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토르 카스트로
Héctor Castro ![]() 1928년 카스트로 | |||||||||||||||||||||||||||||||||||||
개인정보 | |||||||||||||||||||||||||||||||||||||
---|---|---|---|---|---|---|---|---|---|---|---|---|---|---|---|---|---|---|---|---|---|---|---|---|---|---|---|---|---|---|---|---|---|---|---|---|---|
출생의 날짜. | )29 1904년 11월 | ||||||||||||||||||||||||||||||||||||
출생지 |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 ||||||||||||||||||||||||||||||||||||
사망일자 | 1960년 9월 15일 | (55세)||||||||||||||||||||||||||||||||||||
사망장소 |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 ||||||||||||||||||||||||||||||||||||
포지션 | 공격자 | ||||||||||||||||||||||||||||||||||||
청년 경력 | |||||||||||||||||||||||||||||||||||||
1921–1924 | 애슬레틱 클럽 리토 | ||||||||||||||||||||||||||||||||||||
시니어 커리어* | |||||||||||||||||||||||||||||||||||||
몇 해 | 팀 | Apps | (Gls) | ||||||||||||||||||||||||||||||||||
1923–1932 | 나시오날 | ||||||||||||||||||||||||||||||||||||
1932–1933 | 에스터디안테스속 | ||||||||||||||||||||||||||||||||||||
1933–1936 | 나시오날 | 231[1] | (149[1]) | ||||||||||||||||||||||||||||||||||
국가대표팀 | |||||||||||||||||||||||||||||||||||||
1926–1935 | 우루과이 | 25 | (18) | ||||||||||||||||||||||||||||||||||
팀 관리 | |||||||||||||||||||||||||||||||||||||
1939–1943 | 나시오날 | ||||||||||||||||||||||||||||||||||||
1952 | 나시오날 | ||||||||||||||||||||||||||||||||||||
1959 | 우루과이 | ||||||||||||||||||||||||||||||||||||
명예
| |||||||||||||||||||||||||||||||||||||
* 시니어 클럽의 등장과 골은 국내 리그에만 반영됨 |
엑토르 카스트로(Hector Castro, 1904년 11월 29일 ~ 1960년 9월 15일)는 우루과이의 축구 선수 겸 코치였다.[2]
초년기
카스트로는 몬테비데오에서 태어났다.13세 때 전기톱을 사용하다가 우연히 오른쪽 팔뚝을 절단했는데, 이 때문에 엘만코(El manco, 즉 외팔이라는 뜻)라는 별명이 생겨났다.[3]
선수생활
클럽 커리어
카스트로는 1923년/24년 나시오날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으며 우루과이 월드컵에서 득점한 최초의 선수였다.Nacional에서 그는 세 번의 우루과이 선수권 대회(1924, 1933, 1934년)에서 우승한 후 1936년에 은퇴했다.
1933년 우루과이 축구 선수권 대회
1933년 우루과이 챔피언십에서 페냐롤 선수인 브라울리오 카스트로는 공이 명백히 아웃된 챔피언 결정전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는 골을 넣었으나, 키네시학자의 약장각에서 다시 튕겨 나와 골대 축적에 성공했다.이것이 경기의 유일한 골로 판명되었고, 반대파인 나시오날은 골에 짜증이 나서 심판을 폭행한 것에 대해 매우 힘들다고 느꼈고, 그들 중 3명의 선수가 퇴장당했다.이는 주심인 텔레스포로 로드리게스가 부상을 당해 경기를 계속할 수 없다는 뜻이어서 부심 중 한 명인 루이스 스칸드로글리오가 끼어들었고, 70분이 지나자 신호 불량으로 경기를 즉시 포기했다.[4]
두 달여가 지난 7월 30일, 리그 보드는 이 골을 허용하지 않기로 결정했고 앞서 언급한 세 번의 송출 중 하나(울리스 쉬플렛의 송출)도 취소했다.그들은 또한 마지막 20분을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에서 치르되, 원래의 만남을 괴롭혔던 같은 논란을 피하기 위해 비공개로 치르기로 결정했다.경기는 비공개로 진행됐고, 20분 동안 골이 터지지 않았다.매우 비정통적인 움직임으로, 두 번의 추가 시간이 연주되었다(평소 용돈은 한 번의 세션이 될 것이다), 점수는 무실점으로 남아 있었다.[4]나시오날 팬들은 이번 경기를 9명의 선수와 함께 남은 20분을 더하고 오버타임(총 80분 이상)을 모두 소화해 '9콘트라 11'(9대 11)으로 기억하고 있다.
