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린치

Ham Lin̄i
함린치
Ham Lini.jpg
바누아투의 총리
재직중
2004년 12월 11일 – 2008년 9월 22일
대통령칼콧 마타스켈레켈레켈레
대리에드워드 나타피
선행자서지 보호르
성공자에드워드 나타피
선거구펜테코스트, 페나마
개인내역
태어난 (1951-12-08) 1951년 12월 8일 (70세)
펜테코스트, 뉴헤브리데스
정당브이누프
배우자루스 리니치

함리리니 바누아로로아[1](Ham Linsi Vanuarroa, 1951년 12월 8일생)는 니바누아투의 정치인이다.그는 페나마펜테코스트출신이다.2004년 12월 11일부터 2008년 9월 22일까지 바누아투 총리를 지냈으며, 2014년 5월 16일부터 현 부총리를 맡고 있다.린치는 현대 바누아투 공화국의 창시자 중 한 명인 월터 린치(Walter Linii)의 동생이다.함리니는 현재 국민통합당(VNUP)의 대표다.

바누아투의 총리

VNUP는 2004년 7월 국회의원 선거에서 52석 중 10석을 차지하며 원내 제1당이 되었다.함리니는 수상 후보가 되었으나, 퇴위하는 에드워드 나타페이가 이끄는 바누아쿠 파티의 최대 파벌의 지지를 받기도 했지만, 세르게 보호르에게 패배했다.그는 2004년 8월 20일 보호르와 린치가 국민통합정부를 구성하면서 보호르가 총리직을 유지하고 린치가 부총리 겸 내무장관이 될 때까지 그 결과에 대해 계속 이의를 제기하며 보호르 정부에 대한 반대를 이끌었다.

2004년 12월, 보호르는 대만(중국 공화국)과 일방적으로 관계를 수립했다는 이유로 무신임 투표로 불과 몇 달 만에 총리직에서 쫓겨났고, 린치는 의회에서 총리로 선출되었다.[2]리니치가 취임 후 가장 먼저 한 행동 중 하나는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완전한 외교 관계를 재정립하는 것이었다.[2]

2006년 3월 21일, 리니는 30대 20의 투표로 의회에서 불신임 투표에서 살아남았다.[3]세르게이 보호르 전 총리가 이끄는 야당은 논란이 되고 있는 카바 수출 독점 제안으로 인한 약점 때문에 린치 정부를 비난했었다.[3]야당은 정부를 지지해 온 일부 국회의원들이 망명할 것이라고 믿었지만 거의 그러지 못했다.[3]

리니치와 바누아투의 각료회의는 탄나 섬과 암브림 섬에서 온 사람들 사이의 부족 충돌에 이어 2007년 3월 수도 빌라 항비상사태를 선포했다.[4]포트빌라 외곽의 블랙샌드 무단거주자 정착촌에서 벌어진 충돌로 2명이 사망했다.[4]이 싸움은 탄나에서 온 사람들이 암브림 남자가 흑마법을 써서 탄나인을 해친다고 주장하면서 벌어졌다.[4]

그 후의 정치 경력

리니치는 2008년 9월 2일 치러진 총선에서 자신의 국민통합당이 의회에서 [2]참패한 뒤 총리직에 재선했지만 연임에 실패했다.[5]바누아쿠 파티에드워드 나타페이가 3주 뒤인 9월 22일 의회에서 27대 25의 투표로 가장 가까운 상대인 막시메 카를로트 코먼 바누아투 공화당을 근소한 차이로 누르고 린지의 뒤를 이어 총리로 취임했다.[2]

나타피는 린치의 많은 정책들을 계속하여 그의 새 정부에 포함시키겠다고 약속했다.[2]여기에는 반부패 조치, 투명성, 정치적 안정, 좋은 통치 등이 포함되었다.[2]나타피는 2008년 9월 22일 리니를 자신의 내각에 인프라 및 공공시설 장관으로 임명했다.[6]

나타피의 1차 개각에서 린치는 부총리직을 유지하면서 법무부 장관직을 받았다.그러나 2009년 11월에 실시된 나타피 2차 주요 개각에서 리니치는 부총리로 해임되고 사토 킬만으로 교체되었다.[7]나타피는 리니치의 바누아투 국민통합당바누아투 공화당이 자신에 대한 불신임안을 표결할 계획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7]이 불신임안에 대해 나타피는 린지 등 내각의 절반을 해임하고, 바누아투 국민통합당과 바누아투 공화당을 내각에서 제거해 야당 의원 16명으로 교체했다.[7]

