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코다테 본선
Hakodate Main Line하코다테 본선 | |||
---|---|---|---|
![]() 한 지역 열차는 일본해, 아사리 역 오타루에 근처의 해안을 따라. | |||
개요 | |||
주인님. | ![]() | ||
로캘 | 홋카이도 | ||
터미 | 하코다테 아사히카와 | ||
서비스 | |||
유형 | 지역철도 | ||
기술 | |||
선 길이 | 423.1km(262.9mi) | ||
트랙 게이지 | 1,067mm(3ft 6인치) | ||
전기화 | 20kV AC(하코다테-호쿠토로, 오타루-아사히카와로) | ||
작동 속도 | 130km/h(81mph) | ||
|
하코다테 본선(河野田本線, Hakodate-honsen)은 일본 홋카이도의 삿포로를 거쳐 하코다테 시와 아사히카와 시를 잇는 철도 노선이다. 홋카이도 철도회사(JR 홋카이도)에서 운영하는 간선 중 하나이다. 1945년 개통된 오누마에서 모리까지 35km의 루프라인인 사와라선은 하코다테 본선의 일부로 포함되어 있다.
삿포로—미나미-오타루 구간은 홋카이도에서 개통한 첫 철도 노선(미나미-오타루 - 오타루 항으로 가는 테미야 선 포함)이었다. 하코다테와 연결되는 첫 번째 노선이 연장되었지만, 오늘날에는 삿포로 ---하코다테 직항 여객 및 화물 서비스는 치토세·무로란 노선을 경유해 오샴베 역 하코다테 노선에 다시 합류할 때까지 운행한다.
신하코다테-호쿠토 북쪽에 있는 홋카이도 신칸센 노선은 하코다테 본선 노선과 거의 유사하며, 신야쿠모·오샴베·쿠트찬·신오타루·삿포로 등에 역이 건설될 것을 제안했다.
열차 운행
래피드
- 특별급속공항
- [1] 삿포로 - 시로이시 - 신치토세 공항
- 래피드 에어포트
- 오타루/테인/사포로 - 시로이시 - 신치토세 공항
- 니세코 라이너
- 란코시/쿠트찬 - 삿포로
- 하코다테 라이너
- 하코다테 - 신하코다테호쿠토
리미티드 익스프레스
홋카이도 신칸센이 개통되기 전까지, 이들 서비스는 대개 1966년에 건설된 나나에~오누마 구간에서 오시마-오노, 니야마 구간을 우회하여 운영되었다. 신하코다테-호쿠토(옛 오시마-오노)가 하코다테 본선의 홋카이도 신칸센과 자이라센(현지선) 서비스의 주요 연결고리인 만큼, 이 서비스들은 그에 따라 다시 보급되었다.
구 나잇나잇 익스프레스 서비스
홋카이도 신칸센이 개통될 때까지 다음과 같은 침로차 서비스가 운행되었다.
- 카시오페이아 호쿠토세이
- 우에노 - (고료카쿠) - 하코다테 - 오쇼삼베 - 히가시무로란 - (시로이시) - 삿포로
- 트와일라잇 익스프레스
- 오사카 - (고료카쿠) - 오삼베 - 히가시무로란 - (시로이시) - 삿포로
- 하마나수
- 아오모리 - (고료카쿠) - 하코다테 - 오쇼삼베 - 히가시무로란 - (시로이시) - 삿포로
스테이션 목록
하코다테토오타루
- H: 래피드 하코다테 라이너
- N: 래피드 니세코 라이너
- 기차는 "+", "-"로 표시된 역에서 스킵한다.
