽니다.[23]

포식

많은 종들이 L. diff를 먹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흰발쥐 또는 아나스타우스 디스패리스와 같은 일부 종은 나방의 개체수 역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반면 조류 포식과 무척추동물 포식은 개체 수 역학에 작은 영향만 보여줍니다.

작은포유류

흰발쥐 페로미스쿠스 류코퍼스는 드문 나방 개체수를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4]: 21 설치류는 땅 근처나 땅 위의 휴식 장소를 찾는 유충과 번데기를 먹습니다.[4]: 21 흰발쥐는 미국 북동부 지역에서 가장 흔하고 널리 분포하는 작은 포유 동물입니다.[4]: 108 북부짧은꼬리땃쥐로키산맥 동쪽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애벌레와 번데기를 먹어 치웁니다.[4]: 108

새들

식충성 조류는 집시나방의 애벌레를 잡아먹지만, 알집은 털을 덮어 보호합니다.[4]: 21 조류 포식의 효과는 북미에서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지만,[4]: 21 일본과 유라시아에서는 잘 기록되어 있습니다.[4]: 21 집시나방이 발생하면, 조류 포식은 개체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4]: 105 집시나방 애벌레, 번데기, 성충을 먹는 새로는 블루제이, 붉은눈비레오, 동부 토우이, 북부 오리올, 고양이새, 유럽벌새 등이 있습니다.[4]: 105 검은 모자를 쓴 병아리는 알을 포함한 전 생애에 걸쳐 나방을 먹고 삽니다.[4]: 105

많은 조류 종들은 집시나방 애벌레를 먹고 살지만, 일반적인 조류 종들의 주요 먹이원은 아닙니다.비록 몇몇 유럽 연구들이 집시나방 개체수를 통제하는데 있어서 조류 포식을 큰 영향으로 인용하고 있지만, 이를 증명하기 위한 연구들은 거의 없습니다.[22]

무척추동물 포식자

칼로소마 시코판타는 집시나방 애벌레와 번데기를 잡아먹는 딱정벌레입니다.유충과 성충은 먹이를 뜯어 먹고 삽니다.[4]: 21 저밀도 집단에서는 애벌레 사망률과 번데기 포식률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습니다.[22]

기생충

집시나방 기생충은 널리 연구되어 왔지만, 개체수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기생파리 4종은 집시나방 애벌레를 잡아먹습니다.[4]: 20 파라세티가나 실베스트리스엑소리스타 유충은 집시나방 애벌레 위에 알을 낳았습니다.집시나방 애벌레가 털갈이하기 전에 알이 부화하면, 파리 애벌레는 숙주를 관통할 것입니다.[4]: 20 집시나방 애벌레를 꿰뚫고 자신의 애벌레를 안에 집어넣습니다.[4]: 20 블레파리파 프라텐시스는 잎 에 알을 낳습니다.집시나방 애벌레는 알을 먹고 파리 애벌레는 내장 안에서 부화합니다.[4]: 20

기생 말벌 8종이 집시나방을 공격합니다.오엔시르투스 쿠바네와 아나스타투스 디스파티스가 알을 공격합니다.[4]: 20 O. 쿠바네는 알을 공격하지만, 효과는 알집의 표면층만을 침투할 수 있는 난포자에 의해 제한됩니다.[4]: 20 A. difparis는 배란되지 않은 알만 공격할 수 있고 암컷 말벌에게는 날개가 없기 때문에 포식자로서 성공은 제한적입니다.[4]: 20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시나방의 개체군 동태에 가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종은 A. difpis가 유일합니다.아판텔레스 멜라노셀루스포보캄페는 초기 애벌레 단계를 분리합니다.[4]: 20 intermediaMonodontomerus aureus는 집시나방 번데기를 기생시킵니다.[4]: 20

북미가 원산지인 기생충 이토플렉테스는 집시나방 번데기를 공격해 죽이지만 숙주 내에서는 유충의 발육이 드물고 공격 횟수 자체도 적습니다.[4]: 20

Glyptapaneles portheriaeG. liparidis는 둘 다 집시나방 애벌레 위에 알을 낳는 말벌입니다.G. liparidis에 대한 연구는 숙주가 세 번째 인스타에 몰트 전에서 기생하는 경우 거의 90%의 성공을 보였습니다.대부분의 무척추동물 포식은 유충이 쓰레기 속에 있을 때 발생했습니다.[24]