9월 2일 다시 두 차례 연장전에 이은 2차 플레이오프가 열렸지만 여전히 교착상태는 깨지지 않았다.[4]
11월 18일 세 번째 플레이오프가 경합을 벌였고, 헥터 카스트로는 논란이 된 첫 플레이오프가 끝난 지 거의 6개월 만에 마침내 우루과이 챔피언십에 안착한 페냐롤에 3-2 대 2 동점골과 나시오날 결승골을 넣는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이번 경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이 논란이 많은 플레이오프는 1933년 우루과이 챔피언십이 1934년 11월까지 수상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했다.[4]
국제 경력
카스트로는 1923년 11월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에 데뷔했다.그는 1935년 8월 라 셀레스트와의 결승전에 출전해 25차례나 출전해 18골을 기록했다.[5]
1928년 올림픽
1928년 올림픽 경기에서 우루과이에서 뛰었던 카스트로는 금메달을 땄다.[6]
1930년 FIFA 월드컵
월드컵 결승전에서 카스트로의 골은 1930년 우루과이가 제1회 FIFA 월드컵에서 우승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6]그는 또한 페루와의 경기에서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에서 사상 첫 골을 넣었다.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카스트로는 1926년과 1935년에 남미 축구 선수권 우승팀에서 뛰었다.
국제적 목표
우루과이의 골 득실 1위
# | 날짜 | 장소 | 상대 | 점수 | 결과 | 경쟁 |
---|---|---|---|---|---|---|
1. | 1923년 11월 25일 |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에스타디오 포키토스 | ![]() | 1–0 | 2–1 | 다정하다 |
2. | 1923년 12월 8일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에스타디오 레이싱 클럽 | ![]() | 1–1 | 3–2 | 코파 미니스트로 데 렐라시오네스 엑스트리오레스 |
3. | 3–2 | |||||
4. | 1926년 10월 17일 | 칠레 산티아고 시 에스타디오 스포츠 데 누뇨아 | ![]() | 2–0 | 3–1 | 1926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
5. | 1926년 10월 24일 | 칠레 산티아고 시 에스타디오 스포츠 데 누뇨아 | ![]() | 2–0 | 2–0 | |
6. | 1926년 11월 1일 | 칠레 산티아고 시 에스타디오 스포츠 데 누뇨아 | ![]() | 1–0 | 6–1 | |
7. | 2–0 | |||||
8. | 3–0 | |||||
9. | 5–1 | |||||
10. | 1927년 11월 1일 | 페루 리마,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 ![]() | 4–0 | 4–0 | 1927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
11. | 1927년 11월 6일 | 페루 리마,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 ![]() | 6–0 | 9–0 | |
12. | 1927년 12월 10일 | 칠레 비냐델마르 | ![]() | 2–2 | 3–2 | 다정하다 |
13. | 1928년 6월 3일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올림픽 스타디움 | ![]() | 1–0 | 4–1 | 1928년 하계 올림픽 |
14. | 1929년 9월 20일 |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그란 파르케 센트럴 | ![]() | 1–0 | 2–1 | 1929년 코파 뉴턴 |
15. | 1930년 7월 18일 |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센테나리오 | ![]() | 1–0 | 1–0 | 1930년 FIFA 월드컵 |
16. | 1930년 7월 30일 |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센테나리오 | ![]() | 4–2 | 4–2 | 1930년 FIFA 월드컵 결승전 |
17. | 1935년 1월 13일 | 페루 리마,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 ![]() | 1–0 | 1–0 | 1935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
18. | 1935년 1월 27일 | 페루 리마,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 ![]() | 1–0 | 3–0 |
코치 경력
카스트로는 선수 은퇴 후 나시오날과 함께 축구 코치로 일했다.1940년, 1941년, 1942년, 1943년, 그리고 1952년에 다시 우루과이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만년의 삶과 죽음
카스트로는 1960년 55세의 나이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명예
플레이어로서
코치로서
- 우루과이 선수권 대회: 1940, 1941, 1942, 1943, 1952년
보조 코치로서
- 우루과이 선수권 대회: 1939년
카스트로는 1939년 윌리엄 리사이드의 부코치를 맡았으나 그해 대회 결승전에서 코치를 맡았다.따라서, 그는 퀴퀴니오 데 오로의 폐막 경기 중 5년 내내 나시오날 감독의 감독을 맡았다.
참조
- ^ a b "Héctor Castro Biograph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June 2010. 2009년 7월 30일에 검색됨.
- ^ "Héctor Castro". Olympedia. Retrieved 11 September 2021.
- ^ Peck, Sunil (7 June 2006). "Ouch Q&A: Héctor Castro 1930s disabled football star". Ouch!. BBC. Retrieved 15 December 2009.
- ^ a b c d "Uruguay 1933 Championship". RSSSF. Retrieved 15 December 2009.
- ^ "Appearances for Uruguay National Team". RSSSF.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January 2010. Retrieved 15 December 2009.
- ^ a b "FIFA Player Statistics: Hector Castro". FIF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April 2009. Retrieved 15 December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