역 | 거리 (km) | H | N | 전송 | 위치 | ||
---|---|---|---|---|---|---|---|
H75 | 하코다테 | 函館 | 0.0 | + | 하코다테 | ||
H74년 | 고료카쿠 | 五稜郭 | 3.4 | + | ![]() | ||
H73년 | 키쿄 | 桔梗 | 8.3 | - | |||
H72년 | 오나카야마 | 大中山 | 10.4 | - | 나나에, 가메다 | ||
H71 | 나나에 | 七飯 | 13.8 | - | |||
H70 | 신하코다테호쿠토 | 新函館北斗 | 17.9 | + | ![]() | 호쿠토 | |
H69년 | 니야마 | 仁山 | 21.2 | 나나에, 가메다 | |||
H68년 | 오누마 | 大沼 | 27.0 | ■ 하코다테 본선 분기점(사와라 선) | |||
H67년 | 오누마코엔 | 大沼公園 | 28.0 | ||||
H66 | 아카이가와 | 赤井川 | 31.7 | 모리, 카야베 | |||
H65 | 코마가타케 | 駒ヶ岳 | 36.5 | ||||
H62년 | 모리 | 森 | 49.5 | ■ 하코다테 본선 분기점(사와라 선) | |||
H60 | 이시야 | 石谷 | 56.1 | ||||
H59 | 혼이시쿠라 | 本石倉 | 60.0 | ||||
H58년 | 이시쿠라 | 石倉 | 62.1 | ||||
H57 | 오토시베 | 落部 | 66.1 | 야쿠모, 후타미 | |||
H56 | 노도이 | 野田生 | 71.4 | ||||
H55 | 야마코시 | 山越 | 76.6 | ||||
H54 | 야쿠모 | 八雲 | 81.1 | ||||
H52 | 야마사키 | 山崎 | 88.3 | ||||
H51 | 쿠로이와 | 黒岩 | 94.4 | ||||
H49 | 쿤누이 | 国縫 | 102.8 | ||||
H48 | 나카노사와 | 中ノ沢 | 107.7 | 오샤맘베, 야마코시 | |||
H47 | 오샤맘베 | 長万部 | 112.3 | ■ 무로란 본선 | |||
S32 | 후타마타 | 二股 | 120.9 | ||||
S30 | 쿠로마츠나이 | 黒松内 | 132.3 | 구로마쓰나이, 수쓰 | |||
S29 | 네푸 | 熱郛 | 140.4 | ||||
S28 | 메나 | 目名 | 155.8 | 란코시, 이소야 | |||
S27 | 란코시 | 蘭越 | 163.4 | + | |||
S26 | 곤부 | 昆布 | 170.3 | + | |||
S25 | 니세코 | ニセコ | 179.6 | + | 니세코, 아부타 | ||
S24 | 히라후 | 比羅夫 | 186.6 | + | 쿠찬, 아부타 | ||
S23 | 커찬 | 倶知安 | 193.3 | + | |||
S22 | 고자와 | 小沢 | 203.6 | + | 이와나이 교와 | ||
S21 | 긴잔 | 銀山 | 213.4 | + | 니키, 요이치 | ||
S20 | 시카리베쓰 | 然別 | 224.1 | + | |||
S19 | 니키 | 仁木 | 228.2 | + | |||
S18 | 요이치 | 余市 | 232.6 | + | 요이치, 요이치 | ||
S17 | 란시마 시 | 蘭島 | 237.9 | + | 오타루 | ||
S16 | 시오야 | 塩谷 | 244.8 | + | |||
S15 | 오타루 | 小樽 | 252.5 | + |
폐쇄역
- 와시노수 : 2016년 3월 25일 이후 휴업.
- 히가시야마 : 2017년 3월 4일 이후 폐업.
- 히메카와 : 2017년 3월 4일 이후 폐업.
- 기타토요쓰 : 2017년 3월 4일 이후 폐업.
- 와라비타이: 2017년 3월 4일 이후 폐점.
- 가쓰라가와=2017년 3월 4일 이후 폐업했다.
- 이노 : 2021년 3월 12일 이후 휴업.
오타루토아사히카와
- SRA: 특수 급행 공항
- A: 래피드 에어포트
- N: 래피드 니세코 라이너
- 모든 열차는 "+"로 표시된 역에 정차하고, 일부 열차는 "-"로 표시된 역에 정차하며, 모든 스킵 역은 "-"[1]로 표시된다.