함리니는 2010년 12월 2일 사토 킬만이 총리가 되었을 때 정부로 복귀하여 나타페이를 무신임 투표로 몰아냈다.킬만 장관은 리니치 부총리를 비롯해 통상산업관광부 장관을 임명했다.[8][9]린지는 킬만이 차례로 불신임 투표로 축출된 2011년 4월 24일까지 그 자리를 지켰고, 세르게 보호르가 대신했다.보호는 린치를 자신의 내각에 임명하지 않았다.[10]

그러나 3주 후인 5월 13일 보호르의 당선과 총리직은 상소법원에 의해 무효가 되었고 킬만 정부는 복원되어 함리니치를 부총리로 완결시켰다.[11]이것은 한 달 동안만 지속되었다; 6월 16일 킬만 총리직은 대법원장 빈센트 루나벡에 의해 헌법상의 이유로 면직되었고, 리니는 다시 한번 실각했다.[12]그는 킬만이 의회에서 수상으로 복직된 6월 26일에 그것을 되찾았고, 그의 내각을 복직시켰다.[13]킬만 정부는 2013년 3월 21일 의회의 신뢰를 잃었고, 리니는 모아나 카카체스 칼로실 총리의 새 정부에 반대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14]

2014년 5월 15일, 카카스는 불신임 운동으로 쫓겨났다.조 나투만 신임 총리는 리니를 부총리 겸 통상교섭본부장으로 임명했다.[15]린치는 2015년 6월 11일 나투만 정부가 불신임 운동으로 축출되면서 실각했다.[16]

참조

  1. ^ 가 맞춤법의 문자 ⟨n̄⟩은 가수ng처럼 [ŋ]으로 발음된다.
  2. ^ a b c d e f "Vanuatu lawmakers elect Natapei as prime minister". Associated Press.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2 September 2008. Retrieved 22 September 2008.
  3. ^ a b c "Prime Minister Withstands No-Confidence Vote". Radio Australia. Pacific Magazine. 22 March 2006. Retrieved 1 August 2008.[영구적 데드링크]
  4. ^ a b c "State of emergency declared in Vanuatu's capital after two deaths". Radio New Zealand International. 4 March 2007. Retrieved 22 September 2008.
  5. ^ 2008년 9월 9일 ABC 라디오 호주, "바누아투 총선 후의 불확실성"
  6. ^ "New Vanuatu PM names his cabinet line-up". Radio Australia. 22 September 2008. Retrieved 22 September 2008.
  7. ^ a b c "Vanuatu PM counters challenge with major reshuffle". Radio New Zealand International. 18 November 2009. Retrieved 20 November 2009.
  8. ^ 2010년 12월 20일 CIA 바누아투 내각
  9. ^ 바누아투 데일리 포스트, 2010년 12월 7일 "새로운 정부"[permanent dead link]
  10. ^ "New look Vanuatu government sworn in". Radio New Zealand International. 25 April 2011. Retrieved 2 October 2011.
  11. ^ ABC 라디오 오스트레일리아, 2011년 5월 13일 "바누아투 법원 판결로 정권이 바뀌다"
  12. ^ "Vanuatu Court rules Kilman election void, reinstates Natapei as interim PM". Radio New Zealand International. 16 June 2011. Retrieved 2 October 2011.
  13. ^ "Vanuatu's new PM reinstates cabinet". Radio New Zealand International. 27 June 2011. Retrieved 2 October 2011.
  14. ^ "국가의 우선 관심사: 카카스" 2013년 3월 29일 바누아투 데일리 포스트, 2013년 26화성 웨이백 머신보관
  15. ^ "Natuman 이름 캐비닛 라인업" 2014년 5월 17일 웨이백 머신, 바누아투 다이제스트에 보관, 2014년 5월 16일
  16. ^ 호주방송, 2015년 6월 12일 "바누아투는 새 총리 사토 킬만 당선 내각 발표"
정치국
선행자 바누아투의 총리
2004–2008
성공자
선행자
?
바누아투 부총리
2008–2009
성공자
선행자 바누아투 부총리
2009–2011
성공자
선행자 바누아투 부총리
2011
성공자
선행자
없음(몇 일 동안)
바누아투 부총리
2011
성공자
현직의