오스트리아의 인구는 타키니드 파라세티게실베스트리스에 의해 높은 기생성을 겪었고, 이는 이 지역에서 L. difar의 추가 증가를 방지하는 데 기여했을 수 있습니다.[25]

병원체

바이러스에 의해 죽었소2017년 6월 28일 매사추세츠주 뉴턴

다른 지역의 집시나방 개체수는 다른 바이러스 종에 취약성을 보여줍니다.핵다형증 바이러스는 어떤 경우에는 상당한 사망률을 야기하기도 했습니다.가장 중요한 병원체는 NPV 또는 보랄리니바이러스 문책이라고도 불리는 LdMNPV(Limantria different multicapsid nuclear polyhedrosis virus)입니다.[4]: 21 유충이 난자를 통해 먹을 때 섭취하는 바이러스 입자는 첫 번째 별에서 그들을 죽일 것입니다.[4]: 21 그 시체들은 분해되고, 나뭇잎 위에 바이러스를 퍼뜨리고, 그리고 나서 다른 유충들에 의해 소비될 것입니다.[4]: 21 바이러스가 발생하면 유충 사망률이 높고,[4]: 21 썩어가는 유충의 냄새가 주변에 스며듭니다.[4]: 19 이 병원균은 집첵이라는 이름으로 살충제로 사용됩니다.[4]: 21

Streptocococcus faecalis는 사망률로 주목받는 또 다른 병원체입니다.[4]: 21 병원체에 의해 죽은 애벌레는 쪼글쪼글해진 모습입니다.[4]: 21

곰팡이

엔토모파가 마이마이가는 집시나방의 개체수 조절을 돕는 일본 곰팡이입니다.[26]비록 1980년대까지는 효과적인 통제가 되지 못했지만, 1910년경에 북아메리카에 처음 소개되었습니다.[27]

기타개작

유충의 개체수 밀도는 그들의 행동에 주요한 역할을 합니다.밀도가 낮으면 유충은 낮 동안 활동하지 않지만 높은 개체수에서는 활동량이 많아집니다.[4]: 16

교배는 해로운 유전적인 효과를 낳고, 분산은 이 효과를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4]: 23

날씨

온도는 집시나방에게 중요합니다.낮은 온도는 치명적입니다.겨울 동안 -9 °C (16 °F)의 온도는 견딜 수 있으며, 기간이 길면 내부의 유충을 죽일 수 있으며, 짧은 시간이라도 -23 °C (-9 °F)는 치명적입니다.[4]: 22 낮거나 땅 위에 있는 달걀 퇴적물은 눈을 포함한 온도로부터 절연될 수 있고 치명적인 온도에서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4]: 22 32°C(90°F) 이상의 온도는 성장과 발달을 증가시킵니다.[4]: 22 강우는 유충이 형성되기 전에 그들을 익사시킬 수 있습니다; 낮은 개체수는 유충 단계 동안의 폭우와 관련이 있습니다.[4]: 22 바람은 유충의 분산에도 매우 중요합니다.시속 몇 마일의 풍속은 비단실을 깨뜨리고 유충을 흩뜨리기에 충분합니다.[4]: 23

페로몬스

디스플레어는 인공적으로 합성되어 짝짓기 패턴을 혼동하거나 수컷 나방을 덫으로 이끄는 데 사용되었습니다.그러나, 이 기술은 집중된 개체수에 대해서는 덜 성공적이어서, 다른 생태학적 해결책이 발견될 때까지 감염을 지연시키는 것이 주된 용도일 수 있습니다.[28]

영향

Aerial photo showing gypsy moth defoliation of hardwood trees along the Allegheny Front near Snow Shoe, Pennsylvania, in July 2007. Some of the trees had begun refoliating by the time this picture was taken.
2007년 7월 펜실베니아주 스노우 슈 근처 앨러게니 전선을 따라 경목 고엽제 나무가 고엽제를 맞고 있습니다.언덕 꼭대기에 있는 연두색 패치는 이 사진을 찍을 때쯤부터 다시 수분을 하기 시작한 나무들입니다.