역 | 거리 (km) | SRA | A | N | 전송 | 위치 | ||
---|---|---|---|---|---|---|---|---|
S15 | 오타루 | 小樽 | 252.5 | + | + | 오타루 | ||
S14 | 미나미오타루 | 南小樽 | 254.1 | + | + | |||
S13 | 오타루치코 | 小樽築港 | 256.2 | + | + | |||
S12 | 아사리 | 朝里 | 259.3 | - | - | |||
S11 | 제니바코 | 銭函 | 268.1 | - | - | |||
S10 | 호시미 | ほしみ | 271.0 | - | - | 삿포로시 데이네 구 | ||
S09 | 호시오키 | 星置 | 272.6 | - | - | |||
S08 | 이나호 | 稲穂 | 273.7 | - | - | |||
S07 | 테이네 | 手稲 | 275.7 | + | + | |||
S06 | 이나즈미코엔 | 稲積公園 | 277.0 | - | - | |||
S05 | 하사무 | 発寒 | 279.2 | - | - | 삿포로시 니시구 | ||
S04 | 하사무추오 | 発寒中央 | 281.0 | - | - | |||
S03 | 코토니 | 琴似 | 282.5 | + | + | |||
S02 | 소엔 | 桑園 | 284.7 | - | - | ■ 사쇼 선(가쿠엔토시 선) | 삿포로 주오 구 | |
01 | 삿포로 | 札幌 | 286.3 | + | + | + | 삿포로시 기타구 | |
H02 | 내보 | 苗穂 | 288.5 | - | - | ■ 치토세 선 | 삿포로 주오 구 | |
H03 | 시로이시 | 白石 | 292.1 | - | ◌ | ■ 치토세 선 | 삿포로시 시로이시 구 | |
A04 | 아츠베쓰 | 厚別 | 296.5 | 삿포로시 아쓰베쓰 구 | ||||
A05 | 신린코엔 | 森林公園 | 298.5 | |||||
A06년 | 오아사 | 大麻 | 300.8 | 에베쓰 | ||||
A07 | 노포로 | 野幌 | 304.2 | |||||
A08 | 타카사고 | 高砂 | 305.5 | |||||
A09 | 에베쓰 | 江別 | 307.3 | |||||
A10 | 토요호로 | 豊幌 | 313.5 | |||||
A11 | 호로무이 | 幌向 | 316.7 | 이와미자와 | ||||
A12 | 카미호로무이 | 上幌向 | 322.6 | |||||
A13 | 이와미자와 | 岩見沢 | 326.9 | ■ 무로란 본선 | ||||
A14 | 미네노부 | 峰延 | 335.3 | 비바이 | ||||
A15 | 코슈나이 | 光珠内 | 339.8 | |||||
A16 | 비바이 | 美唄 | 343.7 | |||||
A17 | 차시나이 | 茶志内 | 348.1 | |||||
A18 | 나이 | 奈井江 | 354.3 | 나이, 소라치 | ||||
A19 | 도요누마 | 豊沼 | 359.0 | 스나가와 | ||||
A20 | 스나가와 | 砂川 | 362.2 | |||||
A21 | 타키카와 | 滝川 | 369.8 | ■ 네무로 본선 | 타키카와 | |||
A22 | 에베오쓰 | 江部乙 | 378.2 | |||||
A23 | 모세우시 | 妹背牛 | 358.7 | 우류 모스시 | ||||
A24 | 후카가와 | 深川 | 392.9 | ■ 루모이 본선 | 후카가와 | |||
A25 | 오사무나이 | 納内 | 400.3 | |||||
A27 | 지카부미 | 近文 | 419.1 | 아사히카와 | ||||
A28 | 아사히카와 | 旭川 | 423.1 |
사와라 지선
역 | 거리 (km) | 전송 | 위치 | ||
---|---|---|---|---|---|
H68년 | 오누마 | 大沼 | 0.0 | ■ 하코다테 본선(본선) | 나나에, 가메다 |
N71년 | 이케다엔 | 池田園 | 3.4 | ||
N70 | 나가레야마온센 | 流山温泉 | 5.6 | ||
N69년 | 조시구치 | 銚子口 | 6.8 | ||
N68년 | 시카베 | 鹿部 | 14.6 | 시카베, 카야베 | |
N67년 | 오시마누마지리 | 渡島沼尻 | 20.0 | 모리, 카야베 | |
N66 | 오시마사와라 | 渡島砂原 | 25.3 | ||
N65 | 카카리마 | 掛澗 | 29.0 | ||
N64년 | 오시로나이 | 尾白内 | 31.9 | ||
N63년 | 히가시모리 | 東森 | 33.5 | ||
H62년 | 모리 | 森 | 35.3 | ■ 하코다테 본선(본선) |
폐쇄역
- 이노: 2021년 3월 13일 이후 휴업.