집시나방 서식지는 북쪽 호랑이 제비꼬리, Papilio canadensis와 겹칩니다.실험 결과 알려진 집시나방 병원체와 집시나방 체액이 제비꼬리 유충의 생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집시나방 체액은 치명적이며, 제비꼬리 애벌레는 집시나방 감염원 근처 들판에 있을 때 기생충 발생률이 더 높았습니다.[29]

리만트리아 인종차별은 광범위한 고엽제를 야기하고 경제에 수백만 달러의 손해를 입힙니다.1970년부터 2010년까지 미국의 총 고엽제는 8040만 에이커 (32만 5천 킬로미터2)였습니다.[30]최악의 해는 1981년으로 1,290만 에이커(52,000km2)의 고엽수가 발생했습니다.[23][31]2010년에는 1,207,478 에이커 (488,649 ha)의 고엽제가 되었습니다.[19]

매년 집시나방에 의한 숲 고엽제는 숲에 사는 새들의 개체 수와 번식 성공에 영향을 미칩니다.고엽제 부위에 위치한 둥지는 고엽제 부위가 아닌 부위보다 더 높은 포식률을 보였습니다.집시나방은 미국 숲에서 조류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32]

발진

그 애벌레는 어떤 사람들이 유충 (애벌레) 단계의 털과 접촉할 때 담쟁이덩굴과 같은 발진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접촉은 직접적일 수도 있고, 바람에 의해 작은 털들이 사람의 피부나 옷으로 옮겨질 수도 있습니다.그러한 발진은 1980년대 초 미국 북동부 지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전염병 때 기록된 바 있습니다.[33]메인 주 해안과 매사추세츠 주 케이프 코드에서는 갈색 꼬리 나방(Euproctis chrysorroea)에 노출되어 애벌레가 유발하는 발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훨씬 높습니다.[34]

참고문헌

  1. ^ a b "'Spongy Moth' Adopted as New Common Name for Lymantria dispar". Entomological Society of America. Retrieved 3 March 2022.
  2. ^ "GISD".
  3. ^ a b c d e f g h Pogue, Michael. "A review of selected species of Lymantria Huber [1819]" (PDF). Forest Health Technology Enterprise Team. Retrieved September 14, 2012.
  4.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am an ao ap aq ar as at au av aw ax ay az ba bb bc bd be bf bg bh bi bj bk bl bm bn bo bp bq br bs bt bu bv bw bx by bz ca cb cc cd ce cf cg ch ci cj ck cl cm cn co cp cq cr cs ct cu cv cw cx 집시나방: 통합 해충관리를 위한 연구, 미국 농무부, 1981
  5. ^ 리만트리아 자유사전
  6. ^ Randall, Kay. "What's in a Name? Professor take on roles of Romani activist and spokesperson to improve plight of their ethnic group".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February 2005. Retrieved 30 January 2013.
  7. ^ "Scientists are renaming the 'gypsy moth' as part of broader push to root out offensive monikers". The Washington Post. Retrieved July 12, 2021.
  8. ^ ""Spongy Moth" Proposed as New Common Name for Lymantria Dispar". entsoc.org. January 25, 2022.
  9. ^ Waring, P.; et al. (2009), Field Guide to the Moths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Hook, Hampshire: British Wildlife Publishing, ISBN 978-0953139996
  10. ^ "Gypsy moth, Lymantria dispar", UK Moths, Ian Kimber, retrieved January 23, 2013
  11. ^ 스피어, 로버트 J.위대한 집시 나방 전쟁: 매사추세츠 에서 집시나방 퇴치를 위한 캠페인의 역사, 1890-1901.매사추세츠 대학 출판부, 2005.
  12. ^ Featherstone, Charles H. (2021-01-06). "WSDA prepares assault on gypsy moth lairs". Basin Business Journal - Central Washington's Farm News. Retrieved 2021-01-13.
  13. ^ "Gypsy Moth".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Retrieved September 14, 2012.
  14. ^ KL Frank (2013). "Interpretation of gypsy moth frontal advance using meteorology in a conditional algorithm". Int J Biometeorol. 57 (3): 459–73. Bibcode:2013IJBm...57..459F. doi:10.1007/s00484-012-0572-4. PMID 22842865. S2CID 8366486.
  15. ^ a b Witten, Scott. "Chop local". Laurinburg Exchang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27, 2013. Retrieved September 14, 2012.
  16. ^ "Don't Move Firewood - Protect Trees from Bugs".
  17. ^ "Gypsy moth: Biology & Life Cycle". Retrieved September 14, 2012.
  18. ^ "Identifying and managing Gypsy Moth egg masses" (PDF). Chris Williamson and Andrea Diss. Retrieved September 14, 2012.
  19. ^ a b c "European Gypsy Moth (Lymantria dispar)"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May 17, 2013. Retrieved September 21, 2012.
  20. ^ "Gypsy Moth in New Jersey" (PDF). Forest Resource Education Center New Jersey Forest Servic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Retrieved September 21, 2012.
  21. ^ (Waring et al., 2003)
  22. ^ a b c d Elkinton, J. S.; A. M. Liebhold (1990). "Population dynamics of gypsy moth in North America". Annual Review of Entomology. 35: 571–596. doi:10.1146/annurev.en.35.010190.003035.
  23. ^ a b c d M. McManus; N. Schneeberger; R. Reardon; G. Mason (October 1989). "Forest Insect & Disease Leaflet 162 – Gypsy Moth".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Retrieved 2010-07-10.
  24. ^ Marktl, Robert C.; Christian Stauffer; Axel Schopf (2002). "Interspecific competition between the braconid endoparasitoids Glyptapanteles porthetriae and Glyptapanteles liparidis in Lymantria dispar larvae". Entomologia Experimentalis et Applicata. 105 (2): 97–109. doi:10.1046/j.1570-7458.2002.01038.x. S2CID 83644921.
  25. ^ Hoch, G.; M. Zubrik; J. Novotny; A. Schopf (2001). "The natural enemy complex of the gypsy moth, Lymantria dispar in different phases of its population dynamics in eastern Austria and Slovakia - a comparative study".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125: 217–227. doi:10.1046/j.1439-0418.2001.00540.x. S2CID 84323445.
  26. ^ Ferrechio, Susan. "Nature Saves Trees from Gypsy Moths: Fungus Helps Stop Spring Caterpillars Cold". The Washington Times (Washington, DC). Retrieved September 19, 2012.
  27. ^ McCullough, Debora G.; Raffa, Kenneth A.; Williamson, R. Chris (May 2001). "Natural Enemies of Gypsy Moth: The Good Guys!" (PDF). Michigan State University Extension. Retrieved February 23, 2018.
  28. ^ Gerardi, Michael H.; Grimm, James K. (1978). The History, Biology, Damage, and Control of the Gypsy Moth, Porthetria dispar (L.). Rutherford [N.J.]: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ISBN 978-0838620236.
  29. ^ Redman, Ahnya M.; Scriber, J. Mark (June 2000). "Competition between the gypsy moth, Lymantria dispar, and the northern tiger swallowtail, Papilio canadensis: interactions mediated by host plant chemistry, pathogens, and parasitoids". Oecologia. 125 (2): 218–228. Bibcode:2000Oecol.125..218R. doi:10.1007/s004420000444. PMID 24595833. S2CID 21553303.
  30. ^ 미국 산림청의 고엽제 제거 차트
  31. ^ 10년 만에 북동쪽 최악의 발병으로 돌아온 집시나방들, 곤충학자들은 그것을 막을 방법을 모릅니다.SUMMER's MUNCH, 로랑 벨시, 기독교 과학 모니터, 1990년 7월 2일
  32. ^ Thurber, Dale K.; McClain, Willam Robert; Whitmore, Robert C. (July 1994). "Indirect effects of gypsy moth defoliation on nest predation". The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58 (3): 493–500. doi:10.2307/3809321. JSTOR 3809321.
  33. ^ Tuthill, R W; Canada, A T; Wilcock, K; Etkind, P H; O'Dell, T M (1984-08-01). "An epidemiologic study of gypsy moth rash".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74 (8): 799–803. doi:10.2105/ajph.74.8.799. PMC 1651967. PMID 6742270.
  34. ^ 갈색꼬리나방 메인주 산림청 (201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