롤링 스톡
국부/급속/반급 래피드
- 하코다테토오타루
- 기하 40계 전동차 DMU
- H100 시리즈 DEMU
- 키하 150 DMUs (오샴베에서 오타루까지)
- KiHa 201 시리즈 DMUs (란코시 투 에베쓰)
- 733-1000 시리즈 AC EMU(하코다테 라이너만 해당)
- 오타루토아사히카와
- 721 시리즈 / 731 시리즈 / 733 시리즈 / 735 시리즈 AC EMU
- KiHa 201 시리즈 DMUs (란코시 투 에베쓰)
리미티드 익스프레스 / 홈 라이너
역사
일본 정부에 의한 노선의 건설은 1880년 미나미오타루 - 삿포로 구간의 32km에서 시작되었고, 이와미자와 구간의 41km는 1882년 이와미자와 구간의 주요 탄광에서 오타루 항까지의 연계를 제공하기 위해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1889년 홋카이도 석탄사에 매각되었고, 1891년 이와미자와에서 스나가와까지 35km, 1898년 아사히카와까지 61km를 연장하였다.
일본 정부는 1902년에 개통된 하코다테 - 시카리베쓰 구간 224km를 건설하였고, 오타루까지 남은 28km 구간은 이듬해 개통하였다.
1905년 오타루 - 미나미오타루에서 1.6km의 노선이 건설되어 홋카이도 석탄 소유 노선을 하코다테 선으로 연결하였고, 1906년 정부는 홋카이도 석탄사를 국유화하였다.
중복
미나미오타루와 이와미자와 사이의 노선을 두 배로 늘려 1909~11년 개통하였고, 스나가와 1924~26년, 1956년 타키카와, 아사히카와 1964~68년까지 연장되었다. 오타루 - 미나미오타루 구간은 1965년에 중복되었다.
하코다테에서 기쿄 1941-44까지 8km 구간이 중복 운행되었고, 1945년 이시쿠라에서 노다오이 구간 9km가 복선 운행되었다. 기쿄~나나에 구간 5km는 1962년 복선전철로 운행되었고, 두 배로 늘어난 구간은 1966년 오시마~오노~오누마 구간 50등급 중 1등급(2%)을 피하기 위해 북행 열차의 신규 정렬로 사실상 오누마 구간까지 13km를 연장하였다.
노다오이와 오샴베 사이의 41km 구간(총 8km에 이르는 두 개의 간격 제외)의 2배가 1965년과 1984년 사이에, 모리 - 이시쿠라 구간 13km는 1974년과 1979년 사이에 2배가 되었다. 사와라 선은 오누마와 모리 사이의 대체 노선을 제공하고 있지만, 지방 노선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모든 급행 여객 및 화물 열차는 오누마코엔을 경유하여 운행하고 있다.
전기화
오타루~삿포로~타키카와 구간은 1968년 전기화되었고, 이듬해 가무이코탄 4523m 터널 개통과 관련 편차로 아사히카와 구간까지 연장되었다.
하코다테 – 고료카쿠 3km 구간은 1988년 세이칸 터널 사업과 연계해 전기화되었다.
15km의 고료카쿠 – 오시마-오노 구간은 홋카이도 신칸센의 개통과 연계하여 전기화되었으며, 후기 역은 신하코다테-호쿠토로 개칭하였다.
이전 연결선
하코다테 – 오타루 구간
- 고료카쿠 역 - 여기서 연결되지 않은 토이 선 이 연결되면서 쓰가루 해협을 보호하기 위해 해군 기지를 섬길 것을 제안했다. 1937년 착공하여 1943년 자재 부족으로 공사가 중단되면서 29km 노선이 잘 진전되었다. 세이칸 터널은 원래 1968년에 노선이 변경되어 이후 건설될 때까지 토이 선의 노반(혼슈의 미완성 오마 선의 노반도 마찬가지로)을 이용하자는 제안이 있었다.
- 1945년 오누마와 모리 사이 사와라 분기선의 개통으로 하코다테 인근의 2개 민자철도가 영향을 받았다.
- 1929년 오누마코엔~시카베 17km 구간이 개통돼 불과 6개월 만에 화산폭발로 불행이 발생해 2개월 동안 폐쇄됐다. 1945년 사와라선의 시카베 역이 개통되면서 폐쇄되었으나, 신설 역이 읍내에서 다소 거리가 있어, 원역으로의 서비스 재설립을 위해 지역 주민들이 동요하였다. 이는 1948년 조시구치에서 마지막 11km 떨어진 노선이 지자체에 의해 다시 개통되면서 발생했으나 버스 운행과의 경쟁으로 1952년 노선이 영구 폐쇄됐다.
- 1928년 모리 9.4km 남쪽에서 스나하라까지 노선이 건설되었다. 이 노선의 처음 3.1km는 사와라 선의 일부로 재건되었고, 나머지 6.3km는 평행 JR 노선이 개통되면서 폐쇄되었다.
- 나카노사와 역 - 세타나행 48km 노선은 1929/32년에 개통되어 1987년에 폐쇄되었다.
- 구로마쓰나이 역 - 1920년 지자체가 싯쓰 항(17km)까지 노선을 건설했다. 1952년 홋카이도에서 사용한 최초의 디젤 기관차를 도입하였으며, 1968년 홍수 피해로 폐쇄되었다.
- 킷찬 역 - 1919년 13km 노선이 쿄고쿠까지 개통되어, 7km 노선에서 와키카타의 광산까지 연결되었다. JR 노선은 1928년에 기모베쓰까지 11km 연장되었고, 1940/41년에는 무로란 본선 다테 몬베쓰까지 60km 연장되었다. 와키카타 지점은 1970년 광산이 폐쇄되면서 폐쇄됐고, JR 노선은 1986년 폐쇄됐다.
- 오자와 역 - 762mm(2'6")의 게이지 전차는 1905년 이와나이에서 항구로 개통되었다. 1912년에 그것은 1985년에 닫힌 1067 mm(3'6") 게이지 라인으로 대체되었다. 이와나이 근교, 그리고 아마도 일본의 첫 전차선로는 1869년 탄광과 가야누마 항을 연결하는 2.8km의 중력선으로 개통되었다. 그것은 목재 난간과 ~ 1050mm 계량기를 사용했으며, 무장한 마차를 타고 있는 브라켓맨과 빈 마차를 광산으로 운반하는 말과 소를 이용했다. 1881년 철책이 달린 762mm 궤간으로 노선을 재건하였고, 1927년 증기 기관차가 도입되었다. 1931년 전차선은 광산과 이와나이항을 연결하는 10km의 케이블웨이로 대체되었고, 1946년에는 6.3km 1067mm 게이지 라인으로 대체되었다. 1962년 태풍으로 신선의 다리가 무너졌고, 2년 뒤 탄광이 폐쇄되는 등 폐선했다.
- 요이치 역 - 지방 정부는 1933년부터 43년까지 수변까지 2.8km 구간을 운행했다.
삿포로 지역
- 테이네 역 - 반나구로에 이르는 8km 762mm 게이지 라인은 1922-40년 운행되었다. 이시카리 강까지 10km 연장 제안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 삿포로 역 - 762mm 계량기 11km 선을 그은 말이 서쪽으로 가와바타까지 운행하여 1911/17을 개통하고 신코토니 인근 사쇼 선을 넘었다. 가솔린 기관차는 1922년에 도입되었다. 이 노선은 1943년에 버스로 대체되었다.
- 시라이시 역 - 전기화(1.5kV DC) 전용 27km 노선이 1918년 조잔케이에 여객 서비스를 위해 개통되었다. 1939년에 총 8.3km에 이르는 두 개의 지선이 개통되어 은/진/납 광산을 정유공장과 연결했다. 1963년에 광석 교통이 도로교통으로 유실되었고, 1969년에는 여객 서비스가 버스로 대체되었다.
- 노포로 역 - 사설 57km 유바리 선은 홋카이도 콜리에리 & 스팀쉽사가 운영했다. 무로란 본선 구리야마에서 유바리까지의 초기 34km 노선은 니시키사와의 스위치백(또는 지그재그) 구간을 포함하여 1926년에 개통되었다. 쿠리야마 - 노포로에서 1930년에 연장 23km가 개통되었다. 1965년 최고조에 달했을 때 이 노선은 연간 150만톤의 석탄과 0.5만톤의 일반 화물을 운송했으며, 2백만명의 승객도 운송했다. 1972년 광산이 폐쇄된 후 1975년 전 노선이 폐쇄되었다. 쓰노다 광산의 4.7km 지점에서는 1927~70년 지점이 운행되었다.
- 에베쓰 역 - 사쇼 선의 도베쓰까지 11km 762mm 게이지 라인이 운행되었지만, 각 종점마다 762mm 게이지 스테이션은 JR 스테이션으로 가는 이시카리가와 도베쓰가와 강 반대쪽 둑에 있었다(의심하게).
이와미자와아사히카와 구간
- 이와미자와 역 - 1882년 홋카이도 정부는 호로나이 선으로 알려진 미카사에게 11km 노선을 개통했다. 1888년 이쿠순베쓰까지 7km 연장, 미카사에서 호로나이 탄광까지 약 3km 지점선이 개통되었고, 1889년 홋카이도 석탄회사에 노선이 매각되었다. 이 노선은 1906년에 국유화되었고 1987년에 폐쇄되었다. 이쿠순베쓰에는 15km의 '본선'과 3km의 지점으로 이루어진 숲 철도가 1938년에 개통되었고, 1955년에 가쓰라사와 댐 건설이 가능하도록 폐쇄되었다.
- 비바이 역
- 미나미비바이까지 가는 3km 지점은 1931년 개업해 탄광을 서비스했고, 1973년 문을 닫았다. 여객 서비스는 1944년에서 71년까지 운영되었다.
- 미쓰비시광업(MMC)은 1914년 스미야마 광산에 8km 노선을 개통해 1924년 도키와다이까지 3km 노선을 연장했다. 1972년 광산이 폐쇄되면서 이 노선은 폐쇄되었다. MMC는 또한 차시나이 역에서 탄광까지 2km 구간을 운행했다.
- 나이에 역 - 미쓰이 광공업은 히가시나이 1949/51~68년까지 5km 노선을 운행했다.
- 스나가와 역;
-미쓰이광업도 1918년 가미수나가와에 7.3km 지점을 개설했다. 이 노선은 1926년에 국유화되었고, 같은 해에 여객 서비스가 도입되었다. 이 노선은 1994년에 폐쇄되었다.
- 1891년 홋카이도 석탄회사가 개업한 우타시나이까지의 15km 지점, 1906년 국유화, 1988년 폐쇄
- 후카가와 역 - 소야 선의 나요로행신메이 선[ 의 첫 구간이 1924년에 개통되어 1941년에 나요로에 개통되었고 1995년에 폐선되었다. 그 노선의 슈마리나이 에서 루모이 북쪽의 하보로 선 에 있는 지쿠베쓰 까지 51.2km 노선이 제안되었고, 1959년에 착공되었다. 1962년 공사가 중단되기 전에 튼튼한 철제 트러스 다리가 건설되었다.
사고
2013년 8월 야쿠모 인근 선로에서 20량 화물열차 차량 3대가 선로를 가로막는 2m짜리 목재를 들이받고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부상자는 없었지만, 하코다테역을 오가는 철도 운항에 영향을 미치면서 임시 폐쇄됐다.[3]
참조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하코다테 본선 관련 매체가 있다. |
- ^ a b c d e f g "Train Guide". Hokkaido Railway Company. Retrieved 23 April 2020.
- ^ "旧深名線 第三雨竜川橋梁". Google Maps. Google. Retrieved 31 December 2021.
- ^ "JR函館線で貨物列車脱線 帰省の足に影響、けが人なし". 共同通信. 17 August 2013. Retrieved 19 August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